•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mining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터널시설물 점검진단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유형별·지역별 중점 유지관리요소의 이해 (Understanding Facility Management on Tunnel through Text Mining of Precision Safety Diagnosis Data)

  • 서정은;오진탁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85-9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key factors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rapidly aging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inspection/diagnosis reports accumulated in the unstructured data were collected and preprocessed. Then,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ext mining analysis method. The derived vulnerabilities of tunnel facilities can be used as elements of inspec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ilities during regular inspections and daily inspections in the short term. In addition, if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spection results(safety, durability, and ease of use) are used for analysis, it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supporting preemptive maintenance decision-making in the long term.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산불위험지역 예측 (Prediction of Forest Fire Hazardous Area Using Predictive Spatial Data Mining)

  • Han, Jong-Gyu;Yeon, Yeon-Kwang;Chi, Kwang-Hoon;Ryu, Keun-Ho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119-112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공간적 통계기법에 근거한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제안하고, 산불위험지역을 예측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조건부 확률과 우도비를 이용한 방법으로 과거 산불발생지역에 대해 산불과 관련된 공간데이터 집합들 사이의 정량적 관계에 의존적인 예측 모델이다.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를 만들고, 각 모델의 예측력을 평가하기 위해 산불위험율(FHR : Forest Fire Hazard Rate)과 예측률곡선(PRC : Prediction Rate Curve)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두 가지 예측모델의 예측력 비교분석 결과, 우도비 방법이 조건부 확률 방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작성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는 산불예방과 산불감시장비 및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등 산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Tree와 Grid를 이용한 이동 객체의 위치 일반화 기법 (Location Generalization Method of Moving Object using $R^*$-Tree and Grid)

  • 고현;김광종;이연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1-242
    • /
    • 2007
  • 패턴 탐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1,2,3,4,5,6,11,12,13]은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 집합에 대한 위치 일반화 접근법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해도 특정 공간상의 이동 패턴들 중 단순히 시공간 제약이 없는 빈발 패턴만을 추출하므로, 특정 지점들 간의 최적 이동 경로나 스케줄링 경로와 같은 시공간 제약을 갖는 빈발 패턴 탐사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패턴 탐사의 수행에 있어 기존의 기법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반복 접근을 줄이기 위해 메모리 상에 패턴 트리를 생성하여 사용하므로 보다 많은 메모리 공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탐사 기법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패턴 탐사 기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 탐사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이동 객체의 이력 데이터 집합에 대한 탐사 수행 시간 및 탐사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세 수준의 데이터들을 의미있는 공간영역 정보로 변환하는 새로운 위치 일반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패턴 탐사의 전처리 과정에서 $R^*$-Tree와 영역 Grid 해쉬 테이블(AGHT:Area Grid Hash Table)을 기반으로 이동 객체의 위치 속성들을 2차원 공간영역으로 일반화하여 이동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이동 객체의 공간 이동 패턴 마이닝을 유도할 수 있다.

  • PDF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Land-use Changes Associated with Past Mining in the Kitakyushu District, Japan

  • Rhee, Sungsu;Ling, Marisa Mei;Park, Junboum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4호
    • /
    • pp.40-49
    • /
    • 2013
  •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 coal mining industry had an important role in Japan at which two-thirds of the coal product came from the Kitakyushu-Chikuho District (KCD). As a consequence of mining activities, land-use condition in this district showed notable changes. This paper presented a study of land-use changes in coal mining area by characterizing land-use pattern transition over the last 100 years. In order to carry out the rigorous analysis of land-use, a series of land-use maps over the last 100 years was develop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he historic topographic map and another available old dat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of land-use associated with past mining within the GIS platfor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a series of developed land-use maps successfully indicated the difference of land-use pattern in the KCD before and after the peak of mining activities. The general findings from land-use analysis described that forest and farm lands were lost and turned into abandoned sites in the last 100 years.

Increasing Spatial Resolution of Remotely Sensed Image using HNN Super-resolution Mapping Combined with a Forward Model

  • Minh, Nguyen Quang;Huong, Nguyen Thi Thu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2호
    • /
    • pp.559-565
    • /
    • 2013
  • Spatial resolution of land covers from remotely sensed images can be increased using super-resolution mapping techniques for soft-classified land cover proportions. A further development of super-resolution mapping technique is downscaling the original remotely sensed image using super-resolution mapping techniques with a forward model. In this paper, the model for increasing spatial resolution of remote sensing multispectral image is tested with real SPOT 5 imagery at 10m spatial resolution for an area in Bac Giang Province, Vietnam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pplication of this model to the real imagery. The soft-classified land cover proportions obtained using a fuzzy c-means classification are then used as input data for a Hopfield neural network (HNN) to predict the multispectral images at sub-pixel spatial resolution. The 10m SPOT multispectral image was improved to 5m, 3,3m and 2.5m and compared with SPOT Panchromatic image at 2.5m resolution for assessment.Visually, the resulted image is compared with a SPOT 5 panchromatic image acquired at the same time with the multispectral data. The predicted image is apparently sharper than the original coarse spatial resolution image.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 지원을 위한 비중복 적재기법 (Non-Duplication Loading Method for supporting Spatio-Temporal Analysis in Spatial Data Warehouse)

  • 전치수;이동욱;유병섭;이순조;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81-9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시공간 분석지원을 위한 공간 데이터의 비중복 적재 기법을 제안한다. SDW는 이기종의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SDBMS로부터 공간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SOW에 소스로 참여하는 SDBMS에서 변경된 부분만을 추출하고, 이를 공간연산을 통해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한 후 통합된 형태로 적재함으로써 빠른 공간 데이터 분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공간 마이닝등의 시간에 따른 분석 및 예측 분야에 효율적인 형태로 공간 데이터를 적재한다.

  • PDF

밀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공간 특성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tial Characterization System using Density-Based Clustering)

  • 유재현;박태수;안찬민;박상호;홍준식;이주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3-52
    • /
    • 2006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고려한 지식 탐사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공간 특성화 방법은 공간과 비공간 속성들을 고려하여 특성화 지식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특성화 방법을 확장하여 공간 영역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지식을 발견할 수 있다. 기존 공간 특성화기법에 대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기존의 연구는 탐사된 지식의 결과가 다각적인 공간 분석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둘째, 공간 탐색 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 영역만을 고려하여 탐색함으로 유용한 지식탐사를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도 기반의 클러스터링이 적용된 새로운 공간 특성화기법을 제안한다.

  • PDF

공간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 (Effective Utilization of Data based on Analysis of Spatial Data Mining)

  • 김기범;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3
    • /
    • 2013
  • 데이터마이닝은 데이터간의 상호 연관성과 다양한 패턴 분석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없었던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서 현재 금융, 마케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방법을 제안한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 데이터는 다른 분야의 데이터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는데, 민감 정보로 분류된다는 것과 개인정보보호 등과 같은 법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알 수 없는 기본적 통계적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의 주요한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큰 데이터를 여러 질의방법을 통해서 정보로서 이용할 수가 있으며, 정제를 통해서 클러스터링 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정보들을 새로운 패턴이나 앞으로의 의사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질의 결과에서 얻은 새로운 정보를 사용자가 보고 판단하여 의사결정에 이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에서는 데이터들의 주제별 도식화를 통한 시각적 접근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 결과는 데이터를 보다 가치 있게 활용하기 위해서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없었던 새로운 패턴과 결과의 발견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Spatial Skyline을 계산하는 기하 알고리즘 (Computing The Spatial Skyline)

  • 손완빈;안희갑;황승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588-591
    • /
    • 2008
  • 본 논문은 Data mining에서 선호도 분석 등에 사용되는 Skyline Query[2] 중 자료의 속성에 spatial한 성질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Spatial Skyline Query[3] 문제에 대해 연구한다. 우선 Spatial Skyline 집합을 추출하기 위한 기존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보다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전체 Spatial Skyline 집합이 아닌 그 중 더 의미 있을 수 있는 부분 집합을 좀 더 빠른 시간 복잡도에 구하는 방법 또한 제시한다.

  • PDF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한 공간 엔트로피 기반의 의사결정 트리 기법 (A Spatial Entropy based Decision Tree Method Considering Distribution of Spatial Data)

  • 장윤경;유병섭;이동욱;조숙경;배해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7호
    • /
    • pp.643-652
    • /
    • 2006
  • 의사결정 트리는 데이터 마이닝의 분류와 예측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실생활에서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분류를 수행할 때에는 인접 데이터의 위치와 분산도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공간 의사결정 트리는 데이터의 공간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각 객체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비율을 엔트로피로 반영하여 트리 구축 시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공간 객체간의 거리 비율만을 설명할 뿐 공간 차원에서의 데이터 분산 정도와 각 분류된 클래스간의 연관관계 등은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도와 차별도 기반의 공간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의 분포도를 반영하는 공간 의사결정 트리를 제안한다 분산도는 분류된 클래스 내의 공간 객체 분포도를 나타내고 차별도는 다른 클래스 내 공간 객체와의 분포도 및 관계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산도와 차별도의 비율을 엔트로피 계산 시 이용함으로써 비공간적 속성으로 분류된 각 클래스가 공간적으로는 얼마나 뚜렷하게 분류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제안 기법은 정확성과 계산 비용에 있어서 기존 기법보다 각각 약 18%, 1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