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apping

검색결과 881건 처리시간 0.022초

GIS/LIS와 수치지도용 국가평면좌표계에 관한 연구 (The National Grid Systems for Digital Mapping and GIS/LIS)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9-309
    • /
    • 1998
  • 국가평면좌표계는 GIS/LIS의 구축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위치정보를 나타내는데 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기본도에서는 1910년대에 동경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3개의 평면좌표계를 채택하고 Gauss-Schreiber 투영법을 적용한 바 있으며 그 후 Gauss-Kruger 투영법으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조사사업에서 구축된 기존의 지도좌표계의 계산체계와 투영법에 있어서 불명확함으로 인하여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10.405"에 대한 처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GIS/LIS에서 공간데이터의 관리와 GPS의 활용에 적합한 새로운 수치지도 좌표계의 도입을 위하여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새로운 지도좌표계는 한반도 전역을 포괄할 수 있도록 경도 $127^\circ\;30'$ 을 중앙자오선으로 하고 TM 투영법에 의한 단일좌표계로 설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지구중심좌표계에 의한 GRS80타원체를 채택할 것을 제안하였다.안하였다.

  • PDF

지도제작을 수용하는 GIS 데이타모델에 관한 연구 (A Suggestion of a Spatial Data Model for the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in Korea)

  • 김은형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5-130
    • /
    • 1995
  • 최근에 들어 정부차원에서 GIS 활성화를 위한 전반적인 계획을 완성하였고 그 계획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많은 파급효과를 가져올 국가기본도 전산화를 이미 시작하였다. 많은 예산을 들여서 만들어질 데이타가 전통적인 지도제작을 목적으로 구축되기보다는 앞으로의 많은 응용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타가 입력 당시부터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수치지도제작(Automated Mapping)만을 위한 데이타모델과 다양한 응용을 수용할 수 있는 데이타 모델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외국 국립지리원들의 데이타 구축사양을 비교해 봄으로 국가기본도 데이타베이스의 구축모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의 실정에 맞는 모델의 설정을 위해 영국의 Ordnance Survey와 미국의 USGS의 데이타 구축모델을 분석하여 이상적 모델을 제시하고, 우리나라가 최근에 선택한 데이타 진환 표준안인 SDTS와 연계시켜 효율적으로 선진국 수준에 갈 수 있는 한국형 모델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모델의 구상은 우리나라 국립지리원의 지도제작 목적과 다양한 응용을 동시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한국의 실정에 맞는 모델이 구체화되는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RapidEye 위성영상을 이용한 청주시의 불투수면지도 생성기법 (Impervious Surface Mapping of Cheongju by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 박홍련;최재완;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79
    • /
    • 2014
  • 많은 연구들은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불투수면을 생성하며, 광역적인 객체 단위의 불투수면을 생성하는 데에 효율적인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한 객체 기반의 불투수면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험지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분광반사율로 변환된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밴드를 생성하였으며,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그림자 및 수계 클래스를 추출하였다. 해당 클래스를 제외한 나머지 클래스들은 환경부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분광혼합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피복단위의 불투수 비율 영상을 생성하였다. 참조자료와의 정량적 비교평가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불투수면 생성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우리나라 저체중아 출생의 공간적 변동성 지도화: 베이지언적 접근 (Mapping the Geographic Variations of the Low Birth Weight cases in South Korea: Bayesian Approaches)

  • 노영희;박기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67-3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저체중아 출생 집계 자료를 공간적으로 지도화하기 위한 기법들을 검토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LBW 지도를 작성하였다. 표준화사망률이나 조사망률 등은 역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지표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사망률은 집계 단위의 샘플 수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지언 기법을 활용하여 샘플 수에 따른 통계적 변동성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험적 베이지언 기법과 풀 베이지언 기법을 모두 활용하였고, 결과적으로 유사한 통계량을 산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SMR 기반의 통계량은 높은 분산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통계 지도는 우리나라 저체중아 출생의 높은 위험도를 가지는 지역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모바일 매핑시스템을 이용한 제방 유지보수에 관한 연구 (Levee Maintenance Using Point Cloud Data Obtained from a Mobile Mapping System)

  • 이지상;홍승환;박일석;모하마드;김철환;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4호
    • /
    • pp.469-475
    • /
    • 2021
  • 하천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에는 대상물에 대한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토탈스테이션, GNSS 및 지상레이저스캐너를 활용하는 기존의 데이터 취득방식은 일반적인 시설물과 달리 넓고 긴 지역에 분포해있는 하천시설물의 공간정보데이터를 취득하는데 비용/시간/인력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반면, 플랫폼이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바일매핑시스템(MMS)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정밀한 공간정보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취득하기 때문에, 하천 주변의 선형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에 활용되기 적합하다. 4 km에 달하는 연구지역에 모바일매핑 시스템을 적용하여 본 결과, 20분의 데이터 취득 소요시간 동안 184,646,099개의 포인트를 취득하여 378개의 횡단면을 추출하고 이를 하천기본계획 상의 도면과 비교해 봄으로써, 모바일매핑시스템을 이용한 효율적인 제방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지표피복 데이터와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인구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Locally adaptive intelligent interpolation for population distribution modeling using pre-classified land cover data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김화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1-266
    • /
    • 2016
  • 데시메트릭 매핑은 행정구역 단위로 집계된 인구자료를 행정구역 내부의 공간적 변이에 따라 재집계하여 고해상도의 인구분포 자료를 작성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시메트릭 매핑을 이용한 인구분포 추정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그 개선방안으로서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다변량 데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지표피복 데이터와 인구센서스 자료를 기반으로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각 집계단위별로 지표피복 유형과 인구밀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모형에서 산출된 회귀계수를 이용해 하위 공간구획의 인구 총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지리가중회귀모형 기반 다변량 데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했을 때, 면적가중 보간법, 이진 데시메트릭 매핑, 피크노필렉틱 보간법, 최소자승회귀모형 기반 데시메트릭 매핑 기법 등 다른 지능형 보간법에 비해 정확한 인구분포 추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리가중회귀모형을 통해서 인구센서스 집계 단위별로 상이한 구역 내 공간적 이질성이 인구분포 추정에 적절히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Selection of Optimal Values in Spatial Estima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using Geostatistical Simulation and Loss Functions

  • Park, No-Wo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7-447
    • /
    • 2010
  • Spatial estima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reliminary procedure for decision-making. A minimum variance criterion, which has often been adopted in traditional kriging algorithms, does not always guarantee the optimal estimates for subsequent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his paper, a geostatistical framework is illustrated that consists of uncertainty modeling via stochastic simulation and risk modeling based on loss functions for the selection of optimal estimates. Loss functions that quantify the impact of choosing any estimate different from the unknown true value are linked to geostatistical simulation. A hybrid loss function is especially presented to account for the different impact of over- and underestimation of different land-use types. The loss function-specific estimates that minimize the expected loss are chosen as optimal estim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geostatistical framework is demonstrated and discussed through a case study of copper mapping.

마늘 재배적지분석을 위한 기온자료 공간보간기법 비교 (Comparison between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Temperature Data for Garlic Cultivation)

  • 김용완;홍석영;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1-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cide a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on temperature data for the suitability analysis of garlic cultivation. In Korea, garlic is the second most cultivated condiment vegetable after red pepper. Nowadays warm-temperate garlic faces potential shift of its arable area according to warmer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ange can be drawn with the precise temperature map derived from interpolation on point-measured data. To find the preferable interpolation method in cases of germination and vegetative period of the garlic, different approaches were tested as follows: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Spline, Ordinary Kriging (OK), and Universal Kriging (UK). As a result, IDW and UK show the lowest root mean square errors as for the germination and vegetative seasons, respectively.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revealed among the applied methods regarding the germinating period. Eventually this will contribute to mapping the suitable lands for the cultivation of warm-temperate garlic reasonably.

Interactive Spatial Augmented Reality Book on Cultural Heritage of Myanmar

  • Hta, Aye Chan Zay;Lee, Yunl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2호
    • /
    • pp.69-74
    • /
    • 2020
  • Myanmar, also known as Burma, has a rich cultural heritage, and its historical tourist attractions well known around the world. Therefore, we designed and developed an interactive spatial augmented reality (iSAR) book on the cultural heritage of Myanmar. This iSAR book has total of 18 pages with rich media content including videos, animations, audio, and images featuring the cultural heritage of Myanmar in a digital format. In addition to virtual content, navigational features such as virtual buttons and touch-based hand gestures were implemented using Leap Motion and VVVV. Therefore, the developed iSAR book allows virtual content and navigational features to merge seamlessly into a physical book. Fiv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prototype iSAR book,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their feedback based on its immersive qualities. Thus, the developed iSAR book on Myanmar effectively shares the cultural heritage of Myanmar, and ultimately allows users to explore and gain more insight into the country.

Spatial Information Based Simulator for User Experience's Optimization

  • Bang, Green;Ko, Il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97-104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spatial information based simulator for user experience optimization and minimize real space complexity. We focus on developing simulator how to design virtual space model and to implement virtual character using real space data. Especially, we use expanded events-driven inference model for SVM based on machine learning. Our simulator is capable of feature selection by k-fold cross validation method for optimization of data learning. This strategy efficiently throughput of executing inference of user behavior feature by virtual space model. Thus, we aim to develop the user experience optimization system for people to facilitate mapping as the first step toward to daily life data inference. Methodologically, we focus on user behavior and space modeling for implement virtu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