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대용량 정보처리기술을 통한 U-City 통합플랫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the Methods to Improve the U-City Platform through High-Capacity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 홍재주;이병노;이준형;원동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55-65
    • /
    • 2015
  • 현대도시와 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운영하는 U-City 통합플랫폼이 도입되었다.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더 많은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어려움과 더불어 제한된 자원으로 적시의 필요한 정보를 찾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플랫폼의 운영비가 더 증가하면 할수록, 이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우려가 거세졌다. 이에 우리는 기존의 플랫폼의 한계점을 집어보고, 새로운 요구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기능 등을 개선하고자 하는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전산환경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U-City 통합플랫폼의 고도화로 비용절감의 효과와 편익 증가를 기대한다.

연성 막구조의 파라메트릭 설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arametric Design System for Membrane Structures)

  • 최현철;이시은;김치경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9-36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ment of a parametric design system for membrane structures. The parametric design platform for the spatial structures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Rhino3D is used as a 3D graphic kernel and Grasshopper is introduced as a parametric modeling engine. Modeling components such as structural members, loading conditions, and support conditions are developed for structural modeling of the spatial structures. The interface module with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s is implemented. An iterative generation algorithm for design alternatives is a part of the design platform. This paper also proposes a design approach for the parametric design of Spoke Wheel membrane structures. A parametric modeling componen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SOFiSTik is examined to interact with the design platform as the structural analysis module.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interface is to design optimally Spoke Wheel Shaped Ductile Membrane Structure using parametric design. It is possible to obtain objective shape by controlling the parameter using a parametric modeling designed for shape finding of spoke wheel shaped ductile membrane structure. Recently, looking at the present Construction Trends, It has increased the demand of the large spatial structure. But, It requires a lot of time for Modeling design and the Structural analysis. Finally an optimization process for membrane structures is proposed.

건축문화유산의 공간경험 디자인 - 지능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정보표현체계 - (Designing Augmented Spatial Experiences of Architectural Heritage - Information Modeling for Intelligent Content Service Platform -)

  • 장선영;김성준;김성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15-24
    • /
    • 2019
  • Currently, museums and architectural heritage provide augmented user experiences by incorporating various media technologies. They still, however, suffer from the limitation of entertainment-based and the provision of location-based simple and repetitive contents. In addition, while acting as a key medium of experience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concept of space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current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user space experience considering such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spatial experience content and content production platform are defined. This software platform creates content that enhances the experience of the place by giving a context-based digital data associated with space and objects. The spatial experience content is designed as a series of experience sequences. The composition of the sequence borrows the method of film and narrative which segment and connect consecutive experiences on a scene basis considering user's detailed spatial experience. Therefore, content components can be combined and reproduced in various types. Augmented contents were extracted by using rule-based reasoning function of ontology at the moment. As a practical example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Seokjojeon Hall is used to reveal a spatial experience scenario.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Environment)

  • 황정래;김태훈;최현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57-67
    • /
    • 2012
  •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초급 활용 가이드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ing Beginner Utilization Guide of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 강진아;송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51-1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브이월드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 제작에 관해 연구하였다. 브이월드 만족도 조사를 통해 대상자를 분류하여 방문 목적 등을 조사하였으며, 브이월드 사용자의 방문 목적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90% 이상의 지도계열 서비스 사용자를 중심으로 초급 가이드 작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브이월드의 서비스 기능 분석, 초급 가이드에 대한 구성 방안, 콘텐츠 작성, 가이드 제작 방법 개발을 위해 다양한 통계분석 및 사회 전반적인 이슈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인이 보다 쉽게 국가공간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브이월드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 김병선;안종욱;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18
    • /
    • 2014
  • 본 연구는 공간정보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ngle Point Access 플랫폼 연계 모델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중심의 플랫폼 정부 구현,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 및 국가 정보화 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 방안 연구 (A Study on 3D Visualization Strategy of Cadastral Spatial Information)

  • 김재인;김태정;배상근;정동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spc4_2호
    • /
    • pp.413-420
    • /
    • 2014
  • 지적공간정보는 국민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로서 내재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최근에는 인간의 생활영역 및 권리관계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3차원 지적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 향후 이를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정보에 대한 직관적인 사고를 용이케 하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가시화 측면에 있어서는 현재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들과 함께 이러한 지적공간정보를 지도상에 가시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적공간정보와 기존 3차원 공간정보와의 효과적인 통합을 위한 가시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 조사 및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3차원 지적공간정보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로부터 사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가시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성과는 향후 지적공간정보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상에서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와 통합되는 과정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PEN LBS PLATFORM ARCHITECTURE

  • Choi, Hae-Oc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54-859
    • /
    • 2002
  • Location Based Services, or LBS refers to value-added service by processing information utilizing mobile user location. With the rapidly increasing wireless internet subscribers and world LBS market, the various location based applications are introduced such as buddy finder, proximity and security services. As the killer applic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the LBS has preconsidered technology about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BS middleware server for various application, and diverse contents processing technology. This paper describes the open architecture for LBS platform ensuring interoperability among the wireless networks and various location-based application services an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the LBS platform. The LBS platform in a narrow sense provides a standard interfaces for location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for location services as follows, positioning (location acquisition through network or/and handset), location managing, location based functions, profile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security, location based billing, information roaming between carriers and the system monitoring independent to specific network or ISP/CPs(Content Providers).

  • PDF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n Interfaced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 장윤섭;김재철;최원근;김경옥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24
    • /
    • 2009
  • 최근 웹 2.0의 서비스들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발전해가며 기존 공급자 위주의 수동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되듯이 국토정보 분야에서도 공급자 위주의 정적인 서비스는 사용자 참여가 가능한 동적인 지리공간 웹(Geoweb)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공공과 민간에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와 기능들을 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며, 이들의 통합 및 확장 자체를 보다 쉽게 해주고, 급변하는 지리공간 웹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공간 웹 분야의 다양한 국토정보 데이터 및 서비스 통합과 관련한 기술동향을 고찰하고,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2D/3D 지도 서비스 엔진, 사용자 참여형 매쉬업 엔진 및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통합 검색 엔진 등 플랫폼의 핵심요소들을 개발하였다. 개방형 인터페이스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공공/민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통합, u-City 사업, 민간 GIS/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의 기반 플랫폼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 가치평가 연구 (A Study of Evaluating on Values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7
    • /
    • 2011
  • 국가 R&D사업의 일환으로 차세대 유비쿼터스 웹 환경에서 공공 및 민간의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맞춤형 국토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R & D사업의 효율성이나 기술의 이전과 보급 등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및 보다 광범위한 활용을 위해서 기술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의 기술 가치 평가가 요구되는 만큼,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술 가치 평가에 대한 이론 및 평가방법의 장단점을 살펴본 후,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기술 가치를 평가하였다. 특히, 다양한 여러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 가운데 여기서는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 플랫폼기술에 국한, 비용접근법, 시장접근법과 수익접근법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 가치를 평가했다. 그 결과, 비용접근법(36억여 원)을 활용할 때가 수익접근법(22억여 원)으로보다 더 많이 평가되었다. 기술가치는 그 평가시점과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가치평가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런 결과는 맞춤형 국토정보제공 플랫폼기술의 개발초기인 현 시점에서 수행된 만큼, 이는 향후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의 상용화, 사업화 등을 위한 기술가치평가에 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