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atial Information DB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with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DB 구축 및 활용성 평가)

  • Lee, Hyun-Jik;Hwang, Seok-Hoon;Choi, Dong-Ju;Ru, Ji-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3-58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obile-based service method of Korea river map (모바일 기반의 한국하천지도서비스 방안)

  • Hwang, Eui-Ho;Lee, Geun-Sang;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8-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02년 제작 배포된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하천관리업무 지원의 체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한국하천지도 추진현황 및 GIS DB를 분석하여 최신 IT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최신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하여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선정하여 시스템 설계 구축하였으며, 실시간 하천관리기술 확보를 위하여 건교부 및 공사에서 추진 중에 있는 정보시스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하천지도의 유무선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하천관련 종합적인 정보제공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하천관리 업무시 웹 및 모바일 시스템을 통하여 조사자료 및 관리정보를 실시간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가능하여 하천업무의 효율성 및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truction of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chitectural Structure Analysis (건축구조해석기반 지진재해관리정보체계 구축)

  • Kim, Seong-Sam;Cho, Eun-Rae;Yoon, Jung-Bae;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93-299
    • /
    • 2007
  • 자연재해 중 시설 파괴 규모나 인위적 경제적 피해정도에 있어서 지진은 직접적인 피해가 엄청난 재난이다. 특히 현대사회의 산업화로 도시는 인구가 집중되고 시설물이 대형화되면서 그 기능이 복잡다양해지고 있어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시의 사회 경제활동이 장기간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 구조해석에 의한 내진평가체계를 수립하고 내진평가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들을 GIS DB화하여 건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개별 건물의 지진위험등급 산정과 GIS기반으로 지진위험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지진발생시 피해규모 및 범위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체계구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3D-GIS Modeling for Path Finding in Indoor Spaces (내부공간에서의 경로탐색을 위한 3D-GIS 모델링)

  • Ryu Keun-Won;Jun Chul-Min;Park In-Hye;Kim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2
    • /
    • 2006
  • 도시의 과밀화로 인해 건물들은 고층화, 대형화되고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건물 이용자들에게 2차원의 정보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GIS 모델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응용되어 온 3차원 모델은 주로 건물 외부형태의 시각화를 위한 것으로 3차원 공간분석에 응용되기에는 한계가 존재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을 공간분석에 적용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경로탐색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물 내부의 각 실들과 연결통로 및 기타 시설들을 각각 오브젝트로 분리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2차원 GIS데이터와 3차원 모델에 각각 벡터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고 DB를 이용하여 두 모델을 연동함으로써 3차원 모델에서 네트워크기반의 경로분석과 탐지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A Study of Service Scenario for Urban Facilities Management in u-City (u-City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연구)

  • Kim, Tae-Hoon;Nam, Sang-Kwan;Choi, Hyun-S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29-230
    • /
    • 2010
  • 향후 u-City의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세한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의 구현이 필요하다. u-City에서는 각종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상황을 인식하며,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및 처리, 결과가 제공되어지는 능동형 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으로 변화될 것이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기존의 DB관리 중심의 UIS(도시정보시스템)와는 차별화된 차세대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되어질 서비스 시나리오 중 공동구관리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analyzing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using viewshed analysis (가시권 분석을 이용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체계 개발)

  • Lee, Byung-Doo;Kim, Seon-Young;Lee, My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73-174
    • /
    • 2010
  • 산불감시활동에 의한 탐지확률을 높이고, 감시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산불 감시 우선지역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산불감시 우선지역을 추출하기 위해 가시권 분석과 산불발생확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첩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가시권 분석은 탐지확률과 관련된 감시자원의 높이, 산불연기높이, 지형의 roughness에 따른 유효가시거리 인자를 다르게 하여 실시하였다. 산불발생확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모형과 연료, 기상, 지형인자 및 토지피복, 접근성 인자 D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발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체계는 산불감시자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GIS based Wastewater discharge sector searching system (GIS를 이용한 폐수배출업소 방류선 검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Yoon-Ki;Jeong, Jong-Cheol;Kim, Jae-Hoon;Kim, Y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38-242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물정보관리시스템 중 GIS를 이용한 폐수배출업소 방류선 검색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역은 2천만 수도권 주민의 상수원인 팔당호 인근 7개 시 군과 고양, 안양, 오산시 등 10개 시 군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GIS 자료는 1:5,000 수치지형도, 지적도, 고해상도 항공사진, 우수토구 및 토실 위치와 우수/하수의 유하방향이 표시된 하수관망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자료는 물정보관리시스템의 환경통합DB를 기초자료로 구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시군별 토구/토실에 따른 집수구역을 산정하고 집수구역내 폐수배출업소를 지번단위로 검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항공사진을 기본도로 하여 하천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자치단체 업무담당자가 신속하게 해당지역의 오염사고 예상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응급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truction of Korea Remote Sensing Center's Homepage and it's Operation (공공원격탐사센터 홈페이지 구축 및 운용)

  • 임효숙;김용승;김윤수;김인수;서두천;이광재;이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5-20
    • /
    • 2003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공공기술연구회 산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하여 2002년 4월 17일에 본격적인 원격탐사 연구 및 공공지원 업무의 주축을 담당하게 될 공공원격탐사센터를 설립하였다. 별도의 독립조직이 아니라 원격탐사위성인 아리랑위성을 개발, 운영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등 관련기관이 해양분야, 지상분야, 건설분야 등 각 전문분야 별로 협동연구 체계를 구축, 실질적인 국가원격탐사센터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설립된 공공원격탐사센터에 대한 홍보, 위성자료의 공공활용 지원 및 원격탐사 Tutorial 등을 사용자들이 쉽게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원격탐사센터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Open 하게 되었다. 공공원격탐사센터 본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하여 전문센터별로도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2003년도에는 이와 같이 open 된 홈페이지에 위성자료 통합 DB를 구축하여 서비스할 예정이다.

  • PDF

The Design of OLE/COM-based OpenGIS Middleware (OLE/COM을 기반으로 한 OpenGIS 미들웨어 설계)

  • Yun, Woo-Jin;Han, Sung-Ryong;Cho, Dae-Soo;Hong, Bong-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95-106
    • /
    • 1999
  • 많은 지리자료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검색 및 다양한 지리자료 데이터 포맷에 대한 데이터 변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리자료의 공유, 즉 상호운용(Interoperability)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위한 표준의 하나로 OpenGIS라는 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OpenGIS는 기존의 표준과는 다른 광범위하고 미래지향적인 특징으로 인해 실질적인 GIS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국내에서는 OpenGIS 구현명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여러 GIS 서버를 대상으로 한 실제구현 사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분산환경에 가장 근접해 있는 OpenGIS OLE/COM 구현명세에 대한 분석을 통해 Gothic, MGE, Oracle에 적용하기 위한 OGIS 데이터 제공자의 설계 및 이를 바탕으로 상호운용을 달성하기 위한 OpenGIS 미들웨어의 설계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GML Profile for Mobile Services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 연구)

  • Oh, Byoung-Woo;You, Jin-Soo;Ha, Su-Wo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59-165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지도 표현과 공간정보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각 모바일 서비스마다 표준화되지 않은 독자적인 방법을 통해 공간 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고 있어서 모바일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GML을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위한 실용적인 GML 프로파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GML 명세와 모바일 서비스를 먼저 분석하여야 한다 GML의 구성요소와 모바일 서비스 및 DB분석을 기반으로 MATRIX분석을 수행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GML 구성요소의 부분집합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서비스용 GML 프로파일을 개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