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stic Diplegi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9초

뇌성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f Cerebral Palsy)

  • 강원식;전경훈;손병희;김성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512-518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뇌성마비의 임상양상과 원인인자를 관찰함으로써 본질환의 원활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발달 지연이나 자세이상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성마비로 진단 받고 부설 소아물리치료실에서 추적 관찰한 10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환아의 생리적 분류와 고위험요인 및 뇌단층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103명의 환아들 중 남아가 64명, 여아가 39명이었다. 2) 뇌성마비 환아들 중 미숙아 출생이 59명, 만삭아 출생이 44명이었다. 3) 대상 환아 103명의 생리적 국소학적 분류에서는 경직성 반신마비가 55례(53.4%)로 가장 많았다. 4) 대상 환아의 위험인자로 산전인자는 전치태반 1례(0.9%), 태반조기박리 1례(0.9%),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1례(0.9%)였다. 주산기 인자는 미숙아 출생이 59례(52.2%), 신생아 가사 12례(10.6%), 난산 2례(1.7%), 다태임신 5례(5.5%), 둔위분만 1례(0.9%)였다. 산후인자는 두부 외상 3례(2.7%), 뇌막염 2례(1.8%)였으며, 총 103명의 환아들 중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26례(23%)였다. 5) 대상 환아의 뇌단층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미숙아군 59례 중 55례에서 관찰한 결과 37례(62.7%)에서 뇌실주위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도 6례(10.2%)였다. 만삭아군은 44례 중 33례에서 관찰한 결과 뇌위축이 15례(41.7%)로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도 6례(13.6%)였다. 6) 대상 환아 103명 중 29례(28.2%)에서 경련을 동반하였다. 결 론: 최근의 뇌성마비 원인인자와 임상양상 등 그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 향상을 위한 운동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on Postural Control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6-57
    • /
    • 2016
  • 목적 :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운동 중재의 방법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6년 10월 이후로 게재된 국내학회지를 검색하였다. '뇌성마비', '자세조절', '균형'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18개의 연구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대상자, 중재, 대조군, 결과에 따라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I이 8개, 수준 III이 5개, 수준 IV가 2개, 수준 V가 3개이었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우수'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경직형 양하지 마비, 실험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결과 국내에서 사용되는 자세조절 운동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능력과 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결론 : 국내에서 사용되는 운동 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조절 능력을 향상시켰다. 앞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유형별 자세조절 향상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ostural Control During Reach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Yongjin Jeon;Hye-Seon Jeon;Chunghwi Yi;Ohyun Kwon;Heonseock Cynn;Duckwon Oh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8-135
    • /
    • 2023
  • Background: Despite the fact that aquatic exercise is one of the most popular alternative treatment method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re are few research regarding its effectivenes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ostural control during reaching in children with CP. Methods: Ten participants (eight males and two females; 4-10 years;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s II-IV) with spastic diplegia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four modified movements that were selected from the Halliwick 10-point program to enhance upper extremity and trunk movements. The participants attended treatment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veraging 35 minutes each session. The Box and Block Test (BBT), transferring pennies in the Bruininks-Oseretsky Test (BOT), and pediatric reaching test (PRT) scores were used as clinical measures.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kinematic data. Differences in BBT and BOT values among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retention (after 3 weeks) were analyzed using a Friedman test. In addition, the PRT scores and variables (movement time, hand velocity, straightness ratio, and number of movement units) from the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were tested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significance level was established at p < 0.05. When the result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st-hoc test for multiple comparisons was performed with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All clinical measures, which included BBT, transferring pennies of BOT, and P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scores and between pre-intervention and retention scores after treatment (p = 0.001).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mostl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p = 0.001). Conclusion: Aquatic exercise may help to improve body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varying types of physic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