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9

검색결과 2,314건 처리시간 0.035초

Lipolytic 효소를 생산하는 Acinetobacter sp. BD5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netobacter sp. BD5 Producing Lipolytic Enzyme)

  • 박인혜;김선희;이상철;안순철;김철민;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55-560
    • /
    • 2006
  • 유용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가정하수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LBM, R2A, M9배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1% tributyrin이 첨가된 배지에서 생육 활성대의 형성이 우수한 균주 1종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Acinetobacter Baumannii (99%)로 Acinetobacter 속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고, Acinetobacter sp. BD5로 명명하였다. Acinetobacter sp. BD5는 $37^{\circ}C$$50^{\circ}C$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보아 호열성 균주이며, 1% tributyrin과 oilve oil 첨가된 EL과 CE 고체배지와 Tween 20이 첨가된 LB 고체배지에서 생육활성대의 형성을 확인하여 이 균주가 lipolytic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활성의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고자 배양시간별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배양 6시간 때인 대수 증식기에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lipolytic 효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소활성의 최적 온도는 $60^{\circ}C$$70-80^{\circ}C$에서 70%이상의 잔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Acinetobacter sp. BD5는 호열성 균주로 이 균주가 생산하는 lipolytic 효소도 내열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적 pH는 9.0이며, pH 9.8-10.6범위에서 5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어 alkaline lipolytic 효소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cinetobacter sp. BD5가 생산하는 lipolytic 효소는 비교적 넓은 pH 범위와 고온에서 활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폐유분해, 세제 합성과 유기물질 합성 등 생물공학분야와 산업적으로 잠재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radyrhizobium sp. SNU001의 nodD와 nodA의 염기서열 (Nucleotide Sequences of nodD and nodA from Bradyrhizobium sp. SNU001)

  • 나영순;심웅섭;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9-196
    • /
    • 1993
  • 대두(Glycine max) 뿌리혹의 질소고정 공생균주 Bradyhizobium sp. SNU001 의 nod D 와 nodA 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총 314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nod D 의 open reading frame (ORF) 은 942bp 로 B. japonicum USDA110 의 nodD1 과 99.4% 의 유사성을 보여주었으며, 총 210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콩과식물의 Bradyrhizobium 에서는 처음으로 염기서열이 결정된 nodA 의 ORF 는 630bp 로 B. sp. (Parasponia) 의 nodA 와 81.5% 의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nodYAB 오페론과 nodD 상류에서는 9bp의 반복서열을 각각 4번, 2번 가지는 보존적인 nodbox 가 발견되었으며 nodD 의 상류에서는 A, T-rich 서열도 존재하였다.

  • PDF

고호염성 Haloarcular sp. EH-1으로 부터 amylase 생산 (Amylase Production from Haloarcular sp. EH-1)

  • 정명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70-576
    • /
    • 2002
  • 천일염에서 분리된 고호염성균인 Hainrcular sp. EH-1 으로부터 amylase 생성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여 최적조건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밀라아제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은 4$0^{\circ}C$, pH 7.5이었으며, 최적 생육배지를 soluble starch 1.5%, yeast extract 1.0%, MgSO$_4$7$H_2O$ 2.0%, KCI 0.1%, NaCl 25%로 조성하여 500 $m\ell$ 삼각 플라스크에 100 $m\ell$ 씩 분주하여 110 rpm/min으로 진탕 배양시켰다. 생육과 효소활성은 9일 배양 후 최대치를 나타내어서, 균의 생육정도와 효소생산 사이에서 증식연관형을 나타내었다.

PAHs 오염토양에서 분리된 Sphingobacterium sp. KM-02를 이용한 Fluorene 분해 및 토양복원 연구 (Biodegradation of fluorene and bioremediation study by Sphingobacterium sp. KM-02 isolated from PAHs-contaminated soil)

  • 남인현;전철민;김재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74-81
    • /
    • 2011
  • The fluorene-degrading strain Sphingobacterium sp. KM-02 was isolated from PAHs-contaminated soil near a mineimpacted area by selective enrichment techniques. Fluorene added to the Sphingobacterium sp. KM-02 culture as sole carbon source was 78.4% removed within 120 h. A fluorene degradation pathway is tentatively proposed based on identification of the metabolic intermediates 9-fluorenone, 4-hydroxy-9-fluorenone, and 8-hydroxy-3,4-benzocoumarin. Further the ability of Sphingobacterium sp. KM-02 to bioremediate 100 mg/kg fluorene in soil matrix was examined by composting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reatment of microcosm soil with the strain KM-02 for 20 days resulted in a 65.6% reduction in total amoun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phingobacterium sp. KM-02 could potentially be used in the bioremediation of fluorene from contaminated soil.

Seven new species of two genera Scalarispongia and Smenospongi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Thorectidae) from Korea

  • Kim, Young A;Lee, Kyung Jin;Sim, Chung Ja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47-161
    • /
    • 2020
  • Seven new species of two genera Scalarispongia and Smenospongia (Demospongiae: Dictyoceratida: Thorectidae) are described from Gageo Island and Jeju Island, Korea. Five new species of Scalarispongia are compared to nine reported species of the genus by the skeletal structure. Scalarispongia viridis n. sp. has regular ladder-like skeletal pattern arranged throughout the sponge body and has pseudo-tertiary fibres. Scalarispongia favus n. sp. is characterized by the honeycomb shape of the surface and is similar to Sc. flava in skeletal structure, but differs in sponge shape. Scalarispongia lenis n. sp. is similar to Sc. regularis in skeletal structure but has fibers that are smaller in size. Scalarispongia canus n. sp. has irregular skeletal structure in three dimensions and ladder-like which comes out of the surface and choanosome. Scalarispongia subjiensis n. sp. has pseudo-tertiary fibres and its regular ladder-like skeletal pattern occurs at the choanosome. Two new species of Smenospongia a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19 reported species of the genus by the skeletal structure. Smenospongia aspera n. sp. is similar to Sm. coreana in sponge shape but new species has rarely secondary web and thin and thick bridged fibres at near surface. Smenospongia mureungensis n. sp. has very simple skeletal structure.

광주신창동저습지유적출토수침목재의수종식별 - 2005년광주 ~ 장성간도로확장공사구간내 - (Species Identification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Excavated at Shinchang-dong Wetland Site)

  • 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0권
    • /
    • pp.29-42
    • /
    • 2009
  • 본 연구는 국립광주박물관이 발굴 조사한 광주~장성간 도로확장공사 구간 내에서 출토된 수침고목재 25점에 대한 수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참나무과 상수리나무류 9점, 참나무과 졸참나무류 6점, 참나무과 밤나무속 3점,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2점,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1점, 장미과 벚나무속 1점, 뽕나무과 뽕나무속 1점,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속 1점, 두릅나무과 오갈피나무속 1점으로 식별되었다.

전기자극에 대한 턱근육의 억제반사 메카니즘의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odeling of the Inhibitory Reflex Mechanism of Jaw Muscle Induced by Electrical Stimulation)

  • 김성환;김태훈;조일준;유세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2권9호
    • /
    • pp.560-567
    • /
    • 2003
  • EMG recordings of the electrical activity of muscle have proved to be a valuable tool in studying muscle function and reflex activity. SP(silent period) is elicited by a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chin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of jaw muscle.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inhibitory reflex mechanism of jaw muscle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he SPs of jaw muscle after a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chin were divided into SP1 and SP2. SP1 is produced by the activation of periodontal receptors. The activation of nociceptors contributes to the SP2. As a result, the EMG signal generated by a proposed a model of inhibitory reflex mechanism is similar to real both EMG signal including SP1 and SP2. The present study have shown differences of SP1 and SP2 induced by inhibitory reflex mechanism.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의 Protease 생산 및 특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ase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 심창환;정광선;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9-64
    • /
    • 1994
  • The produ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pH conditions.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showed the maximum activity of protease at 60 hours(70 units/ml) AND 96 houre(50 units/ml) cultivation, respectively, under the alkaline condition(pH 10.2). However, Bacillus sp. SH-8M exhibited the maximum activities in 8 days cultivation at pH 6.9 and in 6 days cultivation at pH 7.7 Bacillus sp. SH-8M showed the protease activity at the pH change from alkaline to neutral condition, whereas Bacillus sp. SH-8 did not. In addition. all the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were similar with the regardless of different pH conditions.

  • PDF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WN9 KCTC 8951P and Its Usefulness as a Cement Mortar Admixture

  • Kahng, Goong-Gjung;Lim, Seo-Hyung;Yun, Han-Dae;Seo, Weon-Tae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2호
    • /
    • pp.112-116
    • /
    • 2001
  •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and its suitability as a viscosity modifying admixture for cement mortar mixing were investigated. After 48h culture in an optimized medium, cell growth and EPS production were 1.2g/L and 4.0g/L, respectively. By adding EPS WN9 to mortar, it was possible to prepare a homogeneous mortar without material segregation and excess air entrapment. The optimal amount of EPS addition to mortar found to be 0.02 to 0.05%(w/w) of the cement used. Increasing the dosage of EPS WN9 from 0 to 0.05%(w/w) resulted in a setting retardation of 0.14h to 0.8h and an increase i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f 10 to 20%.

  • PDF

자연기흉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 손지웅;박재용;김관영;채상철;강태경;박기수;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74-382
    • /
    • 1999
  • 연구배경: 자연기흉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데도 불구하고 기흉의 위험인자, 재발율, 임상양상, 치료에 대한 반응과 예후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자연기흉으로 진단받은 225예를 대상으로 기흉의 크기, 폐허탈의 분포, 흉관삽관술 시행빈도 등을 $17{\pm}7.8$개월 추적기간 동안 재발율과 재발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원발성과 자연기흉은 저체중인 환자가 많았으며, 홉연력은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속발성 자연기흉의 기저질환은 비활동성 폐결핵이 68%로 가장 많았고, 활동성 폐결핵 12.4%, 만성폐쇄성폐질환 11.3% 순이었다. 기흉의 기왕력은 원발성 자연기흉의 경우 28.9%에서, 그리고 속발성 자연기흉의 경우는 25.8%에서 있었다. 폐허탈의 분포는 속발성에서 원발성 자연기흉에 비해 국소형이 유의하게 많았다(p<0.05). 흉관삽관을 시행한 경우는 원발성과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각각 96.8%와 97.9%였으며, 추가적인 흉관 삽관이 필요했던 경우는 원발성 6.4%와 속발성 18.0%로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흉관 유치기간은 원발성의 경우 $7.5{\pm}6.57$일인데 비해 속발성은 $18.2{\pm}19.59$일로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수술적 치료는 원발성 자연기흉의 22.7%, 그리고 속발성 자연기흉의 10.3%에서 시행하였으며, 수술 원발성의 경우 기흉이 기왕력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속발성의 경우는 치료실패가 가장 많았다. 보존적인 치료를 방은 경우 재발율은 원발성의 경우 16.5%, 11.8%였으며, 원발성 자연기흉의 재발율은 남자, 흡연자, 저체중에서 높았다. 결론 : 자연기흉의 재발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