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sauc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Descriptiv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Different Methods

  • Lee, J.H.;Iv, Edgar-Chambers;Chambers, Delores-H.;Chin, K.B.;Kim, R.Y.;Chun, S.S.;Oh, J.S.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4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49-49
    • /
    • 2004
  • Beef jerky is a traditional salted or soysauce-added and dried Korea meat product. Jerky is made from loins which is thin sliced, curing salt(soysauce-added), smoked and d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curing salt soy sam and/or smoking. A lexicon for describing the texture and flavor of beef jerky were developed. The intensity of a vatiety of texture, flavor, and mouth feel properties was characterized for beef jerky. A highly trained descriptive sensory panel identified, defined and referenced 17 attributes for beef jerky. (omitted)

  • PDF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중의 3-Monochloro-1, 2-propanediol 분석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3-Monochloro-1, 2-propanediol in Acid Hydrolyzed Soysauce(Ganjang) by Gas-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 최종동;문귀임;오현숙;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65
    • /
    • 2001
  • Electron capture deteo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간장에서 3-monochloro-1, 2-propanediol(MCPD)의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MCPD를 직접 분석하는 것 보다 MCPD를 phenylboric acid로 유도체화하여 분석하는 경우가 sharp한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감도도 우수하였다. 유도체화 방법을 실온에서 5분간 vortex혹은 9$0^{\circ}C$에서 20분 반응시켜 분석한 결과, R값이 각각 0.9997과 0.9977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MCPD의 추출방법은 Extrelut 3 column을 사용하는 것이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것보다 회수율이 월등히 높았으며, MCPD의 농노가 높을수록 회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MCPD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할 경우 ethyl acetate로 직접 추출하는 방법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에 MCPD를 spiking 하고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및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로 분석한 결과 sharp한 모양의 peak를 얻을 수 있었으며, mass spectrum으로 MCPD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솔잎 추출물과 고추냉이의 Vibrio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Pine Needle Extract and Horseradish on the Growth of Vibrio)

  • 박경남;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5-190
    • /
    • 2003
  • 시판 꽃게와 가자미에서 Vibrio를 분리하여 Api 20E kit로 동정한 결과 V. parahaemolyticus HY I과 V. vulnificus FST I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Vibrio와 V.parahaemolyticus ATCC 17802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을 실시한 결과 솔잎 추출물 1%를 첨가하였을 경우 뚜렷한 성장억제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판 고추냉이와 솔잎 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각 Vibrio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l%고추냉이 단독 첨가구보다 1% 솔잎 추출물과 혼합치리구가 뚜렷한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판 고추냉이를 간장에 첨가하여 고추냉이 간장을 제조한 다음 Vibrio균의 생존을 실험한 결과 솔잎 추출물 1%를 첨가한 고추냉이 간장에서 Vibrio 생균수의 감소는 뚜렷하였다 고추냉이 간장을 제조 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 시 한 결과 5% 수준에서 대조구와 솔잎 추출물 첨가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산 김의 조리방법에 따른 Carotene 함량변화와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the Carotene Content of Korean Laver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

  • 장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59
    • /
    • 1979
  • Vitamin contents of three grades of Korean laver high, medium and low were measured. They were cooked by different methods to examine changes in their vitamin content.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 1. Vitamin contained in loogr of laver amount to 13,200 I.U, for high grade, 16,100 for mediium grade, and 16,400 for low grade . The low -grade laver, which is interwoven with green laver, showed the highest vitamin content. 2. When laver was broiled sheet by sheet, its vitamin loss rate was 11% for high grade, 19% for medium grade, and 20% for low grade. Thus , the one with a higher vitamin content showed a higher vitamin loss rate. When two sheets of laver, which were put upon each other, were broiled, their vitamin loss rates were 2.3% for high grade, 1.73 % for medium grade, and 2.64% for low grade. Thus broiling laver at the unitof two to three sheets together is a way of decreasing the vitamin loss rate. 3. When laver was broiled with salt applied on its surface , its vitamin loss rate was 8.3% for high grade, 13% for medium grade, and 10.9% for low grade. When laver was broied at the unit of two sheets together after salt and sesame oil were added, its vitamin loss rate was 2.2% for high grade, 5.2% for medium grade, and 8.2% for low grade . The one with a higher vitamin content showed a higher vitamin loss rate. 4. When laver was mixed seasoned soysauce, its vitamin loss rate increased in process of time. In 48 hours after laver was mixed with seasoned soysauce , its vitamin loss rate read 24.2%, 27.1% and 35% respectively, for the three grades of laver. Thus the laver mixed with seasoned soysauce has to be used right after so cooked so as to obtained the highest possible vitamin content.

  • PDF

보리를 이용(利用)한 간장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Soysauce by the Use of Milled Barely)

  • 김형수;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07-115
    • /
    • 1986
  • 비닐텐트를 이용한 보리간장 제조방법(製造方法)에서 보리의 적정배합량(配合量) 및 품질평가(品質評償)를 하기 위하여 콩과 보리의 배합비(配合比)를 달리하여 효소력가(酵素力債), 제성분분석(諸成分分析), 식미실험(食味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간장코오지의 효소력가중(酵素力價中) protease activity는 콩의 배합비(配合比)가 많을수록 증가(增加)하나 콩만을 단용(單用)해서 만든 koji는 오히려 효소력가(酵素力價)가 떨어지며 콩: 보리가 4 : 1인 배합구(配合區)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amylase activity는 보리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수록 높았다. 비중(比重)은 경시적(經時的)으로 약간 증가(增加)하지만 4개월(個月)부터는 오히려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이는 구(區)가 있으며 보리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은 구(區)일수록 높았다. 총질소(總窒素)는 보리의 배합비(配合比)가 많을수록 낮고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80일(日)경까지는 상당한 증가(增加)를 보이며 그 이후(以後)는 증가율(增加率)이 떨어졌다. Amino태 질소(窒素)는 어느 시험구(試驗區)에서나 숙성(熟成)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增加)되고 있으나 전반적(全般的)으로 콩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수록 함량(含量)이 높았다. Ammonia태 질소(窒素)는 숙성초기(熟成初期)에는 완만히 증가(增加)하다가 $40{\sim}50$일(日) 사이에 증가율(增加率)이 높으나 4개월(個月) 이후(以後)는 별(別) 변화(變化)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이는데 탄수화물원(源)이 적은 구(區)일수록 ammonia태 질소(窒素)의 증가율(增加率)이 낮았다. 환원당(還元糖)은 각(各) 시험구(試驗區)가 다같이 80일(日)경까지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부터는 감소(減少)하였다. 그리고 보리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수록 환원당의 양(量)도 많았다. 총산(總酸)의 함량(含量)은 100일(日)까지는 상당한 증가(增加)를 보이니 그 이후(以後)는 별(別)다른 변화(變化)가 없었다. pH는 숙성기일(熟成期日)日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다같이 저하(低下) 되었다가 100일(日) 이후(以後)는 다시 증가(增加)하였으며 식염(食鹽)은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라 초기(初期)에는 별(別) 변화(變化)가 없다가 후기(後期)에서 증가(增加)하였다. 식미실험(食味實驗)의 결과(結果)는 원액의 경우 A, B구(區) 순(順)으로 나빴고 배합구(配合區)가 콩 : 보리가 2 : 3인 E구(區)와 대조구(對照區)인 F구(區)가 비슷했으며 콩 :보리의 배합비(配合比)가 3 : 2와 4 : 1인 C구(區), D구(區)가 가장 우수하였다. 희석액인 경우는 A구(區)가 가장 나쁘고 C, B, E, F구(區)가 비슷했으며 D구(區)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원액으로 이용(利用)할 경우 콩에 보리 koji의 배합량(配合量)을 $20{\sim}40%$로 함이 가장 우수(優秀)하고 희석액으로 이용(利用)할 경우 콩에 보리 koji의 배합량(配合量)을 20%로 함이 가장 우수(優秀)하다.

  • PDF

Zygosaccharomyces rouxii의 고정화(固定化) (Immobilization of Zygosaccharomyces rouxii)

  • 박세정;박윤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6-163
    • /
    • 1987
  • 간장의 숙성(熟成)에 관여하는 내염성 효모(酵母)인 Zygosaccharomyces rouxii의 Na-alginate에 의(依)한 포괄고정화(包括固定化)에 있어서 그 고정화조건(固定化條件)을 검토(檢討)하고, 간장국(麴) 가수분해액(加水分解液)을 조제(調製)하여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 의(依)한 발효(醱酵), 숙성(熟成)을 시도(試圖)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Zygosaccharomyces rouxii 의 고정화(固定化) 조건(條件) 가. Na-alginate 용액(溶液)의 농도(濃度)가 2.0~2.5% 일때 bead의 형성(形成)이 가장 좋았으며, Na-alginate 용액(溶液)의 농도(濃度)가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의 발효력(醱酵力)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나. 효모배양액(酵母培養液)과 Na-alginate 용액(溶液)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이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의 발효력(醱酵力)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인정(認定)되지는 않았으나 효모배양액(酵母培養液)의 비율(比率)이 높아짐에 따라 발효력(醱酵力)은 약간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의 증식시간(增殖時間) 36 시간(時間) 이상(以上)일때 발효력(醱酵力)이 양호(良好)하였으며, 24 시간(時間) 이상(以上)일 때는 발효력(醱酵力)이 약간 떨어졌다. 라. 발효배지량(醱酵培地量)에 대(對)한 효모(酵母)의 고정화(固定化) gel 량(量)의 비율(比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발효력(醱酵力)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에 의(依)한 간장국(麴) 가수분해액(加水分解液)의 발효시험(醱酵試驗) 간장국(麴) 가수분해액(加水分解液)을 고정화(固定化) 효모(酵母)에 의(依)하여 96 시간(時間) 발효(醱酵)시켰을 때 alcohol 발효(醱酵)는 거의 완료(完了)되었으며, 그때의 alcohol 농도(濃度)는 약2.6% (v/v) 이었다.

  • PDF

국(麴)의 첨가가 아미노산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Koji on Quality of Amino Acid Soysauce)

  • 김찬조;이석건;이종수;박창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54-161
    • /
    • 1988
  • 아미노산간장의 품질을 개선하여 공업적규모의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총질소농도를 0.5%에서 1.5%까지 각각 조정한 아미노산간장에 탈지대두와 소맥국을 첨가하여 담금한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의 숙성과정중 각종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 하였다. 총질소와 아미노태질소, 비중, 순고형분, 색도 및 적정산도는 총질소농도를 높게 조정하여 담금한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에서 높았으나 총질소와 아미노태질소의 증가량은 총질소농도를 높게 조정한 시험구에서 낮았다. 환원당은 담금 1개월경까지 총질소농도가 높은 시험구에서 높았고 pH는 담금 2개월경까지 총질소농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높았다. 에칠알콜은 담금 5개월후 총질소농도를 0.5%로 조정한 시험구에서는 2.07%이었고 1.5%의 시험구에서는 1.44%이었다. 레브린산과 젖산은 총질소농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그 함량이 높았고 구연산은 숙성 전과정동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의 양조에는 총질소함량이 0.5% 내지 0.7%가 되도록 아미노산간장을 희석하여 담금한 후 약 $2{\sim}3$개월간 숙성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아플라톡식 $B_1$ 노출에 의한 발암 위해성 평가 (Dietary Exposure of Aflatoxin$B_1$ and Cancer Risk Assessment)

  • 이병무;최문정;변수현;김형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1-87
    • /
    • 1995
  • Daily exposure of aflatoxin B1 (AFB1) was estimated in foods (rice, barley, soybean, peanut, soysauce, soybean paste) by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polyclonal antibody R101. Before ELISA, a simple extraction method was applied for the quantitation of AFB1 in foods using chloroform which showed high recovery (70$\pm$12%). AFB1 levels in foods were 0.32 ng/ml (rice), 0.24ng/ml (barley), 0.22 ng/ml (peanut), 0.30~0.78 ng/ml (soysauce), and 0.2 ng/ml (soybean paste). Based on food consumption, we estimated that Koreans were exposed to AFB1 at the level of 1.86$\pm$0.46 ng/kg/day and liver cancer incidence attributed to AFB1 exposure (assuming that AFB1 as a single hepatocarcinogenic agent) might be calculated to be 13.1 per 100, 000 population. Our data demonstrate that AFB1 levels in foods were below the regulation of 10 ppb in foods and might not be the major risk factor for the high incidence of lover cancer in Korea.

  • PDF

간장 및 마가린중의 식염함량의 전기화학적 측정법 (Electrochemical Measurement of Salt Content in Soysauce and Margarine)

  • 이종혁;이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5-108
    • /
    • 1993
  • 한국 간장과 마가린의 식염함량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시관 간장과 가정에서 양조한 간장, 그리고 마가린을 선정하여 전기전도도(conductivity)를 이용한 측정법을 설정하였다. Wien bridge를 사용하여 제작한 conductivity meter로 측정한 값과 식염농도와의 사이에 다음 직선식이 성립하였다. $15^{\circ}C$ y=0.083x-1.253 (1) $20^{\circ}C$ y=0.077x-2.062 (2) $25^{\circ}C$ y=0.071x-2.686 (3) $30^{\circ}C$ y=0.066x-3.153 (4) $35^{\circ}C$ y=0.062x-3.522 (5) y=(-0.001139t+0.0999)x+(-0.126t+0.557) $(temperature\;range;\;15{\sim}35^{\circ}C)$ (6) x : conductivity $[{\mu}{\Omega^{-1}{\cdot}cm^{-1}]$ y: 식염농도 [%], t : 온도 $[^{\circ}C]$ $20^{\circ}C$에서 식 (2)과 실측 전기전도도에서 산출한 식염 함량과 종래법(Mohr법, A A법)으로 정량한 값의 편차는 0.27[%]이었다. 그리고 Table 2에서 $|A{\sim}B|$의 평균편차가 0.23[%]에 불과하므로 식 (6)에 의거하여 임의의 온도에서 측정한 conductivity는 별도의 온도 보정없이 식염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마가린 : 마가린을 100배 희석하여 에멜죤을 파괴한 다음 $20^{\circ}C$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와 종래법으로 정량한 식염함량간에는 다음 식이 성립되었고 편차는 평균 0.028[%]로써 정확성의 양호한 일치를 보였다. y=0.00266x+0.57 (7) y 식염농도 [%], x : conductivity $[{\mu}{\Omega}^{-1}{\cdot}cm^{-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자들이 제작한 conductivity meter는 간장과 마가린의 식염함량을 중래의 분석방법보다 정화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신속(수초내지 3분이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또 휴대가 간편하여 생산현장에서 이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종 24년 진찬의궤 찬문에 대한 분석적 연구 (A Review Study of the Royal Bangquet menu on the 24th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9-276
    • /
    • 1991
  • The review of side dishes, oereal dishes and seasonings of the banquet on the 24th year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en kinds of soups(=Tang), that is Yyolguja Tang$.$Guja Tang$.$Keumjung Tang$.$Whanja Tang$.$Jap Tang$.$Gol Tang$.$Seunggiwa Tang$.$Jeopo Tang$.$Haesam Tang$.$Yang Tang were served. The most frequently served soup among them was Yyolguja Tang. 2. Various kinds of dried meat/fish were piled up most highly among dishes. Sliced beef and minced beef among dried meats, white cud$.$yellow cud$.$flatfish$.$skate$.$shark$.$octopus$.$dried abalone$.$cuttle fish$.$dried scallop were piled up together. 3. Sliced of boiled beef/pork and gelatined knuckles were assorted. Boiled meat which was made of beef, pork, lamb, liver, stomach, brisket and plat flank of caw was chiefly used for boiled beef, hams for boiled pork, mediumsized lamb for boiled lamb. And the legs and stomach of caw, old chicken, mullet were used for gelatined knuckle. 4. Three kinds of pan-frying dishes that was stomach and liver of caw, and mullet were usually piled up, If one kind in one dish, sea cucumber and mullet were used respectively. 5. Boiled abalone was dried abalone with soaked, sliced and boiled down in soysauce. 6. Roasted dish was usually made of assorted food stuffs. Sometimes chicken an pheasant was used for roasted dish. 7. Steamed dish was like this : assorted beef, fresh abalone, sea cucumber, mullet, young pork, chicken, dried abalone. 8. Raw dish was made of intestine of caw, fresh abalone and mullet. 9. Poached egg was serving decorated with red pepper, pine-nut and green onion. 10. Seasoned green-been-jelly was served only one time. 11. Radish kimchi was served only one time. 12. Chief foods were nuddle and stuffed bun. 13. Served seasings were honey, mustard, soysauce with vinegar, salt. Review from banquet menu, 34 kinds of side dishes were served : 10 kinds of soup, dried fish/meat, boiled beef, boiled pork, gelatined knuckle, 5 kinds of panfrying, boiled-down-abalone in soysauce, 3 kinds of roast, 5 kinds of steamed, 3 kinds of raw dishes, pouched egg, green-bean-jelly, kimchi. 4 kinds of chief foods were served : nuddle, dry nuddle, 2 kinds of dump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