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Grain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4초

Aspergillus flavus로 오염(汚染)된 저장곡류(貯藏穀類)에서의 Aflatoxin 생성(生成) (Formation of Aflatoxins on Stored Grain Contaminated with Aspergillus flavus)

  • 이관영;김영배;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0
    • /
    • 1975
  • 국내(國內)의 변질미(變質米)에서 분리된 A. flavus var. columnaris가 저장곡류(貯藏穀類)에 오염(汚染)되었을 때 aflatoxin 생성(生成)에 의한 위험가능성(危險可能性)을 추구(追究)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쌀 저장중 aflatoxin의 생성에는 80%이상의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요구되었고 일단 축적된 aflatoxin은 다른 미생물의 번식에 의하여 분해되어 50%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다른 미생물이 공존하지 않는 경우는 aflatoxin의 대량축적이 일어났다. 곡류(穀類)에서의 aflatoxin생성량은 대두(大豆), 땅콩, 옥수수, 밀, 보리, 조, 쌀, 밀쌀, 녹두, 수수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곡립(穀粒)의 크기와 유지(油脂)의 함량에 영향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 PDF

한국의 대두장려품종의 특성에 관한 연구 -II. 파종시기별로 본 실용형질간의 표현형상관 및 유전상관과 유전력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commended soybean varieties in Korea -II. Estimates of their phenotypic and geotypic correlations and heritabilities of some traits measured)

  • M.h., Huh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권
    • /
    • pp.39-45
    • /
    • 1964
  • 10개 장려품종(재래종)과 10개 도입종(임의선택)을 4월 15일부터 15일 격으로 파종하여 7개파종기에 대해서 조사된 10개 형질상호간의 표현형상관, 유전상관 및 유전력을 계산하고 유전상관을 다시 그들에 작용한 직접적 및 간접적인 영향으로 분석하여 재래종들의 특징을 도입종들과 대조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상관이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고정된 품종으로서 실험했으며 적절한 환경분산이 제거되지 못한 때문이며 그러나 형질상호간의 관련정도를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는 있었다. 2. 파종시기에 따라서 형질간의 관련정도가 다르며 따라서 특정재배시기에 대해서는 그에 따르는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3. 도입종은 재래종과 많은 점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간장, 경태 100입중에서는 타형질과 관련하는 방향 및 정도가 서로 크게 달랐다. 4. 재래종들의 도전력은 결실일수와 100입종을 제하고는 일반적으로 도입종에 비하여 떨어졌다. 이것은 재래종들은 품종간에 특성의 차가 적은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5. 조사된 형질들과 수량과의 관련은 경로계수를 통해서 직접적인 간접적 영향으로 분해하고 수량에 대해서 각 기 경로계수가 차지하는 비중을 결정지수로서 표시하여 보았다. 6. 도입종의 특성들을 재래종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여기 분석한 결과의 응용성에 대해 간단히 논의되었다.

  • PDF

탄산가스 배출과 국내 작물 생산성의 중요성 (Importance of National Crop Productivity in View of CO2 Balance)

  • 신진철;김준환;손지영;양운호;이충근;양원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5-68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수입되는 곡물은 주로 밀, 옥수수, 콩 및 쌀이며 이들 곡물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이 약 90%를 구성하고 있다.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은 각각 45, 53, 77%가 탄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곡물은 완전히 소화 이용되면 탄소부분은 전부 탄산가스로 산화 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따라서 쌀 1톤을 소비하면 탄산가스 1.51톤, 밀은 1톤을 소비하면 1.63톤, 옥수수와 콩은 1톤을 소비하면 1.56톤의 탄산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곡물 자급도가 26%밖에 되지 않아 지난 4년간 연평균 약 2,170만톤 이상의 탄산가스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것과 같으며 이를 비용으로 계산하면 48억USD에 달한다.

돌연변이원(突然變異源) γ-선(線) 처리(處理)가 재래종(在來種) 소립(小粒)콩의 식물학적(植物學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γ-Ray Mutagen Treatment on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Small Grain Soybean (Glycine max. L) Lines)

  • 이희봉;김기훈;김철민;주정일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49-153
    • /
    • 1998
  • 돌연변이원 $\gamma$-선을 처리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6개의 소립종콩 수집종 대해 유용한 변이체를 선발하고자 한국 원자력 연구소 방사선 연구실에서 선량을 15Krad로 처리하여 무처리한 종자와 함께 1998년 5월 15일에 본 대학 실험포장에 파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소립콩 계통들에 대한 $\gamma$-선 15Krad 선량에서의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크게 저조하게 나타났으나, 반면 한남콩의 분지수와 소백나물콩의 간장의 경우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공시된 각 계통들을 동일 선량인 15Krad에 처리했을 경우 소백나물콩과 은하콩 풍종이 다른 공시계통보다 감수성이 높았다. 3. 식물학적 특정은 마디수가 모든 공시품종에서 감수성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주당립중, 협수, 분지수순으로 나타났으며, 간장의 경우는 은하콩과 한남콩을 제외하고는 모든 계통에서 저항성이었다. 4. 방사선처리구에 대한 형질상호간 상관관계는 은하콩에서만 마디수와 경태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다른 품종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에서는 은하콩의 경우 경태와 분지수, 주당립중과 경장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광안콩은 마디수와 경태에서, 단엽콩은 주당립중과 협수에서, 한남콩은 협수와 경태에서 각각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저선량의 이온화방사선이 대두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w Dose Ionizing Radi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rs)

  • 김재성;이영근;송희섭;박홍숙;김정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6-69
    • /
    • 1999
  • 대두작물의 생육에 대한 방사선 hormesis를 구명하고자 세 품종의 콩종자를 저선량 ${\gamma}$선을 조사하여 포장에서 시험하였다. 생육에 대한 저선량 ${\gamma}$선의 자극효과는 품종에 따라서 다른 반응을 보였는데, 백태인 황금콩과 방사콩보다도 흑태인 S900 품종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포장발아율은 S900 품종의 0.5Gy 조사구에서 30%정도, 경장에서는 방사콩과 S900 품종의 4.0G 조사구에서 15%정도 증가하였다. 꼬투리수와 종자 수량에서는 황금콩은 2.0G 조사구에서 35%정도, S900 품종은 4.0Gy 조사구에서 25% 정도 증가하였다.

  • PDF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on In Situ Degradation of Feedstuffs

  • Chiou, P.W.S.;Chen, C.;Yu,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076-1083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AFE) on in situ degradation of the various concentrates, forages and by-products in Taiwan. The in situ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FE on the rate of ruminal degradation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the various local available feedstuff commonly used for dairy cattle. Two ruminal fistulated cows were arranged into a two by two switchback trial. Two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without AFE inclusion diet and diet with 3 g of AFE (Amaferm) added daily into the total mixed ration (TMR). Results showed that effect of AFE inclusion on the ruminal degradability of concentrates vary; soybean meal is the most responsive feedstuff, corn is the next, whereas full-fat soybean did not response the AFE inclusion at all. The inclusion of AFE significantly depressed most of the nutrient degradation of the concentrates of soybean meal in the first 12-hour in situ incubation. The effect declined in the next 12 hours. Rapeseed meal showed a different trend of response: addition of AFE improved its NDF degradation. The inclusions of AFE significantly improved ADF degradation of roughage after 24 or 48 hours of incubation. However, corn silage and peanut-vines showed a different trend. Effects of AFE inclusion on the by-products degradability were inconsistent. Most of nutrients in rice distillers grain and some in beancurd pomace did show increased degradation by the AFE inclusion.

Effects of Replacing Corn with Chinese Brown Rice on Growth Performance and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Weanling Pigs

  • Li, Defa;Zhang, D.F.;Piao, X.S.;Han, In K.;Yang, Chul J.;Li, J.B.;Lee,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191-1197
    • /
    • 200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replacing corn with Chinese brown rice on performance and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weanling pigs. Seventy-two cross-bred (Duroc${\times}$Landrace${\times}$Large White) weanling pigs, weighing an average of $7.38{\pm}0.06kg$,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rn-soybean meal diet (treatment 1), a corn-brown ricesoybean meal diet (treatment 2) and a brown rice-soybean meal diet (treatment 3). The brown ric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husked from one kind of early, long grain, non-glutinous rice (ELGNR, indica rice).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in the experiment was similar during weeks 1 and 2, but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reatment 2 during weeks 3 and 4. During week 2, only the digestibility of organic matter in treatments 2 and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reatment 1. During week 4, the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ether extract, organic matter and dry matter in brown rice treatment, especially in treatment 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reatment 1.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concentration of serum urea nitrogen of pigs in treatment 2 was lower than that in treatment 1 and 3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serum glucose and phosphorus. It could be concluded from this experiment that replacing 50% of corn with brown rice in the corn-soybean meal diet caused no negative effects to weanling pig performance, and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was unaffected. It is feasible to replace corn with brown rice in weanling pig diets in southern China.

쌀, 콩나물, 물고기의 수세(水洗) 및 조리(調理)중 수은(水銀)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Mercury Content of Some Foods during the Washing and Cooking Processes)

  • 박선옥;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3-549
    • /
    • 1987
  • 식품에 수은이 오염(汚染)되었을 경우 수세(水沈) 및 조리(調理)중 수은함량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은 오염이 우려되는 쌀, 콩나물, 물고기가 사용되었으며 수은의 검출은 무염화(無炎火) 원자흡광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수은을 인위적으로 1ppm수준으로 오염시킨 쌀을 3회 수세시 전체 수은량의 24%가, 4회 수세시 31%가 감소되었으나 취반(炊飯)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함량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은 80ppm으로 오염된 콩나물을 3회 수세한 경우 수은잔류량의 약 26%가 감소하였으나 가열조리에 의해서는 전체 수은량의 감소가 없었다. 콩나물의 가열조리시 수은은 고형물에서 국물로 용출(溶出)되었으며 용출량은 가열시간, 소금농도와 첨가하는 물의 양에 따라 23-41%의 범위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수은 1ppm으로 오염된 물고기의 가열조리시 전체 수은량의 감소는 없었으나 이때 수은은 고형물에서 국물로 용출되었으며 용출량은 조리용수(調理用水)의 소금농도에 의해 2-10%의 범위에서 달리 나타났다. 물고기를 조리후 비가식부(非可食部)를 버리는 경우 오염(汚染)된 수은의 32%가 제거되었다.

  • PDF

하대두 재배방법의 차이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ural Methods on Seed Production in Summer Type Soybeen)

  • 김두열;김광호;홍정기;이성렬;이한범;허범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1
    • /
    • 1990
  • 하대두 채종시 문제가 되는 발아율 저하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1987년 천안재래를 공시하여 평야지인 춘천(해발 74m)과 고랭지인 진부(해발 600m)에서 4월 25일부터 20일 간격으로 4회 파종하였고, 개화후 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5회의 수확시기를 두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양생장기간은 조기 파종의 경우와 고랭지인 진부에서 길었고 경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2. 본당협수 및 백립중은 고랭지인 진부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한파할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큰 값을 보였다. 3. 종실수량도 진부가 춘천보다 많았고 한파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는데 진부에서 파종기간 수량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등숙기간이 길수록 수량도 많았다. 4. 한기파종하여 수확시기를 빨리하면 미숙립의 발생이 많았고 늦게 수확하면 미이라병의 발생립율이 높았다. 5. 미이라병의 발생은 기온이 높은 춘천의 경우 항수량과 항수일수가 많은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기온이 낮은 진부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6. 파종기에 관계없이 한기 수확하여 수분이 많은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부패립이 많이 발생하였다. 7. 하대두 종자 생산을 위한 재배는 평야지인 춘천보다는 고랭지인 진부가 유리하였고 진부에서 5월15일부터 6월 5일 사이에 파종하여 개화후 45-50일에 수확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고 종자 생산량도 많았다.

  • PDF

토양(土壤)과 시비(施肥)를 달리할때 대두생육(大豆生育)에 미치는 가리(加里)의 영향(影響) (The effect of potash on the growth and yields of soybean at different level of soil fertility and application of fertilizer)

  • 조재영;맹도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107-112
    • /
    • 1968
  • 대두(大豆) 장단백목(長湍白目)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토양(土壤) 비척(肥瘠), 질소(窒素) 인산(燐酸) 시용(施用) 불시용(不施用)과 연관적(聯關的)으로 가리시용효과(加里施用效果)를 검정(檢定)한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開花期)에는 토양(土壤) 시비(施肥) 가리(加里)의 3요인(要因)이 모두 별영향(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엽황변기(葉黃變期) 및 성숙기(成熟期)는 비옥토양(肥沃土壤)에서 약간(若干) 빨라졌으나 시비(施肥)나 가리(加里)의 영향(影響)은 별(別)로 없었다. (3) 성숙전(成熟前)에 황변(黃變)하는 엽(葉)은 비옥토(肥沃土)에서 특히 증대(增大)하였고 시비(施肥)와 가리시용(加里施用)은 약간감소(若干減少)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4) 개화기(開花基)의 엽색(葉色)을 비옥토(肥沃土)나 시비(施肥)의 경우에 진해지는 경향(傾向)이 있으나 가리(加里)의 영향(影響)은 별(別)로 없었다. (5) 엽(葉)의 크기, 경장(莖長), 경경(莖徑), 분지수(分枝數) 및 협수(莢數) 등은 비옥토(肥沃土) 시비(施肥) 및 가리시용(加里施用)의 경우에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이나 토양(土壤)의 영향(影響)이 가장 크고 시비(施肥)의 영향(影響)은 그보다 상당히 적으며 가리(加里)의 영향(影響)은 훨신 적다. (6) 총식물체중(總植物體重), 간립중(稈粒重), 정립수(整粒數) 및 100입중(粒重)도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7) 정립중(整粒重)에 대한 분산분석(分散分析)의 결과(結果) 토양(土壤) 시비(施肥) 가리시용(加里施用)의 3요인(要因)에서 모두 증수경향(增收傾向)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나 3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8) 대두(大豆)에 대한 가리(加里)의 증수효과(增收效果)는 가리흡수계수(加里吸收係數)가 적고 부식(腐植)이나 질소(窒素)도 풍부(豊富)한 숙전토양(熟田土壤)과 질소(窒素) 인산(燐酸)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했을때에 좀더 큰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