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xhlet extractor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선택된 식물자원에서 추출조건에 따른 Phytosterol과 Tocopherol의 함량분석 및 추출유로부터 재구성지질의 합성 (Analysis of Phytosterols and Tocopherols, and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the Extracted Plant Oils)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0-375
    • /
    • 2003
  • 식물유자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을 원료로 하여 35$^{\circ}C$ 조건에서는 100rpm의 항온교반수조에서 1, 3, 6시간 단위로 추출하고, 8$0^{\circ}C$조건에서는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 단위로 각각 추출하여 추출방법 및 시간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온도에서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과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화는 추출율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원료별로는 호두가 최고 63.07%로 가장 높은 유지추출율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등이 각각 최고 39.28, 15.62% 등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hytosterol 분석 결과, 식물성 유지 4종 중 통밀의 전체 sterol 함량이 최고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최고 2.03, 1.57, 0.44% 등의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PLC에 의한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전체 tocopherol의 함량은 참깨, 통밀 등이 각각 최고 3.42, 2.92% 등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호두, 미강 등이 각각 최고 0.16, 0.07% 등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성 유지와 CLA를 각각 1:3 mol의 비율로 혼합한 후 IM 60을 이용,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수록 재구성지질 중의 CL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24시간 동안 반응시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써, 23.75 mol%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참깨, 호두 등이 각각 19.15, 16.46, 16.28 mol% 등을 나타내었다.

고추중의 Capsaicin 정량(定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apsaicin in various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 이태영;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권
    • /
    • pp.23-28
    • /
    • 1963
  • 1. 등전씨(藤田氏)의 Ether-alkali partition extraction법(法)을 개량(改良)하여 Capsaicin을 순수(純粹)하게 분리(分離)하여 정량표준곡선(定量標準曲線)을 얻었다. 2. Soxhlet장치(裝置)를 사용(使用)하여 Ether-Acetone(3:1) 혼합용매(混合溶媒)로 Capsaicin을 추출(抽出)한 후(後) 58% Methanoldmf 전개제(展開劑)로 하는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불순물(不純物)로부터 Capsaicin을 순수(純粹)하게 분리(分離)하였다. 3. Diazobenzenesulphonic acid를 발색제(發色劑)로 사용(使用)하는 Schulte-Kruger 변법(變法)에 약간(若干) 개량(改良)을 가(加)하여 각품종별(各品種別) 고추중(中) Capsaicin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하였다.

  • PDF

액체 이산화탄소 이용한 Monasil PCA 추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Monasil PCA using Liquid CO2)

  • 조동우;오경실;배원;김화용;이갑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84-689
    • /
    • 2012
  • Poly(acrylic acid) (PAA) 구형 입자는 바이오 분야의 소재에서부터 전자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이다. 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분산제(surfactant)를 이용한 중합 방법으로 합성을 한 후, 사용한 분산제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Purification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일반 유기 용매를 사용하면 막대한 폐수 발생, 별도의 분리 공정 추가, 잔류 용매의 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액체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하여, high-pressure Soxhlet extraction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ompressed liquid dimethyl ether (DME) 상에서 PAA 분산 중합에 사용된 pyrrolidene carboxylic acid-g-poly (siloxane) 계열의 분산제, Monasil PCA 제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출된 PAA 입자의 모양은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으로 확인을 하였고, Monasil PCA의 농도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로 분석하였다. 용매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액체 이산화탄소와 n-hexane과 liquid DME를 대상으로 추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n-hexane의 경우 일부 정제된 PAA 구형 입자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일부는 n-hexane 증기의 높은 열에 의해서 변형된 형태의 입자를 얻었다. Liquid DME의 경우엔, 추출이 잘 되지 않았다. 액체 $CO_2$를 이용하는 경우에 구형의 형태는 유지하면서 분산제가 제거된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최적 운전 조건을 알기 위해서 8시간 동안 재비기와 응축기의 온도를 달리하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추출기의 온도가 $19.6{\pm}0.2^{\circ}C$, 압력이 $51.5{\pm}0.5$ bar일 때, 가장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식물성 유지의 phytosterol, tocopherol 분석 및 CLA를 함유한 재구성 지질의 합성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3.2-104
    • /
    • 2003
  • 식물종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 등을 원료로 하여 8$0^{\circ}C$, soxhlet extractor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율을 알아본 후, 추출된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phytosterol 및 tocopherol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추출결과, 호두가 56.11%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통밀 등이 각각 35.65, 14.83, 1.56% 등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각각 평균 45.19, 32.70% 등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로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stearic acid 등이 각각 평균 14.97, 3.52, 2.95 ㏖% 등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phytosterol 분석결과, 참깨, 호두, 통밀, 미강 등의 총 phytosterol 함량은 평균 1.20%의 비율을 보였고, HPLC에 의한 tocopherol 분석결과, 총 tocopherol 함량은 평균 1.52%의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추출된 식물성유지 4종과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를 각각 1:3 ㏖ 비율로 혼합한 후 고정화 효소인 IM60과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재구성지질을 합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서 23.75㏖%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19.15, 16.28, 13.46㏖% 등의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잎담배 중 neutral volatile flavor 화합물 분석 (The Analysis of Neutral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obacco)

  • 이정민;이장미;장기철;김효근;황건중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5-94
    • /
    • 2009
  • This work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for the analysis of neutral volatile flavors and their precursors in tobacco. The neutral volatile compounds and precursors in tobaccos have been investigated by Neutral Volatile scan method(NV scan) using Soxhlet extractor. The method has been used to analyze a range of different tobaccos and tobacco products. Neutral flavor compounds were classified as three sections(1st Volatile Fraction, Breakdown Flavor Products and Cembranoid Precursor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First Volatile Fraction were 2-cyclohexene-1-one, 6-methyl-5-hepten-2-one, limonene and phenyl ethanol. The major components of Breakdown Flavor Products were isophorone, solanone, damascenone, 3-hydroxy-$\beta$-damascone, geranyl acetone, $\beta$-ionone, dihydroactinidiolide, norsolanadione, neophytadiene, hexahydrofarnesylacetone, farnesyl acetone and megastigmatrienone. The major cembranoid precursor compounds were dibutyl phthalate, duvatrenediols, 8,12-epoxy-14-labden-13-ol, 11-hydroperoxy-2,7,12(20)-cembratriene-4,6-diol, 12,15-epoxy-12,14-labadien-8-ol, 2,7,11-cembratrien-4,6-diol and 8,13-epoxy-14-labdien-12-ol. The NV scna results of tobacco types(flue-cured, burley and oriental) showed that each tobacco type has a characteristic flavor component profile.

石油炭化水素 醱酵에 의한 脂質의 生成 (Cellular Lipid Formation by Petroleum Hydrocarbon Fermentation)

  • 박태원;서형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49-452
    • /
    • 1977
  • 脂質 生産의 새로운 供給源으로 고려될 수 있는 石油炭化水素 醱酵에 의한 菌體脂質의 生成에 있어서 炭化水素의 炭素數의 影響과 그 脂肪酸의 組成을 檢討하였다. 菌株로서 Rhodotorula sp., 基質로서 炭素數가 짝수인 n-tetradecane과 n-hexadecane을 使用하여 容量 2l의 醱酵槽에서 溫度 $28^{\circ}C$, pH 4.0 ∼ 4.6, 酸素供給速度 0.4vvm, 攪拌速度 1000 rpm의 條件에서 醱酵시켜 生成된 菌體를 回收, 乾燥後 菌體脂質을 抽出하고 gas-liquid chromatography로 醱酵酸 組成을 檢索한 바, n-tetradecane과 n-hexadecane을 基質로 한 경우, 生成菌體의 脂質含量은 各各 12.0 및 25,8 %이었으며 菌體 脂肪酸은 大部分 炭素數가 짝수인 脂肪酸으로 構成되어 있었다.

  • PDF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Yellow Oleander (Thevetia peruvian) Oil and its Biodegradability

  • Yarkasuwa, Chindo Istifanus;Wilson, Danbature;Michael, Emmanuel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77-381
    • /
    • 2013
  • Thevetia peruviana (Yellow Oleander) seed oil was extracted with n-hexane in a soxhlet extractor. The ethanolysis and methanolysis of the oil were carried out with 50% of potassium hydroxide in ethanol and methanol respectively by weight of oil, as catalyst. The biodiesel was tested for biodegradability using E. coli. The percentage yield of the FAEE and FAME were 84.8% and 91.6% respectively. The biodegradability values of 81.4% and 86.2% were obtained for FAEE and FAME respectively after a period of 28 days. Other fuel quality parameters determined are the cetane index of 47.19 (FAEE) and 58.97 (FAME), flash point of $198^{\circ}C$ (FAEE) and $175^{\circ}C$ (FAME), kinematic viscosity at $40^{\circ}C$ of 5.21 $mm^2s^{-1}$ (FAEE) and 5.10 $mm^2s^{-1}$(FAME), pour point of $4^{\circ}C$ (FAEE) and $-2^{\circ}C$ (FAME) and a cloud point of $6^{\circ}C$ (FAEE) and $3^{\circ}C$ (FAME). Thus, Thevetia peruviana oil has a high potential for use in p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iesel.

우리나라 하수 및 폐수 처리 슬러지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함량 (Contemporary organic contamination levels in digested sewage sludge from treatment plants in Korea: (2) Non-alkylat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이강영;정창수;김영일;이현경;홍기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3-425
    • /
    • 2005
  • The 16 priority 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designated b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ere analyzed for some digested sludge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PAHs are an important group of organic contaminants present in sewage sludge due to their persistence and toxic potential. PAHs were extracted from freeze-dried sludges using a methylene chloride-methanol (2:1) mixture in a soxhlet extractor. The extracts were cleaned-up by silica gel/alumina combination column and subsequently fed into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 for determining PAH contents. The sum of the 16 PAHs in the sewage sludge varied from 534.8 to $5754.5 {\cal}ug/{\cal}kg$, dry wt.. In the sewage sludge, phenanthrene appears as the most abundant PAHs, followed by naphthalene, pyrene, fluoranthene. Source of the investigated sewage sludges relatively predominated pyrogenic. PAHs levels of sewage sludges in Korea appeared to be lower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HRGC/HRMS를 이용한 국내유통 육류 중 다이옥신류 분석 (Analysis of Dioxins in Meat by HRGC/HRMS)

  • 최동미;허수정;정지윤;원경풍
    • 분석과학
    • /
    • 제14권1호
    • /
    • pp.88-93
    • /
    • 2001
  • 식품 중에 미량 존재하는 다이옥신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류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 등에서 채취하여 HRGC/HRMS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를 균질화하여 Soxhlet 추출 후 지방함량을 측정하고 정제를 하여 dioxin 7종, furan 10종 및 co-planar PCB 3종에 대하여 HRGC/HRMS로 분리능 10,000에서 분석하였다. 각각의 congener에 대한 회수율은 80-15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congener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S/N>3에서 0,01ppt 수준이었다. 대상시료의 검출량을 WHO-TEF에 의한 TEQ로 산출한 결과 다이옥신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18, 돼지고기 0.008, 닭고기 <0.001 pgTEQ/g이었으며, non-ortho co-planar PCBs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08, 돼지고기 0.002, 닭고기 0.001 pgTEQ/g으로 닭고기의 오염수준이 제일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분석시료에서 다이옥신류의 분포패턴을 살펴보면 OCDD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planar PCBs의 경우는 77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커피찌꺼기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 (Coffee Grounds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Study)

  • 김덕근;김성민;최병윤;박순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1-250.1
    • /
    • 2010
  • 최근 석유공급 불안정성과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이오연료의 공급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디젤의 보급 활성화는 식물성 기름의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정 문제, 그리고 식량자원과의 충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로 사용되는 대두, 유채, 해바라기, 팜 등은 모두 식용시장과 수급 균형을 형성하고 있어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증가하게 되면 식용 오일 시장의 수급균형이 깨져 오일곡물 가격의 변동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과거에는 수거비용을 들여 폐기하던 폐식용유 마저 이제는 돈을 주고 구입해야하는 실정에 다다랐다. 바이오디젤 생산비의 70~80%를 차지하는 원료유의 부족 현상에 따라 바이오디젤 업계에서는 soapstock, trapped grease, 폐식용유 등의 저급유지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자트로파와 같은 비식용 작물의 해외플랜테이션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찌거기에 남아 있는 오일을 속슬렛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하고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 특성과 커피오일 바이오디젤의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고 바이오디젤 원료유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석유에테르를 용매로 속슬렛 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시 원료대비 약 17%(w/w)의 오일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오일의 산가는 18.79mgKOH/g으로 매우 높아 직접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불가능하다. 고체 산 촉매 하에서 전처리 반응을 실시하여 유리지방산을 전환 제거한 후 염기촉매를 이용해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 결과 약 80%의 바이오디젤(FAME)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C18:2), 올레익산(Oleic acid, C18:1), 팔미틱산(Palmitic acid, C16:0)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중에서도 리놀레익산이 44.17%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커피찌꺼기 추출 오일이 바이오디젤 원료유로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색소성분 등의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증류정제 전단계에서의 바이오디젤 순도와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