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western water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해협의 해수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u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 김상현;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59-770
    • /
    • 1997
  • 제주해협내에 설정한 3개의 남북 단면상에 배열한 13개의 관측정점과 기타 4개의 제주항 부근의 연안정점에서 $1986\~1989$년까지 실시한 해류계에 의한 해류조사결과와 $1981\~1987$년 사이에 실시된 해류판 추적조사, 일반해양관측 등에 의하여 얻어진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한 제주해협의 유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해협내에는 주로 동$\~$북동류의 항류가 있어, 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해협내로 유입된 해수가 동쪽 입구의 전단면을 통하여 유출되고 있으며, 이 항류의 유속은 10m층에서 $5.2cm/sec\~30cm/sec$이고, 중${\cdot}$저층은 $1.3\~24cm/sec$로 대체로 해협의 심소 및 제주도 북측에 강류대가 있고, 추자도 및 보길도 부근의 연안 천소에 악한 항류가 있다. 2. 제주해협 서쪽 입구의 전단면에서 실측한 항류의 하계 평균유속은 6.93cm/sec로, 이것을 기초로 계산한 이 단면의 해수수송량은 $0.384\times10^6\;m^3/sec(Sv)$이며, 단면의 항류분포와 지형류 유속 분포간에는 많은 차를 보였다. 3. 추자도 북서쪽의 전선역에서는 밀물 때는 북향류에 의해 고온${\cdot}$고염분의 외해수가 5mile정도 연안역으로 이동 하지만, 썰물 때는 북상 거리만큼 다시 남하하지 않고 동$\~$남동향류 때문에, 연안수와 혼합하면서 전선북쪽의 연안역으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추자도 북서해역은 제주도 서방해역으로 부터 북상해온 외해수가 한국남해연안수내로 유입하는 창구가 되며, 이것을 일으키는 주된 작용은 항류가 아닌 조류이다.

  • PDF

엘리뇨/라니냐와 정상 기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자치어의 군집구조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of Fish Larvae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Normal and El Niño/La Niña Periods)

  • 유준택;최정화;김진영;김종빈;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07-916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munity structure of larval fish speci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during normal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utumn 2009, during the El Ni$\tilde{n}$o period in 2009-2010, and during the La Nina period in 2010. Fifty taxa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Benthosema pterotum and Gobiidae spp. In October 2008 during the normal period, warm water from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truded more into the surface and middle layers, and cold water affected by the Yellow Sea Cold Water (YSCW) intruded into the bottom layer. In October 2009 during the El Ni$\tilde{n}$o period, intrusion of the China Coastal Water (CCW), which has low salinity (<32.2 psu), was more apparent than intrusion of the TWC or YSCW. In October 2010 during the La Nina period, intrusion of the TWC and CCW was relatively weak, resulting in the lowest temperature and highest salinity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Hierarchical cluster, one-way ANOSIM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SIMPER (similarity-percentages procedure) analyses provided two main results. First, the abundance of the most dominant larval fish species in autumn of the normal period was greater than that in autumn of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chthy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he periods. The abundance of Benthosema pterotum increased in the normal period, possibly influenced by the intrusion of cold water from the YSCW; the abundance of species residing in Korean waters (e.g., Gobiidae spp.) probably decreased during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the abundance of subtropical larval fish in autumn of the normal period was generally larger than that during autumn of the El Ni$\tilde{n}$o/La Nina periods. This could have been induced by the stronger intrusion of warm water from the TWC during the normal period. Although differences in oceanographic conditions between El Ni$\tilde{n}$o and La Nina periods were observed, the differences in ichthy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the two periods were not significant.

2000년 여름 남해안에 나타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우점 적조의 발생 특성 (The Outbreak, Maintenance, and Decline of the Red Tide Dominat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Southern Korea from August to October, 2000)

  • 정창수;이창규;조용철;이삼근;김학균;정익교;임월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2호
    • /
    • pp.68-77
    • /
    • 2002
  • 2000년 한반도 남해안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초기발생, 진행과 소멸현상을 현장과 NOAA 위성 표층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C. polykrikoides 적조는 1995년에서 1999년에는 적조 띠가 고흥 나로도해역에서 최초 발생되었으나, 2000년에는 여수해만 해역에서 최초로 발생되었다. 이는 한반도 남해해역에서 여러 해수가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1) 대마난류와 남해연안류, 2) 진도냉수대와 남서해 연안수 및 3) 남동연안의 저온수와 외양난류수, 이 기간동안 실시한 현장조사에서는 C. polykrikoides의 유영세포가 이들의 경계역에 집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8월말에 대마난류와 남해연안류 사이의 남해 해양전선이 여수해만에서 형성되어 2000년 C. polykrikoides 적조가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8월 22일). 이 C. polykrikoides 우점 적조는 Alexandrum tamarense, Gymnodinium mikimotoi, Skletonema coastatum, 그리고 Chaetoceros spp.와 혼합하여 발생하였다. 적조발생 기간 중에 한반도에는 'Prapiroon'과 'Saomai' 2개의 태풍이 C. polykrikoides 적조세력에 영향을 미쳤다. 태풍 'Prapiroon'이 통과한 후 C. polykrikoides 유영세포의 수는 최대를 보였고, 태풍 'Saimai' 통과 후 적조는 소멸하였다(9월 20일). 10월 5일에는 진해만과 한산-거제만에서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였는데, 이때의 위성사진은 22$^{\circ}C$의 수온전선이 한산-거제만을 거쳐 진해만까지 깊숙이 관입되어 있었으며, 적조발생해역 및 현장수온도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 이 지역에서 가을과 겨울철에 우점 출현하는 Akashiwo sanguinea(=Gym, sanguineum)와 C. polykrikoides이 함께 적조를 형성하였다.

동중국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와 와편모조류 적조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Red Tide of Dinoflagellate, Prorocentrum donghaience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 윤양호;박종식;서호영;황두진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32-141
    • /
    • 2003
  •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 munity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in 2005. As a result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three characteristics of water type were identified. The former wa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t species with diatoms, Chaetoceros lacinious, Ch. decipiens, Guninardia flaccida, Paralia sulcata, Pseudonitzschia pungens and Pseudosolenia calcar-avis in Chinese coastal waters, the secondary was done by lower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he dominant species with dinoflagellates, Prorocentrum donghaiense and Ceratium fusus, in over-all areas and the latter was done by the dominant species with coastal species of diatoms, Skeletonema costafum and Nitzschia longissima and silicoflagellate, Dictyocha speculum var. octopers in the transfer areas of Chinese continental coastal waters.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rface layer identified a total of 66 species belonging to 36 genera. Dominant species was Prorocentrum donghaiense, Chaetoceros lacinious, Skeletonema costatum.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n the surface layer flue tuated between $1.5 \times 10^4$cells $L^{-1}$ and $3.5\times 10^{5}$ cells $L^{-1}$. And the highest value appeared in the Changjiang estuaries with high dominance by diatoms and lowest one occurre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with high dominance by dinoflagellates. Red tides with dinoflagellate, Prororcentrum donghaiense appeared in the frontal areas with mazimum cell density, $3.4\times 10^5$ cells $L^{-1}$. And outbreak environments was low water temperature under $20^{\circ}C$, and low salinity under 31.55 psu.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red tide organisms went to about 30m depth from surface.

2013년 8월, 9월 동해 남부연안 살오징어 유생 분포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va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the East Sea in August and September 2013)

  • 김윤하;문창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215-222
    • /
    • 2014
  • 동해연안에서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8월과 9월 해양조사선 탐구 12호로 21정점에 대해 CTD 관측 및 지름 60 cm, 망목 $333{\mu}m$의 봉고네트를 이용한 복경사 채집을 하였다. 유생은 8월에 3개 정점에서 16 개체/$10m^3$, 9월에 1개 정점에서 7 개체/$10m^3$가 출현하였으며, 유생이 채집된 정점의 수심은 약 70 m-500 m 사이였다. 유생의 외투장은 1.7-6.0 mm였으며, 8월에는 주로 외양측 정점, 9월에는 장기갑 부근 정점에서 채집되었다. 배아발달과 유생이 생존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온인 배아생존최적수온($18-24^{\circ}C$)은 35 m보다 깊지 않았고, 배아와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15-24^{\circ}C$)은 75 m보다 얕은 수심에 분포하였다.

한국남해역(韓國南海域)의 일차생산력(一次生産力) (O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정창수;양동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2-254
    • /
    • 1991
  • 한국남해역의 일차생산력을 한국해양연구소의 3, 4, 8, 11월 4회에 걸친 현장조사 에서 측정하였다. 조사해역에서 일차생산력이 높게 나타나는 곳은 전선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듯하다. 1990년 3월과 1989년 11월에는 대마, 난류수와 중국대륙연안수 사이에 비교적 높은 일차생산력이 나타났다. 1988년 8월에는 한국남서해안의 조석전선 에서 비교적 일차생산력이 높았다. 전선구조에 따른 영양염의 공급이 일차생산력을 증 가시키는 요인이라 생각되나 물리적 환경과 영양염의 공급구조등에 대한 과정은 명확 하지 않다. 수층의 평균 일차생산력은 1989년 4월에 1,727 mgC/m$^2$/day 로 가장 높았 고 1990년 3월과 1989년 11월에는 각각 314, 517 mgC/m$^2$/day 였다. 중국대륙연안수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높은 탁도에 의한 투과광량의 감소가 낮은 일차생산력의 원인인 것 같다.

  • PDF

여수 연안의 숭어 (Mugil cephalus) 자원평가 및 진단 (Stock assessment and Diagnosis of Flatte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 박희원;서영일;김희용;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3호
    • /
    • pp.448-45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Survival rate (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was 3.671.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and fishing mortality (F) was estimated to be 0.325/year, 0.962/year for flathead grey mullet. Also fist capure age of flathead grey mullet was 3.61year. The current biomas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19.6 M/T and $F_{0.1}$ and $F_{40%}$ were estimated 0.340/year, 0.225/year. For the stock assessment result, flathead grey mullet was not overfished but overfishing.

Influences of Climate Factors and Water Temperature in Squid Spawning Grounds on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es in the East (Japan) Sea

  • Lee, Chun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150-158
    • /
    • 2007
  • Data on squid catches, water temperature, and climatic factors collected for the Northwest and subtropical North Pacific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ceanic and climatic conditions in spawning grounds on catches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East (Japan) Sea. The main spawning ground was divided into four sub-areas: the South Sea of Korea (R1), the southern waters off Jeju, Korea (R2), the southwestern part of Kyushu, Japan (R3), and the northern part of Okinawa, Japan (R4). Interannual and decadal fluctuations in water temperatures correlated well with squid catches in the East/Japan Sea. In particular, water temperatures at a depth of 50 to 100 m in sub-areas R3 and R4 showe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0.54 to 0.59, p<0.01) in relation to squid catches in the East/Japan Sea than for R1 and R2, which ha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40 or less (p>0.05). Air temperature and wind velocity fluctuations in each sub-area are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nd were closely connected with variations in the surface mixed layers. Water, air temperatures and wind velocities at the main spawning grounds are linked to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 with higher signals in the ca. 2-4-year band. Strong changes in a specific band and phase occurred around 1976/77 and 1986/87, coincident with changes in squid catches.

한국남서해역 표층퇴적물 중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요인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 Sea, Korea)

  • 신현호;윤양호;박종식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05-214
    • /
    • 2007
  •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dinoflagellate cysts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 of the southwest s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21 stations in September 2003, and 36 stations in June, 2004. The water mass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the southwest sea of Korea is characterized by various oceanographic conditions due to coastal waters of Korea and China. The Tsushima warm currents and the cold bottom water of the Yellow Sea. Mud contents an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central region such as, Namhaedo, Yeosu and Goheung coast than in western region such as, Wando, Haenam and Jindo coast in the South Sea of Korea. A total of 35 taxa of dinoflagellate cyst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21 genera, 33 species, 2 unidentified species. Cyst abundance ranged from 13 to 527 cysts $g-dry^{-1}$, showing higher abundance in the coastal areas than in western region of the South Sea of Korea. From the result of the PCA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was not only related to the different water masses which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sea but also to phys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water temperature, light, surface sediment faces and phytoplankton biomass.

동해 남서부해역에 출현하는 냉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ld Water Appear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 이문옥;오오다케 신야;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55-473
    • /
    • 2014
  • 하계 동해의 남서부해역에 냉수가 왜 그리고 어떠한 해양환경하에 출현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현장조사, 위성자료의 분석 및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해역에서 냉수는 비정상년의 경우는 정상년에 비해 보다 더 연안 가까이에서 출현하였고, 수온도 낮았다. 이것은 냉수가 비정상년에는 정상년에 비해 크게 발달하여 연안역으로 확장함을 의미하였다. 흐름장의 계산결과는 지형류적인 관점에서 수온의 관측결과를 잘 재현하였다. 한편, 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NKCW)가 쓰시마난류(TC)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동해의 북서쪽에 머물고 있었다. 이에 반해, 비정상년의 경우는, 북한한류가 점차 남쪽으로 남하하여 동해 서부역의 대부분이 북한한류의 세력하에 놓였다. 그래서, 하계 동해 서부 연안역에서의 냉수 출현은 남쪽으로의 북한한류의 확장에 의한 부산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 연안역에 대한 유동계산결과는 하계 남풍이 불 경우, 표층과 저층 사이에 흐름의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하계 동해의 남서부 연안역, 특히 수심의 변화가 급한 방어진 부근에서 냉수의 용승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