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osensory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갑상선기능과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 (Thyroid Dys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Mood Symptoms and the Psychosomatic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세희;한덕현;나철;민경준;주소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17권1호
    • /
    • pp.30-36
    • /
    • 2009
  • 연구목적 : 갑상선기능은 기분, 인지기능, 불안, 수면 등의 증상과 관련된다. 갑상선기능이상 시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음성증상, 기분, 신체증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각각의 증상 변화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 정신분열병으로 입원했던 환자 65명을 입원 당시의 갑상선호르몬 수치에 따라 갑상선기능불안정 군과 갑상선기능정상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의 입원 당시와 8주 후에 평가했던 음성증상평가척도(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 이하 SANS), 양성증상평가척도(Scale for the for the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 ; 이하 SAPS), 벡우울증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 이하 BDI), 신체감각증폭척도(Somatosensory Amplication Scale ; 이하 SSAS)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각 환자들은 항정신병약물 치료를 포함한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갑상선기능이 불안정했던 경우 4주 후에 갑상선호르몬의 정상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 8주 뒤에 갑상선기능정상 군과 갑상선기능불안정 군에서 SANS, BDI, SSAS 변화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났다. 갑상선기능정상 군에서 갑상선기능불안정 군에 비해 척도 점수가 크게 낮아졌는데, SANS는 23.3%(F=57.0, p<0.01), BDI는 19.6%(F=12.9, p<0.01), 신체감각증폭척도는 16.2%(F=17.1, p<0.01) 더 변화가 컸다. SANS, BDI, SSAS 세 지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서 갑상선기능이 음성증상, 우울감, 신체증상에 관련된 예후에 표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로봇 보조 보행훈련 효과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Lower Limb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 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59-466
    • /
    • 2016
  •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 보조치료법이 운동능력 및 기능적인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환자 5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로봇보조 보행치료군은 고식적인 치료에 추가로 Lokomat$^{(R)}$ 이용하여 하루에 삼십분씩, 일주일에 5회, 4주 동안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고식적인 치료에 추가로 하루에 삼십분씩 고식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다. 모든 환자들은 임상지표의 비교를 위해, 치료 전과 4주간의 치료 후 Fugl-Meyer assessment, Motricity index,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Berg balance scale, 10m 보행검사,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와 벡 우울증 척도를 평가 받았다. 환자들은 기능회복과 체성 감각 유발전위 검사 결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유발 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 보조 보행치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하지의 운동기능, 보행 능력, 일상생활능력의 유의한 호전이 나타났다. 체성 감각 유발 전위 검사의 결과는 임상 지표들의 관련성 분석에서 Motricity index와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기능을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로봇 보조 보행치료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과 보행기능의 회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뇌자도 시스템을 이용한 유발 자계 측정 및 임상 응용 (Measurement of Neuromagentic Evoked Fields Using Korean Magnetoencephalography system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 김봉수;장원석;황수정;김기웅;권혁찬;유권규;김진목;이용호;장진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213-220
    • /
    • 2014
  • 시공간 분해능이 우수하고 비침습적으로 대뇌 신경활동의 측정이 가능한 뇌자도는 뇌기능 연구 및 뇌질환 진단에 유용한 진단용 의료기기이다.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뇌자도 시스템을 임상시설(병원)에 설치하고 뇌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유발자계를 측정, 분석하여 한국형 뇌자도 시스템의 임상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반측성 안면 경련 환자를 대상으로 소리자극에 대한 청각유발자계를 측정, 분석하여 안면신경과 청신경의 상호작용 여부 및 이명과의 연관성 검토, 2)뇌종양 환자의 정중신경 자극에 대한 체성감각 유발자계를 측정하여 뇌전증 유무에 따른 연관성 검토. 뇌자도 데이터의 분석 결과로부터 한국형 뇌자도 시스템이 뇌기능 연구 및 뇌질환 진단에 유용한 시공간적인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부중심소엽 주변 경막하 전극들에서 기록된 후경골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 (Posterior Tibial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Recorded on Subdural Electrodes around Paracentral Lobule)

  • 서대원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2호
    • /
    • pp.112-117
    • /
    • 1999
  • 부중심소엽 주변의 경막하 전극들에서 기록한 PTSEP는 전극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파형을 나타내며, 파형의 최대치는 주로 부중심소엽의 후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최대값이 주변보다 확연히 차이 나며 10uV이상의 파형으로 기록될 경우는 40 msec에서 양극성을 나타낸다. 또한 주변의 전극과 상역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최대 전극의 뒤에서 형성될 경우는 더욱 분명한 상역전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경막하전극을 통한 PTSEP는 내측 반구의 부중심소엽 주변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체중현수 트래드밀 훈련이 뇌졸중노인의 보행과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icacy of Treadmil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on Ambulation and Muscle Activity with Elderly Chronic Stroke)

  • 김성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37
    • /
    • 2004
  • The pro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artial body weight support during treadmill training on the ambulation in elderly with chronic stroke. Fourteen hemiplegic volunteers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body weight support during treadmill training was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In the control group, usual treadmill training was appli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date of 14 patients who carried out the whole experimental cours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 1. In the comparison of gait velocity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gait velo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gait velocity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2. In comparison of gait cadence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gait cad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gait cadence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3. In the comparison of step length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step l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step length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4. In the comparison of vastus medialis root mean square(RM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vastus medialis RM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vastus medialis root mean square(RM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vastus medialis RMS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vastus medialis RMS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5. In the comparison of latency of somatosensory evoke potential(SSEP)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latency of SSE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latency of somatosensory evoke potential(SSEP)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latency of SSE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latency of SSEP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6. In the comparison of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FAP)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FA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I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of the FAP between group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 PDF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에서 검사에 따른 전극의 삽입 및 제거방법 (Principles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with Insertion and Removal of Electrodes)

  • 임성혁;박순부;문대영;김종식;최영두;박상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53-461
    • /
    • 2019
  •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인 수술 중 신경계 모니터링(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M) 검사는 다양한 수술에서 안정적으로 수술이 잘 진행되고 있음을 확신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검사다. 수술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검사의 최적화를 위하여 침 전극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수술실검사에 대하여 정확한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한 교재나 안내책자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논문에서 운동유발전위검사,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청각유발전위검사, 시각유발전위검사에서 올바른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자유진행 및 유발근전도검사(free-running and triggered EMG)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의 관찰로 대부분의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기능상태 파악을 한다. 검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해당 근육에 전극을 삽입하는 사진을 첨부하였고, 척수신경근에 따른 해당근육도 표로 제시하였다. 검사 후 전극제거를 할 때에도 환자와 검사자 모두 안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완벽한 검사가 되었으면 한다.

TENS 적용과 균형운동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Balance Abilities in the Women Elderly with Application TENS versus Balance Training)

  • 이승원;이완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993-1003
    • /
    • 2010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의 경피신경자극(TENS)과 균형운동을 적용하여 균형 능력의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대학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4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TENS군(21명, 84.53세)과 균형운동군(21명, 79.93세)으로 진행하였다. TENS의 적용과 균형운동은 8주 동안 주 3회에 걸쳐 연구자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동적균형검사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TUG)와 정적균형검사로 힘판을 이용하여 맨 바닥과 foam 위에서의 자세 동요 속도와 기능적 팔 뻗기 검사 (FRT)와 측방 기능적 팔 뻗기 검사 (LFR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UG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5), 힘판을 이용한 자세동요 속도에서도 두 군 모두 모든 조건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FRT와 LFRT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TUG와 눈 감은 상태의 자세동요 속도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체성감각이 떨어져 있는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TENS는 균형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resentation of budge sonance with small action on the body motion

  • Kim, Jeong-lae;Kim, Kyu-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1호
    • /
    • pp.35-39
    • /
    • 2015
  • This study was presented the small action by the budge sonance function. An estimation of budge sonance function was acquired displacements across all condition with a variation of small action. The budge sonance function was to be indicated to express the flow rate of body motion. Their function was suggested an issue of the action condition by budge sonance. This system was proposed a combination of the body motion and small action. The acquired sonance signal was to render the small action of body motion with budge sonance function. The analysis of budge function was generally realized a variation from displacements on the fast body motion. Budge sonance signal of action that vision condition was acquired to a variation of the $Vi-{\beta}_{AVG}$ with $(-4.954){\pm}(-5.42)$ units, that vestibular condition was acquired to a variation for the $Ve-{\beta}_{AVG}$ with $(-2.288){\pm}0.212$ units, that somatosensory condition was acquired to a variation for the $So-{\beta}_{AVG}$ with $(-0.47){\pm}0.511$ units, that CNS condition was acquired to a variation for the $C-{\beta}_{AVG}$ with $(-0.171){\pm}(-0.012)$ units. Budge sonance function was proposed the small action from axial action on body control. We know a body motion response from axial action was not only variation of budge sonance, but also body motion of fast body motion.

편측 무시 환자에서 시각 정보 차단이 머리 위치 정렬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 of Visual Cue Deprivation for the Head Alignment on Unilateral Neglect Patient: Case Report)

  • 장종성;박정미;이미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7-342
    • /
    • 2013
  • PURPOSE: The Unilateral neglect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y shifting attention to the side of space opposite the brain lesion and frequently reducing use of contralesional extremiti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visual deprivation was responsible for head position on unilateral neglect patient after stroke. METHODS: A patient with left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assessed neglect using line bisection and star cancellation test. Patient was instructed to maintain correct alignment of trunk and head in a sit position. We evaluated degree of head lateral tilting and rotation. Then, patient was blocked visual input. Also, we evaluated head position in the same way. RESULTS: He scored 3 points in the line bisection test and 9 points star cancellation test. In postural evaluation, he had deviated posture such as lateral head tilting and rotation. After visual cue deprivation, patient showed different head position which was decreased degree of head tilting and rotation. CONCLUSION: For vertical body orientation, it was used multiple sensory references including the vestibular, somatosensory, and visual system. This finding suggested that abnormal posture of neglect patient could be related to the visual input. It has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neglect.

Study of the valuation system for movement condition: R-L

  • Kim, Jeong-Lae;Kim, Kyu-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3권1호
    • /
    • pp.15-19
    • /
    • 2014
  • This study was compared the variation system of body posture condition for stability by the posture. We used a model of bio parameter on the basis of the move state in the standing posture. We compared the sway movement derived from average of the physical sensing condition. Vision condition of variation average (Vi-${\sigma}_{AVG-AVG}$) was verified slightly greater at $13.746{\pm}4.05$ unit. Vestibular condition of variation average (Ve-${\sigma}_{AVG-AVG}$) was verified slightly larger at $7.829{\pm}1.071$ unit. Somatosensory condition of variation average (So-${\sigma}_{AVG-AVG}$) was verified slightly smaller at $2.592{\pm}0.538$ unit. CNS condition of variation average (C-${\sigma}_{AVG-AVG}$) was verified slightly larger at $0.46{\pm}0.105$ unit. The valuation system will be to deduce the model of body management with falling and stroke and all that sort of things. There will be to infer a data algorithm and the evaluation of process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