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atic Symptom Disord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1초

A Cas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Hospitalized after a Traffic Accident

  • Hong, Min-Ho;Cho, Han-Byul;Kim, Man-Gi;Koo, Byung-Su;Kim, Geun-Woo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hospitalized after a traffic accident. Method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a patient diagnosed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that worsened after a traffic accident. During hospitalization,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sychotherapy, and other treatments were performed. Clinical effect was evaluated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AI (Beck Anxiety Inventory), Global assessment (G/A), and Numerical rating scale (NRS). Results: After 36 days of treatment, BDI-II score was reduced from 17 to 5. BAI score was reduced from 23 to 8. Overall somatic symptoms and pain showed decreases.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might be effective for somatic symptom disorder that is worsened after a traffic accident.

소아청소년 신체증상 관련장애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고찰 : 국내 증례 보고 논문을 중심으로 (A Review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 Focusing on Case Study Reports in Korea)

  • 허유진;백정한;조연수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5-66
    • /
    • 2020
  • Objectives The goal for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of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by reviewing case studies. Methods We found case study report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through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 (NDSL)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age of the patients was limited to under 20. Results All reported articles showed that the treatments were selected based on both emotional problems and physical symptoms. Herbal medicine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and the other methods including acupuncture and psychotherapy were also us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on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widely us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s, and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어머니의 상태불안이 아동의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State Anxiety on the Children's Somatic Symptom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김경미;신동원;이근문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4호
    • /
    • pp.256-261
    • /
    • 2007
  • Objectives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xiety and depression of children and mothers were associated with the children's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Methods : 83 clinic-referred boys with ADHD and 52 boys without ADH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he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s, such as general-ache, headache, nausea, eye problems, skin problems, abdominal pain, vomiting was evaluated using the somatic symptom domai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Children'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and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for children.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Results : Score of maternal state anxiety affects the T score of the somatic symptom domain in CBCL significantly(adjusted $R^2$=0.057 ; p=0.026). Conclusion : The frequency of medically unexplained somatic symptom of children perceived by mothers was associated with the high level of maternal state anxiety in ADHD. Frequent maternal report of the children's somatic symptom may be a warrant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maternal state anxiety in ADHD.

  • PDF

한국판 우울과 신체 증상 평가 척도(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 Scale, DSSS)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 Scale(DSSS))

  • 김건우;홍진표;박승진;최지혜;최혜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5
    • /
    • 2011
  • Objectives : We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 Scale (DSSS) in Korean 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Methods : Participants were 55 outpatient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depressive episode of bipolar I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panic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DSM-IV criteria. We assessed them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DSSS,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and Quick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Self Report (QIDS-SR). Results : The Korean version DSSS had a Cronbach's alpha of 0.90. Moreover, each item's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0.24-0.71, p<0.01).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r=0.83, p<0.01) was relatively high, and the DSSS correlations with the HDRS and QIDS-SR were 0.77 and 0.74,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DSSS could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screening and assessing depressive pati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DSSS will be a useful tool for screening both depressive and somatic symptoms in Korea.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in Somatic Symptom Disorder: Associations with Alexithymia

  • Lee, Jae Hoon;Jang, Ye Eun;Park, Hye Youn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9-97
    • /
    • 2020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patterns in patients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SSD) and the relationships of these patterns with alexithymia. Methods : In total, 42 patients with SSD and 33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HRV data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24 patients with SSD were reassessed after 6 months of treatment. The psychological data included somatic symptoms and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alexithymia as indicated by the somatic symptom subscale of the Symptom Checklist 90-Revision (SCL-12),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20 (TAS-20), respectively. Results : Patients with SSD had a lower standard deviation of normal-to-normal R-R intervals (SDNN) and lower proportions of adjacent R-R intervals greater than 50 milliseconds (pNN50)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HRV paramete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exithymia severity. After treatment, patients exhibit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somatic symptoms and reduced anxiety and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RV parameters. In patients with alexithymia, a high baseline SDNN and pNN50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somatic symptoms. Conclusions : Patients with SSD have different HRV patterns, and several HRV parameters are associated with alexithymia sever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S regulation is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SSD, mediated by alexithymia.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rtain HRV parameters may be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of SSD.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 서용우;조인희;신광철;정용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72-180
    • /
    • 2000
  •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 PDF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약물치료 (Pharmacotherapy for Patients Complaining With Somatic Symptoms)

  • 이경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95-101
    • /
    • 2021
  • 신체증상장애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는 여러 영역의 임상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정신질환이지만 분류 및 개념이 명확하지 않음으로써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환자에게서 원인을 찾거나 정신사회적 원인을 강조하면서 지나치게 인지행동치료를 포함한 정신치료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대증요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정신사회적 원인론에 대한 과도한 강조는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이 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이해 및 연구를 더욱 어렵게 할 뿐이다. 신체증상장애의 약물치료에 관한 연구는 개념과 경계의 불명확성, 그리고 기능성 신체증후군과의 중첩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연구가 어렵다. 몇몇 체계적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정신약물은 단기간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항우울제가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으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신체추형장애 및 건강염려증에서 그리고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차단제는 통증이 주된 증상인 환자들에게서 다른 항우울제보다 더 효과적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지행동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정신치료적 기법뿐만이 아니라 약물치료에서 정신약물 및 비정신약물의 사용을 잘 알고 사용함으로써 이 환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범불안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신체증상 지각에 대한 인지적 특성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c Symptom Perception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김용;박종일;박태원;정상근;양종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0-107
    • /
    • 201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stress a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c symptom perception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Methods : A total of 55 patients meeting DSM-5 criteria for GAD and 55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subjects using The Way of Stress Coping Questionnaire (SCQ),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and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or 7 Item (GAD-7). We analyzed data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In terms of SCQ, GAD patients 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seeking social support and higher scores on wishful thinking than normal controls. GAD patients had significantly greater amplification of physical sensation in SSAS and higher scores in physical,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subsets of SIQ than normal controls. GAD-7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interpretation scores on SIQ. Conclusion : Results reveal that patients with GAD have insufficient coping strategies for stress, greater amplification of body sensations, and tendency towards a physical,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somatic symptoms.

공황장애 호흡기 아형과 비호흡기 아형의 임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Respiratory and Non-Respiratory Subtypes of Panic Disorder)

  • 하주원;임세원;오강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1호
    • /
    • pp.46-52
    • /
    • 2009
  • Objectives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respiratory subtype(PD-R) and non-respiratory subtype(PD-NR). Methods : 84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2 groups, 29 PD-R and 55 PD-NR. Diagnosis of panic disorder was evaluated using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and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They were also measured with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AM-A),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 and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Results : PD-R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DSS than those of PD-NR group(p=.027). After controlling for the severity of panic disorder and gender, PD-R group showed higher HAM-D and somatic anxiety subscale of HAM-A than those of PD-NR group. Furthermor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omatic anxiety was a possible risk factor of PD-R(OR=1.404,p=0.009).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atic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 would be importan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D-R.

  • PDF

불안 장애와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 고찰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between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ir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 안준석;김은영;조맹제;홍진표;함봉진;정인원;안준호;전홍진;성수정;이동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174-183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및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된 중복 진단군의 신체 증상의 빈도와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러 신체 증상군과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국가적 역학조사연구인 2011년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연구(Korean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2011, KECA-2011)에 참여한 만 18세 이상에서 74세 이하의 참여자 6027명 중 지난 1 년 동안 주요우울장애 또는 불안장애의 진단 기준을 만족 하면서, 같은 시기에 최소 1가지 이상의 신체증상을 호소한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조사된 신체 증상을 통증 증상군, 소화기 증상군, 가성신경학적 증상군의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 증상군에 따른 자살 사고, 자살 계획 및 자살 시도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면담 도구로는 한국어판 CIDI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신체 증상에 대한 항목이 포함된 C장과 자살관련 항목이 포함된 S장의 일부 질문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결 과 진단별로 신체 증상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주요우울장애에서는 흉통(p=0.016, 95%CI)이, 불안장애에서는 두통(p=0.004, 95%CI)과 묽은 변이나 설사를 나타내는 증상(p=0.018, 95%CI)이, 주요우울장애와 불안 장애의 중복진단군에서는 균형을 잡기 힘든 것(p=0.006), 기절할 것 같은 느낌(p=0.020, 95%CI), 기억을 잃음(p=0.034, 95%CI)의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자살 계획의 경우 통증 증상군에서 자살 계획이 있었던 군의 증상의 평균 개수가 계획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95%CI). 자살 시도의 경우 소화기 증상군(p=0.004, 95%CI) 및 가성신경학적 증상군(p=0.013, 95%CI) 에서 자살 시도가 있었던 군의 증상의 개수가 시도가 없었던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갈수록 각 증상군의 신체 증상의 평균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체증상의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의 개수가 자살 사고에서 자살 계획, 자살 시도로 진행되는 단계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부 증상군에서는 자살 계획과 자살 시도의 유무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비 정신과적 임상 현장에서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정신과적인 적극적인 평가 및 자살 위험도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