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luble sugars

Search Result 28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현미(고아미) 알코올발효 부산물의 효소처리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n Enzyme Treatment of Brown Rice(Goami) Alcohol Fermentation By-Product)

  • 장세영;우승미;김태영;여수환;김상범;홍주연;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77-482
    • /
    • 2008
  • 고아미 부산물의 $\alpha$-amylase 및 cellulase 혼합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alpha$-amylase 처리구(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llulase 함량이 많아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다. 총식이섬유소 및 총당은 두 효소 농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G{\sim}G5$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말토올리고당은 $\alpha$-amylase 처리구(A)에서 약 2,200 mg%로 가장 높았다. 최적 가수분해 조건으로 제조된 가수분해 분말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이섬유소 함량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고아미 분말(GF)이 6.95%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고아미 부산물 분말(GBPP)과 고아미 가수분해 분말(GBPHP)은 14% 전후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소는 고아미 가수분해 분말(GBPHP), 고아미 부산물 분말(GBPP), 고아미 분말(GF)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고아미 가수분해 분말(GBPHP), 고아미 부산물 분말(GBPP), 고아미 분말(GF)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류 분석에서 고아미 가수분해 분말(GBPHP)는 $G{\sim}G5$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약 1,800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아미 부산물 분말(GBPP)은 $G{\sim}G2$가 검출되었으며 약 66 mg%가 생성되었고, 고아미 분말(GF)에서는 말토올리고당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고아미 가수분해 분말(GBPHP)이 고아미 분말(GF)및 고아미 부산물 분말(GBPP)에 비하여 기능성이 강화되어 쌀가공식품 소재로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었다.

미숙보리곡립의 볶음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 Kernels during Roasting)

  • 이영택;석호문;김성수;김경탁;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6-342
    • /
    • 1994
  • 유숙기 상태인 출수 후 31일경에 채취한 보리곡립을 증기 가열 및 건조 처리하여 시료를 조제한 후 온도 $160{\sim}220^{\circ}C$, 시간 $1{\sim}12$분 사이에서 온화하게 볶을 때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미숙보리곡립의 전분과 질소함량은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보리곡립은 75% ethanol 가용성 유리당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완숙된 곡립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미숙보리곡립에 존재하는 sucrose, raffinose, glucodifructose 및 maltose의 함량은 계속 감소한 반면에 glucose 및 fructose의 함량은 감소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보리곡립은 볶음처리에 의해 팽화되어 체적이 증가하였으며 높은 온도에서 체적은 급격히 상승하였다. 볶음과정중 미숙보리의 L값은 점차 감소하여 어두워지고 a와 b값은 증가하여 적황색으로 변색하여 가지만 볶음정도가 커질수록 b값은 감소하여 검붉은 색으로 변하게 되며 볶음정도는 볶음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미숙보리곡립 추출액의 갈색도는 볶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변반응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온의 볶음조건에서 급격히 상승하였다.

  • PDF

자색(紫色) 고구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Ipomoea batata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9-825
    • /
    • 1995
  • 고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색고구마의 식량자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히고자 엷은 황색고구마와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2.01%, 무질소물이 25.73%였으며, 조지방이 0.25%로 엷은 황색 고구마보다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구성은 2품종 모두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val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자색고구마일 경우 함유황 아미노산이 제1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지방산의 조성은 2품종 모두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80%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더 높았다. 2품종의 고구마 모두 탄수화물 함량은 75%이상이었고 자색고구마의 중성당 함량은 67.22%로 이중 대부분은 glucose였다. 그리고 uronic acid는 11.88%, starch 59.42%였으며, 특히 자색고구마의 유리당은 엷은 황색고구마의 1/3 정도로서 고구마 고유의 단맛이 적었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함량은 2품종 모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은 자색고구마가 63.4mg%, 엷은 황색고구마가 48.7mg%였다. 다음 무기질 구성원소로는 자색고구마일 경우 K, Mg, Ca, Na 등이 주성분이었고, 그외 Fe, Mn, Zn, Cu, Al 등이 확인되었다. 총식이섬유는 자색고구마가 13.43%로서, 이중 수용성식이섬유가 7.74%, 불용성식이섬유는 5.69%였으며 또 엷은 황색 고구마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9.79%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비슷하였다.

  • PDF

씨 뺀 대추의 건조 및 추출중의 특성 변화 (Chaneg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 권용일;정인창;김선희;김소연;이종숙;이재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43-47
    • /
    • 1997
  • 대추에서 차지하는 씨의 중량비는 19.1%였으며, 씨 뺀 건조 대추의 성분은 수분 20.4%,조단백질 5.3%, 조지방 1.3%, 조회분 2.7%, 조섬유 4.4%, 가용성 무질소물이 65.9%였다. 씨 뺀 건조 대추의 알콜 불용성 고형물 함량은 17.4%였으며, 알콜 불용성 고형물중의 산 가용성 펙틴이 3.7%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수용성 펙틴이 3.0%, 염 가용성 펙틴 및 수산화나트륨 가용성 펙틴이 1.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대추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씨 뺀 건조 대추에는 sucrose가 48.1%, fructose가 18.7%, glucose가 11.3%의 함량이었다. 대추의 건조실험에서 씨 떤 대추는 건조 11시간 이후, 일반 대추를 48시간 건조하였을 때의 수분함량(11%)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78 brix)에 도달하여 일반 대추 보다 4배 정도 건조시간이 단축되었다. 가수량과 추출시간에 따른 씨 앤 건조 대추와 일반 건조 대추의 추출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두 시료 모두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감소하였으나, 씨 떤 건조 대추의 당도가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추출 시간에 따른 추출액의 당도는 씨 뺀 건조 대추를 30분 추출한 당도가 일반 건조대추의 150분 추출한 당도와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150분 추출 이후로는 증가하지 않았다. 추출액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일반 건조 대추가, a값과 b값은 씨 떤 건조 대추가 높게 나타났다.

  • PDF

Macrophoma sp.에 의(依)한 사과 부패(腐敗)의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 (I) -병진전(病進展)과 감염(感染)과일의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pple Rot Caused by Macrophoma sp. (I) -Disease Development, Carbohydrate and Amino Acid Contents in Infected Fruits-)

  • 황병국;이용세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81-185
    • /
    • 1982
  • 사과품종(品種) 후지와 밀러의 미숙과(未熟果)는 7월(月) 10일(日)까지 사과 부패병균(腐敗病菌)(Macrophoma sp.)에 대(對)해 완전히 저항성(抵抗性)이었다. 7월(月) 31일(日)에 접종(接種)하였을 때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감수성(感受性)이 되었고 이곰팡이는 밀러보다 후지에서 더 잘 자라났다. $25^{\circ}C$에서 사과부패(腐敗)가 $20^{\circ}C$에 비(比)하여 뚜렷하였다. 양품종(兩品種)의 사과 과육(果肉)에서 총탄수화물(總炭水化物), 환원당(還元糖)은 사과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했다. 건전(健全)한 과일에서는 후지가 밀러보다 더 높은 탄수화물(炭水化物)을 함유(含有)했으며 감염(感染)된 사과가 건전과(健全果)에 비(比)해서 수용성(水溶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을 더 많이 함유(含有)했다. 건전과(健全果)에서 총수용성(總水溶性)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 후지와 밀러사이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사과가 성숙(成熟)함에 따라 총(總)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과육(果肉)에서 감소(減少)되었다. 과육(果肉)에서 탄수화물(炭水化物), 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을 사과부패병(腐敗病)에 대(對)한 미숙과(未熟果)의 저항성(抵抗性)과 연관(聯關)시켜 논(論)하였다.

  • PDF

수분주입량에 따른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Effects of Feed Mois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Corn Fibers)

  • 김철현;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7-433
    • /
    • 2013
  • 본 연구는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주입량의 변화에 따라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료의 수분주입량은 30, 40, 50%로 조절하였으며 스크루 회전속도와 사출구 온도는 각각 200 rpm, $140^{\circ}C$로 고정시켜 압출성형 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원료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수분주입량이 30%일 때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고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비기계적 에너지, 직경팽화율,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비길이는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와 환원당은 수분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는 감소하고 수분용해지수와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수분주입량 30%일 때 유용성분의 추출이 미량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압출성형공정의 적용하여 섬유질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A Bioactive Fraction from Streptomyces sp. Enhances Maize Tolerance against Drought Stress

  • Warrad, Mona;Hassan, Yasser M.;Mohamed, Mahmoud S.M.;Hagagy, Nashwa;Al-Maghrabi, Omar A.;Selim, Samy;Saleh, Ahmed M.;AbdElgawad, Hamad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56-1168
    • /
    • 2020
  • Drought stress is threatening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many economical cro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novative and efficient approaches for improving crop growth and productivity. Here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s of the cell-free extract of Actinobacteria (Ac) isolated from a semi-arid habitat (Al-Jouf region, Saudi Arabia) to recover the reduction in maize growth and improve the physiological stress tolerance induced by drought. Three Ac isolates were screened for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e isolate Ac3 revealed the highest levels of flavonoid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addition to having abilities to produce siderophores and phytohormones. Based on seed germination experiment, the selected bioactive fraction of Ac3 cell-free extract (F2.7, containing mainly isoquercetin), increased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rate under drought stress. Moreover, F2.7 application significantly alleviated drought stress-induced increases in H2O2, lipid peroxidation (MDA) and protein oxidation (protein carbonyls). It also increased total antioxidant power and molecular antioxidant levels (total ascorbate, glutathione and tocopherols). F2.7 improved the primary metabolism of stressed maize plants; for example, it increased in several individuals of soluble carbohydrate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Interestingly, to reduce stress impact, F2.7 accumulated some compatible solutes including total soluble sugars, sucrose and proline. Hence, this comprehensive assessment recommends the potentials of actinobacterial cell-free extract as an alternative ecofriendly approach to improve crop growth and quality under water deficit conditions.

자두과실(果實)의 성숙중(成熟中) 당함량(糖含量) 및 Invertase의 활성변화(活性變化) (Changes in Sugar Content and Invertase Activity in Plum Fruits during the Maturation)

  • 김현주;문광덕;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29-135
    • /
    • 1988
  • 성숙 중 자두 과실의 당함량 및 invertase활성 변화와 효소학적 성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두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soluble sugar의 대부분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이었다. 성숙 중 sucrose의 함량은 초기에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이후 약간 감소하며 성숙말기에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성숙초기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glucose는 감소, fru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nvertase의 활성은 성숙함에 따라 증가하여 색깔의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최고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0과 $65^{\circ}C$였다. pH와 열안정성은 pH 5.0부근에서 안정하였으며, $70^{\circ}C$, 15분간에서 약 75% 잔존활성을 가졌다. 효소 활성은$Ca^{{+}{+}}$, $Cu^{{+}{+}}$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Hg^{{+}{+}}$에 크게 저해되었다.

  • PDF

전리에너지가 버섯의 호흡과 당에 미치는 영향 (Monitoring of Respiration and Soluble Carbohydrate Changes in Mushrooms Following ${\gamma}$-Irradiation)

  • 윤형식;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89-94
    • /
    • 1990
  • 양송이 버섯의 신선도 연장을 위한 전리에너지 처리가 저장중 버섯의 생리적,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호흡활성과 가용성 당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3kGy의 감마선은 선량에 비례하여 조사직후 버섯의 호흡활성을 자극하였으나, 저장($9{\pm}1^{\circ}C$, $80{\pm}7%$ RH) 2일경에는 다시 안정된 호흡량을 보였다. 버섯의 정장중 물리적 생장이 왕성한 5일경에는 호흡량이 최대치를 보였으나 감마선 조사시료에서는 호흡량의 감소와 peak의 발현이 지현되었다. 종이상자와 폴리에틸렌으로 포장된 버섯의 수분함량과 건물량은 저장중 비교적 안정하였고 환원당함량은 저장 5일부터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1). 버섯갓(pileus) 부위의 유리당은 mannitol이 대부분이었고 trehalose와 glucose는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저장후 5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2 kGy 조사시료는 대조시료보다 다소 높은 유리당 함량을 유지하였고, 저장중 버섯의 당함량과 호흡활성의 변화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비파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 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3
    • /
    • 1998
  • To furnish basic data about the utilization of Korean loquat as floo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Nutritional components in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of Korean loquat were analyzed as follows : moisture 48.7%, 87.8%, 88.3% and 59.5% ; total sugar 1.57%, 7.21%, 7.36% and 2.41% ; crude protein 5.23%, 1.61%, 1.44% and 4.31%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of loquat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were Ca 2,458ppm, K 661ppm, 654ppm and 1,528ppm, and water soluble vitamins such as ascorbic acid, thiamin and pyridoxine were confirmed in different pares of Korean loquat, the contents of those were high thiamin 5.86mg% in leaves and ascorbic acid 1.l0mg%, 1.26mg% and 4.90mg% in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ree sugars were high sucrose 0.87%, glucose 0.62%, 0.6475 and rhamnose 0.20%, and major organic acid were detected oxalic acid 1,693.70mg%, malic acid 201.70mg%, 207.60mg% and citric acid 55.70mg%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Free amino acid were identified 21, 14, 14 and 16 kinds of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s in each portion were highest glutamic acid 280.22mg%, proline 35.l0mg%, glutamic acid 56.96mg% and sarcosine 230.24mg%, respectively.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25 and 11 kinds of leaves and flesh and their contents were highest d-nerolidol 28.70ppm, hexadecanoic acid 16.67ppm,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