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nitrogen

검색결과 2,409건 처리시간 0.027초

논토양에서 질소비종 및 벼 재배양식이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s and Cultural Patterns on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y Fields)

  • 고지연;강항원;강위금;박향미;임동규;박경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3
    • /
    • 1998
  • 논토양에서 질소비종 및 재배양식에 따른 메탄배출양상과 질소비종이 담수토양의 pH와 E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중묘이앙재배에서 질소비종에 따른 메탄배출총량은 요소 32.9g $m^{-2}$ > 유안 30.3 > 완효성비료 26.4g $m^{-2}$의 순이었으며,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요소 24.7g $m^{-2}$ > 유안 16.7g $m^{-2}$ > 완효성비료 22.8g $m^{-2}$의 순이었다. 2. 질소비종에 따른 메탄배출량은 요소시비구보다 유안은 18.4%, 안효성비료는 15.9% 저감되었다. 3. 재배양식별로는 건답직파재배는 중묘이앙재배보다 29.7%의 메탄발생량이 저감되었다. 4. 질소비종에 따른 담수토양의 pH는 요소>완효성비료${\fallingdotseq}$무비>유안의 순으로 높았는데 이는 질소비종별 메탄배출량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토양 Eh는 유안>완효성비료>무비>요 소의 순으로 높아 pH 및 메탄배출량과 반대경향이었으며, 토양용액내 $SO_{4}$ 농도는 유안>완효성비료>요소>무비의 순으로 높았다.

  • PDF

답전윤환토양(沓田輪換土壤)에서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 (Mineralization of Nitrogen in Soils under Paddy-Upland Switching Cultivation Systems)

  • 안상배;모타마쯔 테르시아;연병렬;육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37
    • /
    • 1992
  • 답전윤환포장(沓田輪換圃場)에서 토양질소(土壤窒素) 무기화양상(無機化樣相)의 몇가지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배양(湛水培養)한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은 '90년(年)(2년차(年次))에서는 감자-배추구(區)>대두구(大豆區)>벼연작구(連作區)이었으나 '91년(年)(3년차(年次))에는 감자-배추구(區)>벼연작구(連作區)>대두구(大豆區)의 순(順)이었다. 2. 3년차(年次)('91년(年) 밭 상태조건(狀態條件)에서 생성(生成)된 토양질소무기화량(土壤窒素無機化量)은 감자-배추구(區)에서는 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전윤환(田輪換)이지만 대두구(大豆區)에서는 반대(反對)로 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전윤환(田輪換)이었다. 3. 토양(土壤)의 전질소(全窒素) 및 전탄소함량(全炭素含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比)하여 윤환구(輪換區)에서 낮아졌는데 특(特)히 대두윤환구(大豆輪換區)에서 현저히 낮아졌다. 4. 지력질소(地力窒素)의 판정기준법(判定基準法)으로 이용(利用)되는 인산완충용액법(憐酸緩衝溶液法)에 의한 가급태질소함량(可給態窒素含量)과 담수토양법(湛水土壤法)에 의한 $NH_4-N$ 생성량(生成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 PDF

삼림토양의 질소 무기화와 무기질소의 동태 (Nitrogen Mineralization and Dynamics in the Forest Soil)

  • Mun, Hyeong-T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17-325
    • /
    • 1991
  • Mineral nitrogen dynamics and net mineralization of nitrogen in oak(quercus accutissima) and pine(pinus rigida) forest soils were studied. Nitrogen mineralization was determined over 8-week period by incubation method at laboratory. Initial water content of incubating soils was adjusted by applying suction(30mmhg), and lossof water during incubation was recovered with deionized water using syringe at every 3 or 4days. Temperature of incubator was maintained with 35+0.3c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Content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nh4-n and no3-n in soils in oak stand were significantly highter than those in pine stand. soil ph was lower in pine stand than in oak stand. initial nh4-n and no3-n of soils used in incubation experiment were 12.6 ug/g and 6.5 ug/g for oak stand, and 5.3ug/g and 5.1 ug/g for pine stand, respectively. Production of nh4-n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st both stands, and showed a peak at 5th week in oak stand(28.5 ug/g) and 6th week in pine stand(16.7 ug/g), and then decreased. intial no3-n of soils in oak(6.5 ug/g) and pine(5.1ug/g)stands, increased to 36.2 ug/g in soils of oak stand(5th week) and 13.4 ug/g in pine stand(4th week), respectively. The low values of no3-n of the field soil in the growing season compared with those of incubating soils at both stands indicate that considerable amount of nh4-n and no3-n produced in soils of oak and pine stands during two-months incubation were 59.7 and 141.6mg/kg soil, and 51.9 and 41.2mg/kg soil, respectively.

  • PD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of Rape (Brassica napus L.) in Newly Reclaimed Land in Korea

  • Yang, Chang-Hyu;Kim, Taek-Kyum;Kim, Sun;Baek, Nam-Hyun;Choi, Weon-Young;Lee, Jang-Hee;Jung, Jae-Hyeok;Lee, Yong-Hwa;Kim, Si-Ju;Lee, Kyeong-B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97-59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rate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rape in the newly reclaimed land located at Gangwhal region of Saemangum reclaimed land in which the soil is sandy loam (Munpo series). There were five treatments of nitrogen fertilization from zero to 60% increment based on the standard fertilization of $150kg\;ha^{-1}$. The growth of rape (Sunmang) was not affected by salt content while soil salinity was increased at blossoming season of rape. Compared to yield of standard fertilization the yield and the content of oleic acid of rape were increased by 4~26% with the increasing additional nitrogen fertiliz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growth and yield of rape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rape in a newly reclaimed land if soil salinity was kept below $3dS\;m^{-1}$.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05-711
    • /
    • 2016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g\;kg^{-1}$ and C/N ratio was 20.3.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for sandy loam and loam was $2.5Mg\;ha^{-1}$ and $2.3Mg\;ha^{-1}$, respectively, $0.8{\sim}1.1Mg\;ha^{-1}$ higher than tha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increased with delaying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in loam and clay loam was $51.3kg\;ha^{-1}$ and $53.5kg\;ha^{-1}$, respectively. Therefore, in terms of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proper soil textur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sandy loam and loam.

질소비료 시비량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Rate)

  • 배은지;한정지;이광수;박용배;최수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97-404
    • /
    • 2015
  • 양질 다수확 들잔디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질소비료 시비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질소 시비량에 따른 들잔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와그너 포트시험과 잔디 재배지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트시험에서는 지상부와 포복경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 개체수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질소비료 시비량 24와 $48kg\;N\;10\;a^{-1}$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잔디재배지 포장시험에서는 질소비료 시비량이 높을수록 지상부길이, 지상부, 포복경과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 개체수와 전체 포복경 개수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질소비료 $24{\sim}32kg\;N\;10\;a^{-1}$ 처리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질소비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토양 내 pH, 치환성 양이온 칼슘과 마그네슘이 낮아져 토양 화학성이 악화되었다. 따라서 들잔디 생육 및 토양의 화학성을 고려한 적정 질소비료 시비량은 $24kg\;N\;10\;a^{-1}$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시비 구배에 따른 묵밭의 식물 군집 반응 (Response of Old-field Plant Community to an Experimental Nitrogen Gradient)

  • Lee, Kyu-Song;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4호
    • /
    • pp.341-351
    • /
    • 1996
  • In ord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early successional development among similary aged old-fields having different soil nitrogen (N), caused by the land use history before at abandonment, the response of plant community along an experimental nitrogen gradient (control plot (No), plot NI with 5.8g $N/m^2$, plot N2 with 11.7g $N/m^2$ and plot N3 with 23.3g $N/m^2$) was investigated in a five-year-old abandoned field. Although the N content in soil among treatments was similar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N concentrations in plant tissu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N suppl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most all the N contained in N-enriched soil might be absorbed by plants during the growing season after N supply. Vegetation tended to grow vigorously by nitrogen supply, and the standing bioma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lots NI and N2 . Species richness of plants, especially of annuals and perennials, was more reduced than the control plot, and the species diversity was also reduced by N supply. The importance value (IV) of species by N supply differed in each species along the position on the successional ser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s the dominant species in this old-field decreased slightly; annuals as the earlier successional species decreased clearly along nitrogen gardients; Erigeron annuals as the earlier successional species and as a strong competitor with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d the highest IV by small N supply; Miscanthus sinensis and Rubus crataegifolius as the later successional species increased by large N supp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ld-fields with high soil N might show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ier successional stages, but community composition in those old-fields might be changed more quickly from the sarlier successional species than the later successional species.

  • PDF

하추기 이상 저온하에서 뽕나무 발육부진요인과 추비에 의한 생육증진 (Mulberry Growth Promotion by Nitrogen Application under Abnormally Wet and Cool Weather Conditions)

  • 이원주;윤명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0-114
    • /
    • 1994
  • 93년 뽕나무 생육기에 내습한 이상저온 현상에 대한 감수정도와 요인을 분석하는 한편, 경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수원 잠업시험장과 충남 공주군에 소재한 충남도 잠업사업소 등 2개 장소에서 방임구를 대조로 요소엽면시비구 (요소 0.7%), 잠시비료 8호구 (요수 0.7%와 미량요소 함유), 그리고 질소질 6kg/10a를 황산암모늄으로 덧거름한 4개처리구를 설치하여 시험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여름베기후 뽕나무 생육기간 중인 6월 하순-9월 상순사이에 전국적으로 평년대비 평균기온은 1.4$^{\circ}C$ 낮았으며, 강우량은 83mm나 많았으며, 그 결과 가을뽕 수량은 평년대비 16.4% 감수되었는데, 뽕잎의 감수에 더 크게 영향하는 요인은 기온의 저하보다는 강우량의 과다에서 오는 질소질의 용탈에 원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이상저온 내습시 생육부진을 막기 위해 요소 및 잠시비료 8호를 각각 엽면시비한 구보다는, 질소질 6kg/10a를 덧거름으로 시비한 구에서 5% 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될 정도로 증수되었다. 3. 뽕잎분석 결과 전질소 함량은 요소살포구와 질소질 덧거름구에서 방임구 3.53% 대비 0.53% 높았다.

  • PDF

Effects of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Poultry litter, Nitrogen, and Phosphorus on Growth and Yield in Chickpea

  • Solaiman A. R. M.;Rabbani M. G.;Molla M. 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6-261
    • /
    • 2005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Ban­gabandhu Sheikh Mujibur Rahman Agricultural University, Gazipur to study the response of chickpea (Cicer arietinum L) to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poultry litter, nitrogen, and phosphorus on spore population and colonization,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 The performance of Rhizobium inoculant alone was superior to control in all the parameters of the crop studied. Among the treatments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poultry litter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 dry weight of shoots and roots, number of pods/plant, number of seeds/pod, and seed yields of chickpea. The highest seed yield of 3.96g/plant was obtained by inoculating chickpea plants with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association with poultry litter. Treatments receiving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Rhizobium inoculant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and that of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similar as that of treatment receiving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and arbuscular mycorrhiza in presence of poultry litter. From the view point of nodulation, growth, yield attributes, and yields of chickpea, dual inoculation of Rhizobium inoculant and arbuscular mycorrhiza along with poultry litter was considered to be the balanced combination of nutrients for achieving the maximum output from cultivation of chickpea in Shallow Red Brown Terrace Soil of Bangladesh.

상토 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벼 어린모 묘소질 및 배아양분 소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t Different Nursery Soils on Seedling Characters and Endosperm Consumption in Rice Seedling)

  • 김상수;최민규;이선용;유철현;조수연;전병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14-520
    • /
    • 1996
  • 벼 어린모 상자육묘시 상토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상토종류별 적정 시비량을 구명하고자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흙 및 산흙에 요소로 질소를 상자당 0, 1, 2, 3g 시용하고 평균 $25^{\circ}C$의 온실에서 육묘하여 묘생육을 컴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저하되었고 논흙에 질소 3g/상자 시용에서는 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고, 논흙이 산흙보다 시비량 증가에 따른 출아율 저하가 컸다. 2. 성묘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여 산흙에서는 질소 2g/상자, 논흙에서는 1g/상자 까지 90% 이상의 입모율을 보였으나 그보다 시비량이 많으면 입모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3. 모의 초장은 산흙에서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논흙에서는 2>3>1>0g /상자의 순으로 길었으며, 엽수는 산흙의 6일묘에서는 3>2>1>0g /상자의 순으로 많았으나 8일묘 이상에서는 무비를 제외하고는 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4. 모의 건물중은 산흙에서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무거웠으나 논흙에서는 시비량 2g에서 가장 무거웠다. 5. 배아잔존율은 상토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두 상토 모두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어지는 경향 이었다. 6. 뿌리량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많았고, 논흙에서는 0>1>2>3g/상자의 순으로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었으며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다. 7. 맷트의 인장력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컸고, 논흙에서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컸고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으며, 맷트 형성 정도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양호하였다. 이상 입모상태, 모생육 및 맷트 형성 정도를 고려할 때 어린모 상자육묘의 적정 대소 시비량은 산흙 2g/상자, 논흙 1g/상자이라고 판단된다.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형간에는 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우수하였고, 비종간에는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에서, 그리고 질소의 감비보다는 100%시용구에서 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른 분얼체계와 동신엽, 동신분얼의 수량성은 표준구와 50%증비구는 0, 1, 2, 11, 3, 21, 12, 22, 4, C의 순위였으나 100%증비구에서는 주간보다 1차분얼의 1이 무겁고 3보다 11이 무거웠다.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대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관계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