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xture ratio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토양안정재를 혼합한 녹생토의 전단강도 및 침식저항특성 (Shear Strength and Eros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Green Soils)

  • 오세욱;전진철;김동근;이헌호;권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45-52
    • /
    • 2015
  • 최근 산림 훼손지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생태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공 비탈면을 보강하면서 친환경적인 녹화가 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태복원을 목표로 식생생육의 기반이 되는 인공토양의 조성과 관련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니, 톱밥, 제지슬러지, 화강풍화토가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는 녹생토와 친환경적인 토양안정재를 활용하여 연구수행을 하였다. 토양안정재와 혼합된 녹생토를 이용해 기본물성실험을 통해 녹생토의 기본적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친환경적인 토양안정재를 일정비율로 녹생토와 혼합하여 각각의 비율에 따른 전단강도실험을 수행하여 최대전단강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녹생토와 토양안정재의 혼합비율을 전단강도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탈면의 기울기를 적용하여 토양안정재의 혼합비율에 대한 침식률과 발아율을 분석하여 주변 환경적 요인에 대처 가능한 토양안정재의 경제적인 혼합비율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양생기간과 안정재의 혼합률에 따라 최대 51%까지 전단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이 모두 상승한 점을 확인하여 안정재가 녹생토의 전단성능 과침식저항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Evaluation of strength properties of cement stabilized sand mixed with EPS beads and fly ash

  • Chenari, Reza Jamshidi;Fatahi, Behzad;Ghorbani, Ali;Alamoti, Mohsen Nasir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6호
    • /
    • pp.533-544
    • /
    • 2018
  • The importance of using materials cost effectively to enhance the strength and reduce the cost, and weight of earth fill material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led researchers to seek for modifying the soil properties by adding proper additives. Lightweight fill materials made of soil, binder, water, and Expanded polystyrene (EPS) bead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geotechnical practices. This paper primarily investigates the behavior of sandy soil, modified by EPS particles. Besid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ing sand, EPS and the binder material such as fly ash and cement were examined in different mixing ratios using a number of various laboratory studies including the Modified Standard Proctor (MSP) test,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test, th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test and the Direct Shear test (DST). According to the results, an increase of 0.1% of EPS results in a reduction of the density of the mixture for 10%, as well as making the mixture more ductile rather than brittle. Moreover, the compressive strength, CBR value and shear strength parameters of the mixture decreases by an increase of the EPS beads, a trend on the contrary to the increase of cement and fly ash content.

유기 벤토나이트에 의한 중금속 흡착특성 (Adsorption of Heavy Metals on Organobentonite)

  • 유지영;최재영;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8-171
    • /
    • 2001
  • Organobentonite modified with hexadecyltrimethylammonium (HDTMA) was used to quantify an adsorption of heavy metals. Based on preliminary experiments, optimal soil/solution ratio, a range of pH, and electrolyte were selected. Adsorption experiments of cadmium and lead were conducted to quantify an adsorption selectivity to bentonite and organobentonite. Adsorption of cadmium and lead to bentonit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 soil/solution ratio. Adsorption of cadmium and lead to bentonit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 soil/solution ratio. Adsorptions of heavy metal to organobentonite were slightly reduced relative to bentonite. This study used the principle of hard-soft-acid-base (HBAB) to interpretate an adsorption mechanism. Because of competition between cadmium and lead. adsorption of cadmium and lead was reduced in mixture of heavy metals. Adsorption selectivity.

  • PDF

유기질 혼합토의 토공재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Organic Mixed Soil as Earthwork Materials)

  • 박흥규;구제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29-35
    • /
    • 2002
  • 본 연구는 유기질토를 토공재로서 활용할 목적으로 시료A(모래+유기질토)와 시료B(풍화토+유기질토)의 두 가지 시료를 유기질토 혼합비를 5%, 10%, 20%, 30%, 40%, 50%로 혼합하여 각종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A, B의 용출시험에 의한 COD값은 순수 유기질토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값을 보였으며, 초기 침출수의 COD 값은 침출수 수질기준을 약간 상회하였지만 용출시작 4시간후의 COD 값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모래와 유기질토의 혼합토는 유기질토 혼합비 40%(유기물함유량 11.3%)내에서는 성토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토와 유기질토의 혼합토는 유기질토 혼합비 30%(유기물함유량 16.4%)이내에서 토공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진다.

  • PDF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 (Change in Growth of Chrysanthemum zawadskii var. coreanum as Effected by Different Green Roof System under Rainfed Conditions)

  • 주진희;김원태;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7-123
    • /
    • 2011
  • 본 연구는 빗물 활용 옥상녹화에서 식재기반 차이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생육 변화를 살펴보고, 적합한 토심과 토양배합비를 제시함으로써 옥상조경 식물소재로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토심(15cm, 25cm)과 토양배합비(S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를 각각 다르게 실험구를 조성하였으며, 내건성과 관상가치가 뛰어난 한라구절초를 식재한 후 초장, 녹피율, 엽록소 함량, 생체중과 건조중, T/R율 등을 측정하였다. 토심 15cm처리구에서 토양배합비에 따른 한라구절초의 초장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PPL배합토인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가 사양토인 SL보다 높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경우, SL <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 $P_4P_4L_2$ 순으로 초장이 길었다. 녹피율의 경우 토심 15cm처리구에서는 초장과 같이 토양배합비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는 SL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토심 25cm처리구의 전체적으로 86~89%의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토심 15cm처리구에서 SL이 가장 높게, $P_5P_3L_2$이 가장 낮았으며, 토심 25cm처리구에서는 $P_4P_4L_2$과 SL에서 가장 높은 값을, $P_7P_1L_2$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경우 배합비보다는 토심에 따른 차이가 더 뚜렷하여 토심 25cm처리구가 15cm처리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빗물활용 옥상녹화 식재지반에 있어 한라구절초의 생육은 토심 25cm가 토심 15cm보다, PPL배합토, 특히, 피트모스함량이 높은 $P_4P_4L_2$이 사양토보다 더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골프장에 사용되는 4가지 토양개량제들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이화학성의 변화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Mixed Ratio of 4 Types of Soil Amendments Used in Golf Course)

  • 김영선;함선규;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0
    • /
    • 2010
  • 본 연구는 코스조성에 주로 사용되는 4종의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래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상토의 물리화학성을 조사한 결과 peat, humate, peatmoss 및 zeolite는 pH와 CEC에서 고도의 상관성(P<0.01)을 나타내어 토양개량제의 특성에 따라 상토의 토양화학성에 영향을 주었다. 상토의 토양물리성 결과를 통해 USGA 기준으로 평가할 때, 최적의 혼합비율은 토양개량제 peat, humate 및 peatmoss는 각각 5%, 3%, 7%이고, zeolite에서는 적합한 비율을 찾을 수 없었다. 각 토양개량제들의 혼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비모세관공극으로 총공극과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토양개량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토양개선효과를 비교할 때, peat와 peatmoss는 토양 모세관공극 및 수리전도도에서, humate는 수리전도도에서, zeolite는 비모세관공극과 총공극에서 고도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해 골프코스의 상토조성에 사용되는 토양개량제의 종류와 특성 및 혼합비율이 USGA 상토의 근권층 개량과 토양 이 화학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performance method of sand compaction piles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reinforced soft clay

  • Kwon, Jeonggeun;Kim, Changyoung;Im, Jong-Chul;Yoo, Jae-wo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2호
    • /
    • pp.175-185
    • /
    • 2018
  • Sand Compaction Piles (SCPs) are constructed by feeding and compacting sand into soft clay ground. Sand piles have been installed with irregular cross-sectional shapes, and mixtures of both sand and clay, which violate the design requirement of circular shap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area ratio due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side flow pressure. Therefore, design assumptions cannot be satisf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ground and construction and the replacement area ratio. Two case histories were collected, examined, and interprete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the shape of SCPs. The effects of the distortion of SCP shape and the mixture of sand and clay were studied with the results of large direct shear tests. The design internal friction angle was secured with the irregular cross-sectional sand piles regardless of the replacement area ratio. The design internal friction angle was secured regardless of mixed condition when the mixture of sand and clay was higher than the replacement area ratio of 65%. Therefore, systematic construction management is recommended with a replacement area ratio below 65%.

제지회계 지반개량재로 처리된 연약점토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Clay Improved by PFA Stabilization Agent)

  • 김광빈;이용안;김유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61-568
    • /
    • 2002
  • PFA(Paper Fly Ash) are reclaimed mainly or used in cement industry field as mixture agent in terms of materials recycling. Recently, research for recycling PFA as embankment materials or soil stabilization agent are undergoing in geotechnical engineering field. In this stud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FA stabilization agent-soil admixtures are examined in change of water content, void ratio, consistency, grain distribution, specific gravity and density. Futhermor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unconfined strength as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est results showed that unconfined strength and density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PFA stabilization agent mixed ratio. On the other hand, specific gravity, void ratio and water content are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PFA stabilization agent mixed ratio. It would be concluded that natural high water content ratio weak soil could be highly improved engineer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ith PFA stabilization agent

  • PDF

Engineering properties of expansive clayey soil stabilized with lime and perlite

  • Calik, Umit;Sadoglu, Erol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403-418
    • /
    • 2014
  • There are around 6700 millions tons of perlite reserves in the world. Although perlite possesses pozzolanic properties, it has not been so far used in soil stabilization. In this study, stabilization with perlite and lime of an expansive clayey soil containing smectite group clay minerals such as montmorillonite and nontronite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For this purpose, test mixtures were prepared with 8% of lime (optimum lime ratio of the soil) and without lime by adding 0%, 10%, 20%, 30%, 40% and 50% of perlite. Geotechnical properties such as compaction, Atterberg limits, swelling,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ixtures and changes of these properties depending on perlite ratio and time were determined. The test results show that stabilization of the soil with combination of perlite and lime improves the geotechnical properties better than those of perlite or lime alone. This experimental study unveils that the mixture containing 30% perlite and 8% lime is the optimum solution in stabilization of the soil with respect to strength.

Bottom Ash를 이용한 그라우팅재의 환경적 연구 (A Study of the Bottom Ash as Environmentally Grouting Materials)

  • 도영곤;권혁두;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1호
    • /
    • pp.5-11
    • /
    • 2006
  • 본 연구는 산업폐기물인 Bottom Ash의 재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Bottom Ash의 적정 혼합비를 산정 한 후 황토, 풍화토, Bentonite를 일정량 혼합하여 강도와 내구성에 대해 평가했고, 중금속 용출시험을 통해 환경적 영향을 검토했다. 그 결과 시멘트:Bottom Ash의 적정혼합비는 6:4이고, 황토, 풍화토, Bentonite는 6% 혼합하였을 경우 강도와 내구성에 가장 효과적 이였다. 또한 중금속 용출시험결과 지정 폐기물 기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