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il faun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Replacing C3S cement with PP fibre and nanobiosilica in stabilisation of organic clays

  • Soheil Ghadr;Arya Assadi-Langroudi;Hadi Bahador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3권4호
    • /
    • pp.401-414
    • /
    • 2023
  • Organic clays are ideal habitat for flora and fauna. From a geotechnical perspective, organic clays are soft, weak, variable, heterogeneous and flocculated. Portland cement is a universally common stabiliser. However, some organic acids in soil inhibit full hydration and expose cementation products to rapid dissolution. This paper investigates scopes for use of C3S cement to enable durable cementation. Prospects of using PP fibre alongside with C3S cement, scopes for partial replacement of C3S cement with a plant-based nanosilica and evolution of binders are then investigated. Binding mixtures here mimic the natural functions of rhizoliths, amorphous phases, and calcites. Testing sample population include natural and fibre-reinforced clays, compact mixes of clay - C3S cement, clay - nanobiosilica, and clay, C3S cement and nanobiosilica. Benefits and constraints of C3S cement and fibres for retaining the naturally flocculated structure of organic clays are discussed. Nanobiosilica provides an opportunity to cut the C3S content, and to transition of highly compressive organic clays into an engineered, open-structured medium with >0.5 MPa compressive strength across the strains spanning from peak to 1.5-times peak.

지명 속에 나타난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of Gaesung as Reflected in the Geographical Names)

  • 이영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3-300
    • /
    • 2006
  • 본고는 남북경제협력 사업인 개성공단 개발사업으로 남 북한 모두에게 장소의 의미가 커진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특성을 지명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문헌분석, 탈북자와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그리고 두 차례의 개성 현지답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명에 나타난 개성지역 산지의 특성은 산지의 구성비율이 높고 산의 형태가 둥근 모양과 삿갓 모양이 많으며, 산과 하천으로 둘러싸인 곳은 잦은 안개발생과 하천침식에 의한 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둘째, 지명에 나타난 개성의 하천은 모래의 양이 많고 유황이 불안정하며 일부 개풍군 및 판문군 일대의 하천은 조석의 영향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지명에 투영된 동 식물은 그 서식환경이 개성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넷째, 토양, 벼랑, 벌, 바위와 관련된 기타지명에서 토양 특히 붉은 토양과 관련된 지명은 개성의 북부 산지지역에 분포하고, 벼랑과 관련된 지명은 벼랑 발달의 원인이 되는 하천 연안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평야를 의미하는 벌 관련 지명은 사천강의 지류인 서암천 연안에 분포하고, 바위 관련 지명은 산과 하천 그리고 마을이 혼재되어 있는 곳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북한개성지역은 남북경제협력 사업이자 평화구축 프로젝트인 개성공단 개발사업과 개성관광사업으로 남 북한 모두에게 지역 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하지만 개성지역이 북한 땅이기 때문에 자료접근이 어렵고 기초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개성지명에 관한 본 연구는 지역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개성지역을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대두증산을 위한 기생선충 조사 (Survey on Soybean Parasitic Nematodes)

  • 최영연;최동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1-261
    • /
    • 1983
  • 대두에 기생하는 선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북 및 충북의 15개시군 총 71개포장에서 재료를 채집하여 선충을 분리 동정한 결과, Aphelenchus avenue, Criconemoides informis, Ditylenchus dipsaci Helicotylenchus pseudorbustus, Heterodera glycines, Hischmanniella imamuri,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Paratylenchus panadus,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mus, Psilenchus hilarulus, Rotylenchus sp. Tylenchu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 Tylenchorynchus, Tylenchorhynchus, Xiphinema americanm 등 총 8과 14속 1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 Heterodera glycines가 가장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선충의 검출율에 있어서 콩 Cyst선충은 충북이 $70\%$, 지이 $50\%$로 충북이 높았고 반면에 뿌리혹선충은 경북 $54.1\%$, 충북이 $19.1\%$로 경북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포장에 있어서 Cyst선충의 절대밀도는 토양 100l당 200.4이며 상대밀도는 $40.2\%$로 가장높게 나타났고, 뿌리혹 선충은 절대밀도가 107.1이며 상대밀도는 $21.4\%$로 다음이였으며, Rotylenchus, Tylenchorhynchus, Tylenchus, Pratylenchus, Xiphinema, Aphelenchus등의 순이였다.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콩 Cyst의 밀도가 토양 100ml 당 평균 155개이고 경한 포장에서는 평균 35개로 밀도가 높았으며 수확량은 평균 64.2kg/10a로 209.5kg/10a에 비하여 $70\%$가 감소되었다. 전피해조사포장에 있어서 콩 Cyst선충수는 수확량, 협중, 협수간에는 $r=-0.75^{**},\;r=-0.47^{**},\;r=0.38^*$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육상생태분야의 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Amelioration Measures of the Assessment on Terrestrial Ecosystem Field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 고강석;서민환;강인구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1호
    • /
    • pp.37-4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roblems of assessment on terrestrial ecosystem part in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EIA) and to suggest the proper amelioration measures by analyzing 19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EI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1991 to 1994.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eld survey for the investigation of fauna and flora in project areas should be conducted at least 3 times a year and name of investigator should be written on the EIS clearly. Increase or decrease in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productivity cannot be an absolute criteria for expressing the amount of changes in ecosystem. Evaluation for the ecosystems and their composition in project area is more important than presenting merely the increase or decrease in degree of green naturality and productivity. Alleviation measures in 19 EIS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to 6 types: They are establishment of landscape plan, transplanting of useful trees preservation of big tree and protected species,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existent vegetation, establishment of soil conservation measures and diminution of the impact on animal. However, they were somewhat insufficient because they wouldn't suggest the alleviation measures in detail. The more positive counter-proposals are needed to decrease the impact of the project on terrestrial ecosystem.

  • PDF

Reports of Drawida (Oligochaeta: Moniligastridae) from far East Asia

  • Blakemore, Robert J.;Lee, Seunghan;Seo, Hong-Yul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27-166
    • /
    • 2014
  • Moniligastrids are an important yet often ignored earthworm group commonly found in cultivated soils, especially paddy, in the tropical East. Seven new taxa are: Drawida koreana austri, D. koreana nanjiro, D. koreana shindo, D. odaesan, D. jeombongsan, D. companio and D. csuzdii Blakemore spp. or sub-spp. nov. from Korea. Drawida csuzdii is the first new species from North Korea since Lumbricidae Eisenia koreana (Zicsi, 1972). Historical East Asian moniligastrids are reviewed chronologically and Drawida barwelli (Beddard, 1886), D. japonica (Michaelsen, 1892) and D. siemsseni Michaelsen, 1910 are compared on their museum types. These three taxa were thought similar and related to D. nepalensis Michaelsen, 1907 and its possible synonym D. burchardi Michaelsen, 1903 (priority!) and both of these to prior D. uniqua (Bourne, 1887). Indian Drawida calebi Gates, 1945 is compared to new material of D. japonica from Japan, and D. willsi Michaelsen, 1907 to the new sub-species of D. koreana Kobayashi, 1938 from Korea. Where available, mtDNA COI gene barcodes are provided to help objective determinations and a phylogram is provided with outgroup Ocnerodrilidae Eukerria saltensis (Beddard, 1895) itself found in rice paddy/irrigation. The challenge now is comparison of all early taxa in their various homelands in order to assess the genetic variability and taxonomic boundaries acceptable, especially for unpigmented D. barwelli and also for pink/grey D. japonica and blue/grey D. koreana. A checklist of moniligastrids is appended showing 22 species from China (including Hainan and Taiwan), 21 from Korea, nine from Japan and the Drawida ghilarovi Gates, 1969 species-complex from far eastern Russian (Siberia). Recent Drawida dandongensis Zhang & Sun, 2014 from Sino-Korean border is misdescribed and cannot be meaningfully compared to any other Drawidas.

경북지방 사과원의 동계 절지동물(Arthropoda)상 (Observation on the Fauna of Arthropods form Apple Orchards in Winter in Kyongbuk Province)

  • 이영인;권기면;이순원;류하경;류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1-236
    • /
    • 1997
  • 경북지역 동계 사과원의 절지동물상을 조사한 결과 사과나무 유인밴드 내에서는 3강 19목 58과가 채집, 분류.동정되었고, 그중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53%,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Hausmann) 16.7%, 은기문목(날개응애류) 13.3%, 톡토기목(Collembola) 9.3%순으로 나타나 초식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부식자였으며 천적은 드물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낙엽에서는 2강 12목 17과가 조사되었는데, 그중 점박이응애가 63.1%로 우점이었고, 톡토기목이 13.7%였으며, 기타 절지동물은 몇 개체씩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아래 토양에서는 2강 9목 18과가 조사되었는데, 톡토기목이 37.9%, 날개응애류가 34.4%, 점박이응애가 16.1% 순으로 나타나 부식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초식자였고 천적류는 몇 개체씩만이 조사되었다.

  • PDF

진해지역부대 자연환경조사를 통한 생태계 보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Jinhae Area Troops)

  • 장철현;유종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733-738
    • /
    • 2014
  • 군부대는 "군(軍)환경보전지침"에 따라 기본임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국가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부대 내 야생동 식물 서식종과 서식현황 파악이 미비하여 진해지역 부대의 자연환경조사를 2013년 3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법정보호종은 식물상으로는 백양꽃, 포유류는 담비, 수달, 삵 등 3종, 조류는 붉은배새매, 참매, 조롱이, 큰말똥가리, 황조롱이, 긴꼬리딱새 등 6종이 확인되었다. 군부대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는 우선 군부대 내 자연생태계 조사사업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부대내 설치된 오폐수처리시설, 토양오염방지시설, 폐기물보관시설 등 환경기초시설물의 적정 유지관리를 통해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지자체, 민간단체 등과 협력하여 자연정화활동, 야생생물보호활동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시화호 인공습지 동물상 조사연구 (A Faunal Study in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 이우신;우건석;심재한;허위행;최현정;이상철;권순국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93-105
    • /
    • 2004
  • The Shihwa wetland, a newly developed constructed wetland prototype in Korea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104 ha,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severely polluted inflow streams into Lake Shihwa. Because this wetland could play a role as an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n ecological impact of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has been a national concern. This paper focused on reporting the survey results for fauna among the entire investigation results for 3 years. A total of 129 terrestrial insect species have been observed from August 2001 to June 2002. Among them, Ischnura asiatica (Brauer) (order Odonata), Scymnus species (order Coleoptera) and Orthopteran specie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reed bushes. A total of 77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a seasonal count,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34 in winter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4,599 in summer. For the freshwater fish, only 4 species were found in 2000, however in 2001 and 2002, 12 species and 459 individuals were collected at four survey points. Among these 12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Mugil cephalus(36%), followed by Carassius auratus (25%) and Rhinogobius brunneus (22%). Meanwhile,12 individuals of Oryzias latipes were observed nearby, mostly downstream of the wetland. For the Herpetofauna at four survey areas, 3 species of amphibians and 3 species of reptiles were recorded. Because of remaining salinity in the soil of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Herpetofauna inflow to the wetland was scanty and mainly inhabited the upstream area. A total of 8 mammal species were recorded. Small-sized species were the striped field mouse, the Ussurian harvest-mouse, the Manchurian reed vole and the brown rat. Middle- and large-sized species were Korean water-deer, Korean raccoon dogs, Korean yellow weasels and feral cats.

꽃오배자면충(매미목 : 진딧물상과)의 생태 (Bionomics of the Galls Induced by Nurudea (Homoptera: Aphidoidea))

  • 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6-11
    • /
    • 2004
  • 1999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전북 완주군 대아 수목원에서 꽃오배자(Nurudea yanoniella) 충영의 형성과 1차 기주식물인 붉나무 잎의 생장관계를 조사하였다. 꽃오배자면충은 붉나무 가지의 높은 잎 및 하단의 소엽에 충영을 형성하고, 충영은 6월 29일 경에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충영을 절개하여 오배자면충의 발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간모(fundatrix)가 3번 탈피하여 7월 10일에 간모성충이 100% 나타났으며 제 2세대를 체내에 간직하고 있었다. 제 2세대는 7월 12일에 약충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3회탈피하여 8월 2일에는 무시형 성충이 나타났다. 제3세대는 9월 10일 경에 성충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9월 15일에는 충영의 분지선단이 열려 유시형 성충이 탈출하기 시작하였다. 충영의 형태가 꽃오배자와는 전혀 다르고 충영의 출현시기도 8월 2일로써 꽃오배자보다 한달 정도 늦으며 충영의 형성위치도 줄기에 가까운 새로운 꽃오배자가 발견되어서 이것을 대아꽃오배자[Nurudea shirai (Matsumura 1917 )]라고 동정하였다. 대아꽃오배자는 옻나무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옻꽃오배자(Nurudea ibofushi Matsumura 1917)와 더듬이의 모양이 다르다. 이상의 충영 형성과정을 볼 때 간모 세대가 충영의 형성에 관여하며 제 2, 3세대는 충영의 분지와 생장에 관계가 있었다. 오배자, 꽃오배자와 대아꽃오배자는 대아 수목원에서 한 그루의 붉나무에 공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오배자가 5월 말, 꽃오배자가 6월 말 그리고 대아꽃오배자가 8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오배자는 익엽에, 꽃오배자는 소엽의 기부에 그리고 대아꽃오배자는 줄기에 기생함으로써 서식처와 시간의 중복을 피하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길앞잡이 (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 (Tiger Beetles(Carabidae, Cicindelinae) of Korea)

  • 김태흥;백종철;정규환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15
    • /
    • 2005
  • 그 동안 한국산 길앞잡이 종류를 분류하고 동정한 결과 총 1속 10아속 18종을 보고하며, 이중에서 Cicindela (Cylindera) obliquefasciata Adams, 1817(화홍깔다구길앞잡이: 신칭)과 Cicindela(Cephalota) chiloleuca Fisher, 1820(무녀길앞잡이: 신칭)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하며,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Heyden(1887)이 보고한 좀길앞잡이(C. japana Motschulsky)의 분포는 의심스럽다. 1. Cicindela(Abrosceiis) anchoralis Chevrolat, 1845 닻무늬길앞잡이 2. C.(Callytron) inspecularis Horn, 1904 흰테길앞잡이 3. C.(Callytron) nivicincta Chevrolat, 1866 바다흰테길앞잡이(신칭) 4. C.(Callytron) yuasai yuasai Nakane, 1955 백제흰테길앞잡이 5. C.(Calomera) brevipilosa Horn, 1908 개야길앞잡이 6. C.(Cephalota) chiloleuca Fisher, 1820 무녀길앞잡이(신칭) 7 C.(Chaerodera) laetescripta Motschulsky, 1860 강변길앞잡이 8. C.(Cicindela) coerulea nitida Lichtenstein, 1797 주홍길앞잡이(=극동길앞잡이) [=Cicindela(Cicindela) coerulea shantungensis Mandl: 한국곤충명집(1994)] 9. C.(Cicindela) gemmata Falderman, 1835 아이누길앞잡이 10. C.(Cicindela) japana Motschulsky, 1857 좀길앞잡이 11. C.(Cicindela) lewisii Bates, 1873 큰무늬길앞잡이 [=Cicindela(Cicindela) lewisi[sic] Bates: 한국곤충명집(1994)] 12. C.(Cicindela) sachalinensis Morawitz, 1862 산길앞잡이 13. C.(Cicindela) transbaicalica Motschulsky, 1845 참길앞잡이(=참뜰길앞잡이, 들길앞잡이, 왜길앞잡이) 14. C.(Cicindela) gracilis Pallas, 1777 깔다구길앞잡이 15. C.(Cicindela) obliquefasciata Adams, 1817 화홍깔다구길앞잡이(신칭) 16. C.(Eugrapha) elisae Motschulsky, 1859 꼬마길앞잡이 17 C.(Myriochila) speculifera Chevrolat, 1845 쇠길앞잡이 [=Cicindela(Myriochile) specularis Chaudoir: 한국곤충명집(1994)] 18. C.(Sophiodela) chinensis De Geer, 1774 길앞잡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