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dressing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2초

일본 화산회토에서 질소 시용방법이 보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dressing Method on Grain Quality of Barley in Japanese Volcanic Ash Soil)

  • 이춘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12-517
    • /
    • 1995
  • 질소의 추비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일본의 동북농업시험장의 화산회토인 포장에서 미유기 보리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재생기, 유효분벽기 그리고 출수기에 유안을 질소 성분량으로 2 또는 4kg을 추비하였다. 도종율 백도 조단백질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5% 도종기간은 2kg을 추비하면 길어지나 추비 시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도, 경도 그리고 도종율도 추비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원맥의 조단백질함량은 추비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시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원맥의 조단백질함량과 55% 도종기간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8분 도정림의 백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4. 8분 도종율 및 8분도정립의 백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8분 도종율과 55% 도종시간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백도 형질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5.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관찰에서 추비처리에 의한 Protein matrix의 차이는 없었다.

  • PDF

Red Pepper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as Affected by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in Plastic Film House

  • Ahn, Byung-Koo;Im, Ga-Young;Kim, Kab-Cheol;Chon, Hyong-Gwon;Jeong, Seong-Soo;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4
    • /
    • 2014
  • Consecutive pepper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may lead to salt accumulation because pepper is considered a heavy nutrient feeder. For this reason, appropriate methods of fertilizer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and red pepper in a plastic film house. All the amounts of recommended compost and phosphorus fertilizer were applied as basal dressing. Cultivars of the pepper plant were Cheon-Ha-Dae-Se (CHDS) and NW-BiGaLim (NW-BGL).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treated as side-dressing at different intervals, 22 times in every 10 days, 15 times in every 15 days, and 11 times in every 20 days. Soil pH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intervals of side-dressing applications,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lined with the increas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ervals. In particular, EC value decreased by up to 75% with CHDS cultivar in the plot of 20 day-interval and with NW-BGL cultivar in the plot of 15 day-interval.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terval.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increased but exchangeable $Ca^{2+}$ and $Mg^{2+}$ decreased in all the plots, except in the control plot.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eaves of the pepper plants were lowest in the control plot. Potassium concentrations in the pepper leaves were high in the control plot and in the plots of CHDS with 10 day-interval and NW-BGL with 15 day-interval. Red pepper productivity was high in the plots of 10- and 15 day-intervals for CHDS cultivar and 15- and 20 day-intervals for NW-BGL cultivar. Therefore, the 15 day-interval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cultivating pepper plants and protecting soil in plastic film houses.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의 개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tential Acid Sulfate Soil)

  • 한강완;전재철;조재영;김금희;안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4
    • /
    • 1996
  • 잠재성 산성황산여토양의 개량을 위해 표면배수실험, 배수실험, 토양간혼용, 매몰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의 물관리방법에 있어 표면 배수효과는 없었으며, 배수효과는 1일 이상 배수처리구들 보다 1일 간격 배수 처리시 토양 pH가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벼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2. 산화된 잠재성 산성황산염토양을 개량하는데 있어 숙답토와의 동비율 혼합구 및 숙답토 30cm 복토구에서는 수도생육피해가 없어 물리적 개량법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3. 잠재 산성황산염토양을 파낸 후 효과적인 처리방안으로는 숙답토로 30cm이상 복토한 구 및 숙답토 50%이상 혼합토양구에서 수도피해가 없었으므로 숙답에 성토하는 경우 30cm이상 복토처리가 요구된다.

  • PDF

기비 및 추비에 의한 유기질비료의 사용이 금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orea Lawngrass(Zoysia matrella L. Merr.) by base-dressing and top-dressing application)

  • 함선규;이정재;김인섭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41-49
    • /
    • 1994
  • 이 연구는 한국잔디(Zoysia matrella L. Merr.)에 미치는 유기질비료의 효과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유기질 비료는 한국잔디(Zoysia matrella L. Merr.)의 잔디포를 조성할 때 기비로 적합하였다. 2. 잔디의 엽록소 함량은 유기질 비료 단용구보다 복합비료(N:P:K = 21:17:17) 및 유기질비료의 혼용구에서 더욱 많았다. 3. 토양중 유효인산의 함량은 유기질 비료의 사용으로 증대되었다. 4. 잔디와 건물중을 무처리구에 비하여, 기비처리구는 약 40%, 추비처리구는 약 12%의 중수효과를 나타내어 유기질비료의 사용은 기비처리가 추비처리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중부지역에 위치한 폐광산 주변의 오염물질 이동성 평가 (Evaluation about Contaminant Migration Near Abandoned Mine in Central Region)

  • 이종득;김태동;전기석;김휘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6호
    • /
    • pp.29-36
    • /
    • 2010
  • Several mines including Namil, Solim and Jungbong which are located in the Gyeonggi and Kangwon province have been abandoned and closed since 1980 due to "The promotion policy of mining industry". An enormous amount of mining wastes was disposed without proper treatment, which caused soil pollution in tailing dam and ore-dressing plant areas. However, any quantitative assessment was not performed about soil and water pollution by transporting mining wastes such as acid mine drainage, mine tailing, and rocky waste. In this research, heavy metals in mining wast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leaching method which used 0.1 N HCl and total solution method which used Aqua-regia to recognize the ecological effect of distance from hot spot. We sampled tailings, rocky wastes and soils around the abandoned mine. Chemical and physical parameter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total organic carbon (TOC), soil texture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were analyzed. The range of soil's pH is between 4.3 and 6.4 in the tailing dam and oredressing plant area due to mining activity. Total concentrations of As, Cu, and Pb in soil near ore dressing plant area are 250.9, 249.3 and 117.2 mg/kg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any other ones near tailing dam area. Arsenic concentration in tailing dams is 31.0 mg/kg, which is also considered as heavily polluted condition comparing with the remediation required level(RRL) in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에 따른 시설수박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Application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Watermelon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 엄미정;노재종;전형권;권성환;송영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2
  • 시설수박 재배시 안정적 수량확보와 과다시비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질비료의 적정 시비기준을 마련하고자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과 혼합유기질비료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질비료는 혼합유박이 질소 3.9%, 인산 2.0%, 가리 0.9%, 혼합유기질비료는 질소 4.1%, 인산 2.1%, 가리 1.1%로 수박의 엽면적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질소기준 0.5배량과 0.3배량 수준의 처리구가 화학비료 단용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엽중 양분흡수량 및 수박의 과중과 당도는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확 후 시험토양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밑거름으로 50%와 30% 수준으로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화학비료를 이용한 경우가 EC, 유효인산, 치환성 칼리 함량이 시험전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아져 다른 처리에 비하여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우려가 적었다. 이에 따라 시설수박 재배시 혼합유박이나 혼합유기질 비료의 적정시비량은 토양검정 질소시비량의 0.3~0.5배량 수준을 정식전 밑거름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양은 화학비료를 웃거름으로 관비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3~10%의 수량 증가 효과가 있었다.

혼합유박 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토양환경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Mixed Expeller Cake on Soil Environment and Rice Quality)

  • 양창휴;류철현;김병수;박우균;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3-111
    • /
    • 2008
  • 벼 재배시 유기질비료에 의한 질소비료 대체를 위하여 혼합유박의 적정 시용량 및 시용시기를 구명코자 전북통에서 동진1호를 공시하여 2년 동안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후 토양화학성 중 유기물 함량은 표준시비에 비하여 혼합유박 기비 100%구에서 높은 반면에 총질소 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유효인산 함량은 혼합유박 대체 시용량이 적을수록 높았다. 또한 표준시비구에 비하여 혼합유박 시용구에서 유기물 함량이 높았고, 유효인산, 총질소 함량 및 양이온치환용량은 혼합유박 시용시기가 늦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치환성양이온은 큰 변화가 없었다. 토양 중 무기태질소 함량은 혼합유박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으로 수확기 무기태질소는 기비 70%, 50% 시용구에서 거의 용출이 완료되었으며 질소 $110kg\;ha^{-1}$를 혼합유박으로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을 경우 시비질소의 무기태질소 함량은 시용시기가 늦을수록 많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시기별 SPAD 측정치는 표준시비에 비하여 혼합유박 대체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생육중기까지는 혼합유박 시용구에서 표준시비구보다 짙은 반면에 생육후기에는 기비 70%, 50% 시용구에서 옅었으며 혼합유박 시용시기가 늦을수록 생육전반에 걸쳐 짙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시비질소 흡수량은 혼합유박 대체 시용량이 많을수록 많았고 성숙기에는 기비 50% 시용구에서 표준시비구보다 흡수량이 적었으며 질소이용률은 기비 7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혼합유박 시용시기가 이앙 전 10~15일 시용구에서 시비질소 흡수량이 가장 많았고 시용시기가 빠를수록 적어졌으며 질소이용률도 같은 경향이었다. 쌀 수량은 표준시비구($5.18Mg\;ha^{-1}$) 대비 기비 50% 시용구에서는 대등하였으나, 기비 70%, 100% 시용구에서 수수 및 영화수 확보가 많아 4% 증수되었고, 유박 시용구에서 2~5% 증수되었으며 특히 이앙 전 15~10일 시용구에서 높았다. 또한 시용시기가 늦을수록 간장과 수장이 길었고 수수와 영화수확보가 많았으나 등숙비율은 낮아지며 현미 천립중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현미의 외관적 품질 중 완전립 비율은 기비 100%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고, 완전미 비율은 기비 70%, 50% 시용구에서 높았으며 현미 중 단백질 함량은 혼합유박 시용으로 적은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평야지 보통논의 혼합유박 적정 시용량 및 시용시기는 기비 70%, 이앙 전 10~15일 시용으로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the Amount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Ground-based Remote Sensing for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under the Polytunnel House

  • Kang, Seong-Soo;Sung, Jwa-Kyung;Gong, Hyo-Young;Jung, Hyung-Jin;Kim, Yoo-Hak;Hong, Soon-Da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98-60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mount of nitrogen (N) top dressing based on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NDVI) by ground based sensors for leaf perilla under the polyethylene hous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five N fertilization levels and conventional fertilization with 3 and 4 replications in Gumsan-gun and Milyang-si field, respectively. Dry weight (DW), concentration of N, and amount of N uptake by leaf perilla as well as NDVIs from sensors were measured monthly.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among treatments in Gumsan field was wider than Milyang. SPAD-502 chlorophyll meter reading explained 43.4%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in Gumsan field at $150^{th}$ day after seedling (DAS) and 45.9% in Milyang at $239^{th}$ DAS. Indexes of red sensor (RNDVI) and amber sensor (ANDVI) at $172^{th}$ day after seedling (DAS) in Gumsan explained 50% and 57%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RNDVI and ANDVI at $31^{th}$ DAS in Milyang explained 60% and 65% of the variability in DW of leav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VI and N application rate,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57%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but non significant relationship in Milyang field. Average sufficiency index (SI) calculated from ratio of each measurement index per maximum index of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73%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NDV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as various upon growing season, SI by NDVIs of ground based remote sensors at top dressing season was thought to be useful index for recommendation of N top dressing rate of leaf perilla.

수도(水稻)에 대(對)한 가리분시(加里分施)에 관(關)한 연구(硏究)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加里)의 기추비량(基追肥量)- (Studies on the split application of potassium on paddy -The amount of potash to be applied for basal and top dressing in case of liming)

  • 오왕근;이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7-181
    • /
    • 1975
  • 석회(石灰)의 시용(施用)과 가리(加里)의 기초비량(基追肥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기 위(爲)하여 pH를 7.0으로 높이는데 필요(必要)한 소석회(消石灰)를 이앙(移秧) 2주전(週前)에 시용(施用)한 토양(土壤)과 무석회(無石灰) 토양(土壤)을 충전(充塡)한 0.2827a 무저(無底)콩크리트 폿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이 시험(試驗)에서는 수도진흥(水稻振興)을 심었으며10a 당(當)12kg에 상당(相當)하는 가리(加里)를 이앙후(移秧期), 이앙(移秧)19일후(日後), 유수형성기중익(幼穗形成期中二期) 또는 삼기(三期)에 분시(分施)하였는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에 관계(關係)없이 10a당(當) $K_2O$ 4kg 또는 그이하(以下)를 기비(基肥)로 하고 나머지를 등분(等分)하여 이회(二回)에 분시(分施)하거나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일회(一回)에 추비(追肥)하는 것(추비중점(追肥重點))이 수수(穗數)를 늘리고 도엽중(稻葉中)의 K/Ca+Mg 당양비(當量比)를 높였으며 수당입수(穗當粒數)를 늘리고 염실율(鹽實率)을 높여서 정조(正租)의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2.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가리(加里)가 많으며 분벽(分蘗)이 억제(抑制)되고 수수(穗數)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이경향(傾向)은 높은 염농도(鹽濃度)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토성별 질소분시방법이 생육에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Methods under Different Soil Textur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김정곤;윤용대;양원하;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31-737
    • /
    • 1995
  • 벼 건답직파재배시 토성이 다른 양토와 사양토에서 질소분시방법 차이가 생육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고자 화성벼를 4월 27일에 평면줄뿌림하여 시험을 수행했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묘수는 토성 및 질소분시방법에 일정한 경향이 없이 159~177개/$m^2$ 의 분포를 보였다. $m^2$ 당 수수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많았으며, 사양토, 양토 모두 추비중점시비 (3엽기-7엽기-수비=40-30-30% 및 기비-3엽기-7엽기-수비=10-30-30-30%)가 관행 시비방법(기비-5엽기-수기=40-30-30%)보다 많았다. 2. 생육시기별 엽색, 출수기엽면적지수 및 건물중은 토성간에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높았고, 질소분시방법간에는 추비중점시비는 관행보다 높았으나 20%감비와 완효성 시료시용은 관행보다 낮았다. 3. 도복지수는 추비중점시비에서 간장이 크고 협절중이 낮아 관행보다 높은 도복지수를 보였고, 이 결과 포장도복도 추비중점시비에서 3정도 발생하였다. 4. 추비중점시비는 관행에 비하여 등숙비율이 약간 낮았고 천립중은 비슷하였으며, 현미에서 완전미율이 낮은 반면 청미와 미숙립율이 높았다. 5. 수량은 관행대비(사양토 5.08t/ha, 양토 5.22t/ha) 추비중점시비에서 사양토는 7~9%, 양토는 6~9%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