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Washing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1초

유해원소로 오염된 토양 세척 및 세척수의 처리 (Soil Washing and Effluent Treatment for Contaminated Soil with Toxic Metals)

  • 양중석;황진민;백기태;권만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745-7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해원소로 오염된 현장토양을 대상으로 물리적 및 화학적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해원소의 처리효율과 더불어 토양세척공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중화, 응집, 흡착 반응을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를 고려하여 최적 토양세척공법의 선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토양에서 주된 유해원소인 비소제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황산 수용액보다 효과적이었다. 반면, 폐수 처리의 경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토양 세척 시 함께 추출되는 토양유기물로 인하여 폐수처리가 복잡하고 유해원소의 제거가 잘되지 않아 세척공정의 세척제로는 산을 이용하여 토양을 세척하는 것이 좋으며, 발생하는 세척액의 pH를 6.5 이상으로 중화시켜 대부분의 유해원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흡착제로 GFO(Granular ferric oxide)를 이용하였을 경우 비소와 납의 제거율이 뛰어났으며, 중화공정과 결합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유해원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토양세척 공법 적용 시 토양의 특성에 따라 유해원소의 제거율 및 세척액의 처리 및 재이용 방법이 차이가 있으므로, 세척효율 및 세척수 처리 공정을 고려한 체계적인 최적화를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정용 세탁기, 세제 및 오염의 종류별 세탁 성능 비교 - 세탁성, 헹굼성, 섬유손상도, 엉킴도를 중심으로 - (Comparison of detergency effectiveness by the type of household washer, detergent and soil - Focused on detergency, rinsing, fabric damage and tanglement -)

  • 박서경;박명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6호
    • /
    • pp.950-9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household washers and detergents for consumers, so that help the producers who make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to get basic material and also help consumers to choose washing machine. Experiment was proceed with two type of washers to compare energy consumption, washing performance, rinsing effectiveness further, damage caused by entanglement of laundry and fabric was assessed. Detergent P and T were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related to differences of ingredients of detergent. Soiled fabrics of EMPA 108 set were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washing by different types of contamination. A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are : First, for the consumption of water, drum-type washer consumed 53% less than pulsator-type washer.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time was almost similar for both these machines, but pulsator-type washer showed shorter progress, implying that power saving was more efficient in this case. Second, the drum-type washer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contamination with all types of detergent, but the pulsator-type washer showed better rinsing performance. Third, the drum-type washer performed less data of tangle level and fabric damage. Fourth, detergent "P" exhibited better washing performance than did detergent "T", regardless of the type of soil. And with no limit of detergent variety, water-soluble protein soil showed high removal rate, liposoluble soil especially pigment was hardly removed.

중금속 오염 토양의 토양세척 정화 후 토양 건강성 회복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al Technology for the Revita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Remediated by Soil Washing )

  • 이승현;이종환;이우춘;이상우;김순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5호
    • /
    • pp.36-50
    • /
    • 2023
  • Soil health can deteriorate through both contamination and remediation. Accordingly, revitalization processes are needed to reuse or recycle the remediated soil.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soil health parameters of heavy metals-contaminated soil during soil washing process. In addition, unit process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mediated soil relevant to its reclamation purposes, such as agricultural and forest lands. A total of 21 indicator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soil health was degraded or recovered. The performance of 6 amendments in improving soil health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dosage and application duration. Fin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ssess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relative performance of each amend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18 health indicators out of 21 deteriorated through the soil wash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several effective amendments be complementarily combined and applied in real applications because use of single amendment does not likely improve the quality of remediated soils.

진공청소기 분진을 모델로 한 고형오염의 세척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tergency of Particulate Soil using Vacuum Cleaner Dirt as Model)

  • 강인숙;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1989
  • This Study has treated the effects of fiber, surfactants, temperature, surfactant concentration, pH, electrolyte, fatty acid contents and mechanical force on the removal of particulate soil from fabric, vacuum cleaner dirt was used as model particulate soil. The fabrics were soiled with mixture of vacuum cleaner dirt and fatty soil, and washed in Terg-O-tometer. The detergency was evaluated by measuring reflectance of a fabric before and after wash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ber type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soil removal with surfactants. In general, particulate soil removal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Acetate>PET. Nylon>Cotton. Particulate soil removal, which is affected by the surfactant typ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NPE $(EO)_{10}\leqq$Soap>SLS>DBS>Tween 80. 2.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particulate soil removal was very complex because efficiency of removal was varied with surfactant and fiber types. The washing efficiency of NPE $(EO)_{10}$ was highest at around $40^{\circ}C\;and\;60^{\circ}C$ with cotton and PET but the washing efficiency of DBS was the highest at $60^{\circ}C$ with cotton, decreased monotonous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ith PET 3. The detergency of particulate s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and then levelled off above some optimum concentration. 4. The removal of particulate s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mechanical force. 5. Effect of electrolyte on the particulate soil removal wa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tant. At low concentration of surfactant, addition of electrolytes improved soil removal but above the some concentration no effect was observed. At high concentration of surfactant, Vie., $0.6\%$ , the maximum washing effect is reached without added electrolyte. These result indicate that added electrolyte only influence the adsorption of surfactant on the soil and fiber 6. Fatty acid content in the soil did not influence on particulate soil removal without regard to surfactants.

  • PDF

아연 또는 비소와 경유로 오염된 토양의 복합정화공법 개발 (Development of Hybrid Remediation Method for Contaminated Soils with Zinc or Arsenic and Diesel)

  • 김혜영;박정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4호
    • /
    • pp.13-2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remediation method of contaminated soils with metals and petroleum. The diesel degrading strain was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soil contaminated by petroleum at industrial sites. Diesel biodegrad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by diesel degrading bacteria in both solution and soil slurry. Contaminated soils by Zn or As and diesel were treated consecutively by steam-vapor extraction, biodegradation, and acid washing.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aeruginosa, and named as Pseudomonas aeruginosa TPH1.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TPH1 were $20^{\circ}C$ and pH 7.0, 3% of diesel concentration. Biodegradation of diesel was performed using the separated strain in liquid medium, and 63% of diesel was degraded in 72 hours. And 52% of diesel was removed in the tested soils. In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s with diesel and Zn or As, 29% ~ 44% of diesel was reduced by steamvapor extraction, 60% ~ 71% of diesel was removed after biodegradation. 47% of Zn and 96% of As were removed after acid(mixture of sulfuric and oxalic acids) washing. It is recommended that consecutive treatment method of steam-vapor extraction, biodegradation and acid washing is effective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with metals and petroleum.

소수성 유기오염물질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혼합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il Washing Technology for HOCs-Contaminated Soil Using Mixed Surfactants)

  • 최상일;이재영;장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3-10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소수성 유기오염물질로 오염된 토양에 혼합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 각각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와는 상이한 분자 집합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용하였다. 세척효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혼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혼합비, 총 적용농도 등을 변경하며 적용하였다. 대상 오염물질로는 n-dodecane을 사용하였으며, 토양은 서울 녹천역 부근의 야산에서 채취된 토양중 #4체(4.75 mm) 통과 토양만을 사용하였으며, pH는 4.4, 유기물질함량은 1.6%(중량비), 양이온 치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은 4.08 meq/100 g이었다. Polyoxyethylene oleyl ester계를 중심으로 제조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세척력을 조사한 결과, OA-5와 OA-l4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5% 용액이 86%의 세척효율을 보였다. 또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SDS와 OA-5가 1:1(중량비)로 혼합된 4% 용액을 적용한 결과 최고 95%의 세척효율을 보였다.

  • PDF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of Soil Washing Technology to the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 정동철;이지희;최상일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60
    • /
    • 1997
  •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 대해 토양세척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고자 회분식 및 실험실 규모의 파이롯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중금속으로는 구리, 납, 아연을 선정하였고 각 중금속의 농도는 구리 500mg/kg dry soil, 납 1,000mg/kg dry soil, 아연 500mg/kg dry soil로 결정하였다. 세정제로는 유기산 중 citric acid와 oxalic acid를 선정하였다. 회분식 실험 결과, 구리, 납, 아연의 세정효율은 각각 79%, 72%, 72%로 나타났으며, 구리와 납에 대한 세정제의 농도와 진탕비는 citric acid 50mM과 1:5(중량/체적비)가 최적조건으로 판명되었고, 계면활성제 OA-5 및 SDS l∼2%를 첨가함으로써 세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파이롯트 규모실험에서는 납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1차 토양세척시 59%의 세정효율을 얻었으며, 2차 토양세척으로 78%까지 세척할 수 있었다.

  • PDF

파일롯 규모의 토양세척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Pilot-Scale Soil Washing Process)

  • 장윤영;신정엽;황경엽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55-62
    • /
    • 1998
  • 탄화수소계 화합물이나 중금속 잔류물 등으로 오염된 토양은 토양세척방법에 의해 효과적 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토양세척공정을 개발하는데 있어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몇 가지 주요 핵심 공정기술들은 채광기술과 화학공정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개선되어 얻어졌다. 본 파일롯 규모의 토양세척장치는 공정 상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1) 기계적 마찰, 2) 세척수를 이용한 세탁작용, 3) 최종세정, 4) 오염된 세척수의 재생. 장치는 현장에서 오염토양을 시간당 5톤 속도로 처리하기 위한 규모로 설계하였다. 오염된 토양 덩어리는 먼저 1차 세척부인 회전 마찰 분쇄 관을 통과하면서 개개의 토양입자로 부셔지고 다음, 교반날이 설치된 2차 세척부에서 세척수와의 강한 마찰효과에 의해 오염물의 탈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최종 단계인 3차 세척부에선 세척된 토양을 최종적으로 물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세정하고 오염된 세척수와 정화된 토양을 역방향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시킨다. 세척수를 연속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하여 오염된 세척수는 미세토의 응집, 침전과 기름성분의 부상분리가 이루어지는 세척수 처리조를 거쳐 세척부로 다시 반송되도록 하였다. 추후 이동과 운전비용을 줄이면서 현장에 적합한 토양세척장치의 적용성을 얻기 위하여 트레일러에 탑재된 이동형 토양세척장치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PDF

원유로 심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 정화를 위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토양세척법 적용 (Application of the Nonionic Surfactant-enhanced Soil Washing to the Kuwait Soil Seriously Contaminated with the Crude Oil)

  • 허효진;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491-500
    • /
    • 2015
  • 원유로 심각하게 오염된 쿠웨이트 토양에 대하여 대표적인 비이온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토양세척법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세척조건에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쿠웨이트 지역의 증발된 원유소호(oil pond)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의 평균 TPH농도는 223,754 mg/kg으로, 기존의 토양세정/세척 연구에서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던 오염이 매우 심한 쿠웨이트 토양과, 유류나 유기오염물에 대하여 토양세척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된 비이온계면활성제 9종(Tween 계열 4종, Tergitol 계열 4종, TritonX-100)을 사용하였다. 먼저 각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에 따른 원유의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배치실험을 실시하였고, 높은 원유 용해도를 나타낸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토양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TritonX-100이 5% 농도에서 67%의 가장 높은 원유 제거율을 나타냈지만, 1회 세척만으로는 정화목표(TPH 농도: 10,000 mg/kg)에 도달하지 않아 연속세척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2% 계면활성제 용액을 이용한 연속세척 실험 결과, 세척 횟수가 증가할수록 원유의 제거율이 증가하였고, 5회 연속세척 후 96%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며 제거목표에 도달하였다. 연속세척 실험 후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탈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앞서 실시한 연속세척 실험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 비드와 오염 토양을 TritonX-100 2%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5회 세척한 경우, 각각 7.8%와 19.6%의 계면활성제가 흡착되어 비드와 토양 내에 잔류하였다. 계면활성제가 흡착된 비드와 토양을 증류수를 이용해 동일한 세척방법으로 추가 물세척을 실시한 결과, 비드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0.2%로,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는 4.3%로 감소하여 흡착된 대부분의 계면활성제가 추가 물세척에 의해 탈착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TritonX-100, Tergitol S-15-7, Tergitol S-15-9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세척법이 유류 오염이 매우 심한 원유오염 토양(TPH 농도 200,000 mg/kg 이상)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스팀분사 세탁시스템의 세탁효율 분석 (Washing Efficiency of Steam Jet Washing Process)

  • 서문호;이아진;정수현;양승도;김형섭;고준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9-79
    • /
    • 2006
  • The washing characteristics of steam jet heating process have been compared with other washing processes, such as low temperature process(standard process, below $40^{\circ}C$) and high temperature process(boiling process, up to $95^{\circ}C$) with the standard soil fabric, EPMA 105. Steam jet heating process showed almost the same washing efficiency as high maximum temperature process for pig's blood and wine.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with the higher surface temperature of washing materials in steam jet process compared with direct boiling process. In terms of the energy and water consumption, the steam jet washing process showed significant savings compared with direct boiling type wash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