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Activa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Activation of Barley S-Adenosylmethionine Synthetase1 Gene Promoter in Response to Phytohormones and Abiotic Stresses

  • Kim, Jae-Yoon;Kim, Dae-Yeon;Jung, Je-Hyeong;Hong, Min-Jeong;Heo, Hwa-Young;Johnson, Jerry W.;Kim, Tae-Ho;Seo, Yong-Weo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50-56
    • /
    • 2007
  • Barley S-adenosylmethionine synthetase1 gene, which w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seed development of extra early barley, was regulated by the phytohormones and abiotic stresses. In order to identify the regulation regions which were involved in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phytohormones and abiotic stresses, we isolated 1459 bp fragment of HvSAMS1 gene promoter using genome walking strategy and deletion series were constructed. Deleted upstream fragments(-1459, -1223, -999, -766, -545, -301 bp) were fused to the GUS reporter gene and evaluated via Agrobacterium-mediated transient expression assay. Increased GUS activity of HvSMAS1 promoter -301/GUS construct under each of NaCl, $GA_3$, ABA and ethylene application was found. However, GUS activity was negligible in the leaves transformed with the HvSMAS1 promoter(-1459, -1223, -999, -766 and -545)/GUS constructs. No significant induction of GUS activity was observed for the ethionine and spermidine treatments. In order to locate promoter sequence of the HvSAMS1 gene that was critical for the activation of gene expression, deletion and addition promoter derivatives(+, includes 43 bp of 5' ORF) of the HvSAMS1 gene fused to the GUS reporter gene were applied. The tobacco leaves which harbored the additional HvSAMS1 promoter(-1459+, -1459 to -546, -545+ and -301+)/GUS construct did not significantly induce GUS activity as compared to the HvSAMS1 promoter(-1459, -545 and -301)/GUS constructs under each of NaCl, ABA and $GA_3$ treatment. However, the GUS activity was high in the tobacco leaves which harboring the -211 to -141 regions of the HvSAMS1 promot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HvSAMS1 gene expression might be regulated by this region(from -211 to -141).

  • PDF

우리나라 산사태의 형태분류에 따른 사례 (Case study of landslide types in Korea)

  • 김원영;김경수;채병곤;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18-35
    • /
    • 2000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산사태는 쇄설성유동(debris flow)이며 이는 집중호우 시기인 6월-8월 사이에 대부분 발생한다. 조사통계에 의하면 2일간의 강우량이 200mm 이상일 때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산사면의 노두 발달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면 노두가 없는 지역에서만 발생한다. 초기에는 전이형슬라이드(translational slide)로 시작되며 파괴물질이 산사면의 계곡으로 유동되면서 쇄설성유동으로 전이된다. 쇄설성유동의 원인이 되고있는 전이형 슬라이드의 발생인자는 강우와 인위적 조건을 제외하면 암석의 종류, 지형고도, 사면경사, 입도분표, 투수계수, 건조밀도, 공극율 등이다. 이들 발생인자들의 통계처리, 특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여 인자들의 정량적 가중치를 구하여 산사태 발생 확률을 정량화 하였다. 암반포행(rock mass creep)은 대부분 경상계 퇴적암지역에서 발생되면 직접원인은 거의 사면 하단 부의 절토 때문이다. 전단전이는 적은 편으로 1m 내외이나 포행암반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칠곡, 부산 황룡산 터널입구, 사천 산사태 등이 이 범주에 속한다. 포행의 원인이 되는 상부 전단대는 대부분 주변에 발달되어있는 단층이나 대규모 전달절리와 연과되어 있어 사면설계 조사시 지질구조에 주의를 요한다. 회전형 슬라이드(rotational slide)는 토양층이 두껍거나 기반암이 심히 풍화된 연약층에서 발생하여 이들도 흔히 사면 하단부의 절토와 연관되어있다. 이 산사태는 원호 또는 반원호형으? 진행되는 특징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 3기 응회암 지역이 취약하다. 이는 화산재와 화산쇄설 물질이 흔재된 제3기 응회암의 절리가 매우 잘 발달되어있어 팽윤과 흡수율이 높고 이로 인하여 심부까지 풍화에 취약하기 때문으로 경주 산사태와 포함-구릉포간 국도면의 산사태가 이 종류의 산사태에 속한다.

  • PDF

유류오염지역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 sp. B2로부터의 Lipase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ase from Acinetobacter sp. B2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 손성화;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0-327
    • /
    • 2004
  • 대전 근교의 유류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분해하는332개의 세균 콜로니를 분리한 후 이 중 lipase 활성이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생리생화학적 조사와 16S rRNA 염기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Acinetobactor sp. B2로 확인되었다. 최종 선별된 Acinetobactor sp. B2는 trehalose, mannitol을 제외한 다양한 당을 이용하였고, kanamycin, streptomycin, tetracycline, spectinomycin의 항생제에 대해서 약한 내성을, 그리고 Ba, Li, Mn, Al, Cr, Pb 등의 중금속에 대해서는 mg/ml 단위까지 강한 내성을 나타냈고 생장 최적 온도는 $30^{\circ}C$로 확인되었다. Acinetobactor sp. B2에서 정제된 lipase의 분자량은60 kDa이었고, 이 효소의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40^{\circ}C$와 pH 10이었다. 그리고p-nitrophenyl palmitate (pNPP)를 가수분해하는데 필요한 활성에너지는 $4-37{\circ}C$의 범위에서 2.7 kcal/mol 이었고, $6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한 효소임이 확인되었다. 또 pNPP에 대한 이 효소의 Michaelis constant (Km)와 최대속도상수 $(V_{max})$값은 각각 21.8 ${\mu}M$$270.3\;{\mu}M\;min^{-1}mg^{-1}$ 이었고, 이 효소는 $Cd^{2+},\;Co^{2+},\;Fe^{2+},\;Hg^{2+},$ EDTA, 2-mercaptoethanol에 의해 강하게 억제되었다.

Na2CO3와 NaHCO3로 활성화한 Na-벤토나이트의 팽창특성과 Cd와 Pb의 상대적 등온흡착곡선 (Swelling Indexes and Relevant Removal of Cd and Pb of the Na-bentonite activated with Na2CO3 and NaHCO3)

  • 정덕영;양재의;오택근;이교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4-70
    • /
    • 2007
  • 본 실험은 서로 다른 온도조건하에서 두 가지 Na 화합물을 이용하여 Ca-벤토나이트를 Na-벤토나이트 전환하였다. 두 가지 Na 화합물은 양이온 원으로 Na를 가지고 있는 5가지 화합물 중에서 선택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팽창능은 N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반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Na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Na_2CO_3 은 조사된 Na-화합물 중에서 최대 팽창능을 보여주었으며 팽창지수는 처리온도가 최대 100 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로 증가하였다. 동일 Na 처리농도에서는 팽창지수는 체류시간이 증가하거나 온도가 높아질 때 다소 감소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흡착은 조사된 Pb나 Cd의 평형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전환된 Na-벤토나이트에 Pb와 Cd의 흡착은 5 % $Na_2CO_3$. ${\approx}$ 5% $NaHCO_3$ > 3 % $NaHCO_3$ > 3 % $Na_2CO_3$ > 1 % $NaHCO_3$ > 1 % $Na_2CO_3$ > 원형 Na-B > 원형 Ca-B.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CEC에 따른 흡착의 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법 (Termite monitoring and control managements for wooden building)

  • 이규식;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41-52
    • /
    • 2001
  • The wooden building is mainly damaged by the termite which have an effect of the structure by making emptied inner part of wood. One class, Japanese termite, inhabits throughout Korea and is often detected. So the deterioration by termite attacking the wooden building needs to be controlled. Termites are over 2,800 species in the world, usually they inhabit in the tropical or subtropical region and don’t over winter in dormant condition. So their activity and distribution are chiefly restricted by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ermite inhabiting in Korea is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 which known to have an optimal temperature range at $12~30^{\circ}C$ and minimum temperature at $6^{\circ}C$ for activation. These temperatures correspond to the mean temperature($5.6^{\circ}C$~$25.8^{\circ}C$) from March to November and the activity time of termitein Seoul. In addition,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industrial development, the climate of Korea is getting warm. The increase of mean temperature in Korea has been $1.1^{\circ}C$ for the past seventy five years, so it is expected that the damage of wooden building by termite will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wooden building from damages by termite, it needs not only development of new pest control methods, but also studies on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activity and growth of termit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larg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he wooden building in the open air,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methods of fumigation,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 treatment of wood materials, soil termiticideinjection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 PDF

The Aqueous Extract of Radio-Resistant Deinococcus actinosclerus BM2T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Mediat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 Kim, Myung Kyum;Jang, Seon-A;Namkoong, Seung;Lee, Jin Woo;Park, Yuna;Kim, Sung Hyeok;Lee, Sung Ryul;Sohn, Eun-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583-590
    • /
    • 2020
  • Deinococcus actinosclerus BM2T (GenBank: KT448814) is a radio-resistant bacterium that is newly isolated from the soil of a rocky hillside in Seoul. As an extremophile, D. actinosclerus BM2T may posses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at may be beneficial to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M2U, an aqueous extract of D. actinosclerus BM2T, on lipopolysaccharide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264.7 macrophage cells. BM2U showed antioxidant capacity, as determin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IC50 = 349.3 ㎍/ml) and ORAC (IC50 = 50.24 ㎍/ml) assays. At 20 ㎍/ml, BM2U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heme oxygenase-1 (HO-1) expression (p < 0.05). BM2U treatment (0.2-20 ㎍/ml) significantly suppressed LPS-induced in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p < 0.05). BM2U treatment also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hich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BM2U treatment also inhibit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JNK, ERK, and p-38 (p < 0.05). Collectively, BM2U exhibited anti-inflammatory potential that can be exploited in attenuating inflammatory responses.

Aspergillus sp.가 생산하는 Glucoamylase Isozymes의 성질 (Properties of Glucoamylase Isozymes Produced by Aspergillus sp.)

  • Park, Inshik;Youngho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0-326
    • /
    • 1988
  • Aspergillus sp.로부터 추출한 glucoamylase를 Sephacryl S-200과 DEAE-Sephacel 이온교환 칼럼을 통과시킨 후, 2개의 Isozyme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glucoamylase isozyme(GI, GII)의 효소학적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GI 및 GII isozyme의 활성최적 pH 및 온도는 pH4.5 및 $65^{\circ}C$였다. 분리된 효소는 pH 3-7 사이에서 안정했으며, 또한 55$^{\circ}C$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Hg$^{++}$는 효소 황성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나, 글리세롤은 효소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효소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GI의 경우 10,62 kcal/mole이었으며, GII의 경우에는 10.23kcal/mole이었다. GI isozyme의 기질에 대한 Km값은, 0.62% (soluble starch), 0.32% (dextrin), 1.03%(glycogen)이었으며, GII isozyme의 경우에는, 0.66%(soluble starch) 0.23%(dextrin), 그리고 0.14% (glycogen)이었다.

  • PDF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기술의 검증 및 인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nd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ies)

  • 신현석;박종빈;이재혁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92-99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그린인프라 및 저영향개발 (GI & LID) 기술에 대한 물순환 및 물환경 효율성 측정을 위한 실내 외 검증, 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술의 검증 및 인증을 위한 실외시험시설은 건축형, 도로형, 주차장형, 빗물정원형, 생태공원형 등 크게 5구역으로 나누어 기술종류에 따라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내실험으로는 수리/수문분야, 토질/지반분야, 환경분야 등 다양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시험장비의 개발 및 구축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 & LID 검 인증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내 및 실외 시험시설의 개발은 GI & LID 기술의 적용을 위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관련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활성에 의한 시멘테이션 작용을 이용한 모래지반의 안정화 (Solidification of Sandy Soils using Cementation Mechanism of Microbial Activity)

  • 김기욱;윤성욱;정유진;정영륜;유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69-176
    • /
    • 2014
  • To evaluate bio-cementation of microbial on sands, laboratory test was conducted using acrylic cubic molding boxes ($5cm{\times}5cm{\times}5cm$). It was incubated the microbial, called Bacillus Pasteurii, according to Park et al (2011, 2012). and applied 50ml each specimen. Two type of sand samples used were Jumoonjin sand and common sand (well graded). These sands were molded in acrylic boxes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30 % and 60 % respectively. Microbial were poured onto the samples molded in acrylic boxes and cured at the room temperature and humidity. After 7, 14 and 21days, it was measured the compressive strength, pH, EC, and density and it were observed SEM and XRD to verify the effect of bio-cementation. It was found that bio-cementation was increased a strength of sands and it was appeared that strengths were related to the type of sand and relative densit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e solidification of sands using the bio-cementation by microbial activation and the usefullness of acrylic molding boxes when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oil of sands.

DCM 공법으로 개량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 말뚝기초의 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Piled Abutment Subjected to Lateral Soil Movement of Soft Ground Improved by Deep Cement Mixing Method)

  • 최연호;강경호
    • 지질공학
    • /
    • 제30권2호
    • /
    • pp.131-145
    • /
    • 2020
  •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시공할 경우 연약지반에는 편재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이나 활동파괴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말둑기초의 안정성과 말뚝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말뚝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내용을 파악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교대말뚝기초의 거동특성과 보강효과를 확인하여 측방유동을 받는 교대말뚝기초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압밀도 분석 결과, 압밀 단계에 따라 연약지반 강도증가율에 의해 연약지반의 강도정수인 점착력은 약 1.1~1.8배 증가하였다. 측방유동 검토 결과, 허용수평변위 기준은 3.8 cm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나 시공적인 면에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나, 구조물의 중요도 및 지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시공 시 계측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측방유동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