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gcho edd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Numerical Experiment on the Sogcho Eddy due to the strong offshore winds in the East Sea

  • Kim Soon Young;Lee Hyong Sun;Lee Jae Ch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7-18
    • /
    • 199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tion of the Sogcho Eddy due to the strong offshore winds, we firs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winds at Sogcho, Kangnung and Samchuk, and then carried out a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using the nonlinear 1 1/2-layer model. The models were forced by wind stress field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prevailing winds that a field in the east coast of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winds were composed of the background winds $(-1\;dyne/cm^2)$ for 90 days and the local winds $(-4\;dyne/cm^2)$ for 30 days. The analysis of wind data at three stations (Sogcho, Kangnung, and Samchuk) showed that the wind was stronger in winter than in other seasons and the offshore component was much dominant. According to our numerical solutions, the Sogcho Eddy of about 200 km in diameter was generated due to the strong offshore winds prevailing in the Kangnung - Sogcho regions. The eastward propagation of the Rossby waves reflected at the western boundary resulted in the eastward meandering motion from the eastern side of the eddy.

  • PDF

1992년 5월 속초 근해 와동류의 구조 (Structure of a Warm Eddy off Sogcho in May 1992)

  • LEE Jae Chul;MIN Dug Hong;YU Hong Sun;LEE Hyong Sun;YANG Han Soeb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4-363
    • /
    • 1995
  • 1992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인공위성 적외선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속초 근해에 형성된 와동류의 시간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동년 5월에 그 구조를 관측하였다 와동류의 형성에는 두 가지 종류의 과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로 1월의 영상자료에 의하면 난류의 대량 공급으로 인하여 약 200km 크기의 와동류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에 약간의 변형과 냉각과정을 거쳐서 3월에는 난류의 좁은 필라멘트가 북쪽으로 침투하면서 어느 정도 냉각된 기존의 와동류를 포위함으로써 4-5월에는 반지모양의 와동류로 발달하는 두 번째의 형성과정이었다. 와동류의 내부에는 수온 $10.0-10.4^{\circ}C$의 균질 중층수가 최대 170m의 두께로 존재하였다. 속초 근처 동한난류의 축에서의 유속 약 80cm/sec를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의 와동류 내부에는 대체로 30-50cm/sec의 유속분포를 보였고 주수온약층 밑으로는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