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tissue mass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3초

족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arsal Tunnel Syndrome)

  • 안재훈;김갑중;김하용;최원식;양대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1
    • /
    • 2007
  • Purpose: The authors intended to analyze the operative results of tars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tarsal tunnel syndrome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 year after operation. The mean age was 44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and 9 months. Clinical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ankle-hindfoot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the cause of disease was investigated, and the size of mass was measured, if possible. The duration of symptom, the presence of space occupying lesion (SOL), the effect of epineurolysi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see the relation with the operative results. Results: Operative release of tarsal tunnel was done in all cases, and epineurolysis was done in 11 cases. The causes of the disease were 10 soft tissue masses, 7 talocalcaneal coalitions, 1 nonunion of medial talar process fracture, and 1 pes planovalgus, and 3 idiopathic cases. The masses were subdivided into 7 ganglions, 2 neurilemmomas, and 1 lipoma. There was 1 case of combined talocalcaneal coalition and ganglion. Clinically AOFAS ankle-hindfoot score was increased from 62.7 points preoperatively to 84.3 points postoperatively. Visual analogue scale was improved from 6.5 preoperatively to 2.2 postoperatively. Two cases were graded as unsatisfactory. One was severe pes planovalgus, and the other was idiopathic case. The duration of symptom and the epineurolysis were not related with the results. However the presence of space occupying le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good results. Conclusion: Early operative release of tarsal tunnel appears to b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symptom. However the prognosis is limited in case that there is no SOL.

  • PDF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 증례 보고 -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the Sciatic Nerve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 A Case Report -)

  • 송상호;조성우;심창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1
    • /
    • 2000
  • 악성 신경초종은 주로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매우 드문 육종으로 기존의 신경섬유종이나 신경초종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초신경에서 새로이 발생하기도 하며 방사선 치료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의 좌골 신경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신경섬유종증의 기왕력이 있는 3 9세 남자로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대퇴후방의 동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계가 분명한 $6.5{\times}5{\times}4.5$cm 크기의 종괴는 광학 현미경상 촘촘히 압축된 방추상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신경섬유종증 환자는 이차적으로 악성 신경초종의 발생빈도가 높기 때문에 악성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PDF

신경초종의 진단과 수술적 치료 (Diagnosis & Surgical Treatment of Neurilemmoma)

  • 서정탁;박병국;유총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4-50
    • /
    • 1999
  • 부산대학교 병원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24례의 신경초종 환자를 치험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경초종은 성인에 대개 단일성으로 발생하며 주로 상지의 굴곡면에서 촉진가능한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게 되며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면 거의 확진 가능하고 수술상에서도 신경에서 흔히 편심성으로 위치하며 병소 변연부 절제술로 적출이 용이하였으며 합병증으로 감각이상과 표재성 감염이 드물게 발생했지만 일시적이었고, 악성화하거나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은 병소의 부위와 범위파악에 유용하며 병소 변연부 절제술은 재발없이 신경초종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권장될 수 있다.

  • PDF

사지에 발생한 거대 지방육종 (A Case of Huge Liposarcoma in Thigh)

  • 강신택;황태혁;박범석;김대중;신향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2-197
    • /
    • 2008
  • 지방육종은 연부 조직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지에서 발생할 경우 근위부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67세 남자의 좌측 대퇴부의 거대 지방육종을 변연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하였다.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종양은 변연절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적출 하였으며, 종양적출 후 6개월간 재발하지 않았다. 환자의 신장은 153 cm이며, 체중은 43 kg인데 반하여 종양은 $34{\times}20{\times}9\;cm$, 2.82 kg이였다.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비하여 종양은 매우 거대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잘 분화된 지방육종(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으로 판명되었다. 저자들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크기에 관련된 증례가 많지 않고 이에 따른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변연절제를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한 잘 분화된 거대지방육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흉벽에 발생한 거대 악성 말초신경초종-치험 1례- (Chest Wall Giant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ne case report)

  • 박진규;김민호;조중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729-732
    • /
    • 1997
  • 흉벽에 발생한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미국에서 Mark등a(1991)이 17례를 보고하였으나 한국에서는 아직까 지 발표된 예가 없다. 악성 말초신경초종은 악성 연부 육종의 10%에서 발생되며 대개 20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한다. 악성 말 초신경초종은 주로 좌골신경, 상완신경총, 천추총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가장 흔한 발생위치는 상지와 하지 의 근위부, 체간 등이며 드물게는 두경부에도 발생한다. 악성 연부조직 육종의 치료는 저급육종(low grade sarcoma)의 경우는 종양의 절제만으로 치유 가능하나 고급육종(high grade sarcoma)의 경우는 광범위 절제가 요구된다. 저자의 경우에는 50세 남자에서 다발성 거대종괴가 좌측 흉벽에 광범위하게 있었으며 병리소견상 저급 악 성 말초신경초종으로 판명되었다. 종괴들을 절제한후 발생한 흉벽결손은 15$\times$8 cm정도 였으며 Teflon을 이용하여 재건하였다. 수술후 환자 는 큰 문제 얼이 회복되었다.

  • PDF

안면부에 발생한 비특이성 염증 (NONSPECIFIC INFLAMMATION IN THE FACE)

  • 현영민;박래정;정환석;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273-281
    • /
    • 1997
  • Patient with complaints of swelling, pain in the maxillaly region and discomfort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August last year. Clinical examination and diagnostic imagings implied he was suffered from fungal hyphal infection but no causative fungus was found by the histopathologic and microbiologic investigation. Therefore he was diagnosed with nonspecific inflammation. But as yet, we do think this case is very similar to some kinds of mucormycosis. So we presented this case for more thorough discussion.Followings are founded in the examination. 1. Patient had suffered from Diabetes mellitus and complained of stuffness, headache, swelling in buccal cheeks and paresthesia And we found more maxillary bony destruction and ulcer with elevated margin in the palate by clinical examination. 2. In the first visit, Plain films revealed general bony destruction of the maxilla, radiopaqueness in the sinonasal cavities. or and MRI showed soft tissue mass filled in the paranasal sinus except frontal sinus and bony destruction in involved bones. 3. No causative bacteria and fungus was found in the biopsy and microbiologic cultures. 4. Caldwell-Luc operation and curettage were carried and antJbiotics were taken for 4 months. But now he was worse than in the past 5. In the second visit, involvement of orbit, parapharyngeal sinus, clivus, cavernous sinus and middle cranial fossa were seen clearly in the or and MRI.

  • PDF

횡문근육종의 골전이가 동반된 워너증후군 1례 (A case of Werner Syndrome Complicated by Bone Metastasis of Rhabdomyosarcoma)

  • 송준환;선동신;김호;이윤희;홍용희;이동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1호
    • /
    • pp.91-94
    • /
    • 2009
  • 저자들은 출생당시 특이소견 없었고, 유전질환의 가족력이 없는 20세 남자 환자에서 우측하지에 골전이가 동반된 횡문근 육종을 발견하고, 저신장, 탈모, 백내장, 치열이상, 골다공증, 갑상선기능저하증, 작은 손과 발, 사지는 가늘고 체간이 두터우며, 신체에 비해 큰 머리등 특이한 외모를 가진 워너증후군으로 진단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척삭종 - 4례의 임상 및 병리학적 검색 - (Chordoma - A Clinicopathologic Review of 4 Cases -)

  • 최준혁;배영경;김미진;신덕섭;조길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69-375
    • /
    • 1999
  •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척삭종으로 진단받은 4례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57세에서 75세였고 평균연령은 63.5세였다. 4례 모두 천미골부에서 발생하였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9.3cm 였다. 종양은 비교적 경계가 비교적 잘 지워지는 섬유성 격벽에 의해 나뉘어지는 분엽성, 점액성, 젤라틴 모습이었고, 조직학적으로 풍부한 점액성 기질과 거품모양의 공포를 갖는 담공포성 세포가 특정적으로 관찰되었다. 4례(100%)에서 종양세포들은 cytokeratin, EMA와 vimentin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1례(25.0%)는 S-100 protein에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CEA에 대하여 모두 음성 반응이었다.

  • PDF

구강내 접근법을 이용한 비순낭종의 치료 경험 (Clinical Experience with Nasolabial Cysts Using the Sublabial Approach)

  • 권준성;최환준;최창용;박재홍;박래경;김숙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51-256
    • /
    • 2011
  • Purpose: A nasolabial cyst is a rare non-odontogenic, soft-tissue, developmental cyst arising anywhere on the face inferior to the nasoalar region. It is thought to arise from either epithelial remnants trapped along the lines of fus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face or the remnants of the developing nasolacrimal duc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features of nasolabial cysts with bony involvement to provide a basis for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Eight cases of nasolabial cyst treated in Soonchunhyang Hospital between March 2002 and July 2010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clinical features and radiological and histological findings. Seven patients underwent surgical excision of the cyst via an intraoral, sublabial approach. One underwent incision and drainage. Results: Our eight patients were seven women and one man. The most frequent symptoms and signs were facial deformity and swelling of the nasolabial fold.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a well-circumscribed cystic mass lateral to the pyriform aperture. Seven cases had erosive lesions on CT, and the intraoperativ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a nasolabial cyst with a bony defect. Typical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these cysts were most frequently lined with respiratory epithelium with ciliated columnar cells and cuboid cells. No patient developed complications or recurrences. Conclusion: A nasolabial cyst is often unrecognized or confused with other intranasal masses, including fissural and odontogenic cysts, midface infections, or swelling in the nasolabial area. Therefore, a careful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 should be preformed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We present eight patients with nasolabial cysts treated via a gingivobuccal approach with excellent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