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ft-tissue

검색결과 3,061건 처리시간 0.032초

사지 및 체간에 발생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의 발생 분포 (Distribution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Occurred in Extremities and Trunk)

  • 김태승;서경원;김태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3
    • /
    • 1999
  • 1984년 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교 정형외과학교실에서 경험한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230례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연부조직 종양중 결절종(26.5%)이 가장 많았고, 혈관종(19.6%), 지방종(17.0%), 슬와낭종(13.0%), 신경초종(7.0%)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그리고, 임파관종(3.9%), 섬유종증(3.0%), 사구종(3.0%), 신경 섬유종(2.2%), 평활근종(0.9%),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0.9%), 점액종(0.9%), 외상성 신경종(0.9%), 황색종(0.4%), 활액막성 연골종증(0.4%), 골화성 근염(0.4%)이 발생하였다. 2. 종양의 분포 연령은 비교적 전 연령층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였다. 이 중 혈관종과 임파관종은 20세 이전에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성별 분포는 남자 98례, 여자 132례로 여자에게 약 1.3배 많았으나, 슬와낭종과 신경초종은 남자에게 호발하였다. 4. 15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혈관종, 결절종, 임파관종, 지방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6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결절종, 지방종, 슬와낭종, 혈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 발생 부위는 하지(60.0%)에 호발하였고, 상지(35.2%), 체간(4.8%)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6. 크기가 1cm 미만인 종양은 결절종, 사구종, 혈관종, 임파관종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1-5cm인 종양은 결절종, 혈관종, 슬와낭종, 지방종, 신경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5cm 이상인 종양은 지방종, 혈관종, 임파관종, 결절종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7. 모든 환자는 절제술로 치료받았고, 국소 재발은 22례(9.6%)에서 나타났으며 혈관종이 12례로 가장 많았다. 재발율은 외상성 신경종, 색소 융모결절성 활막염, 신경 섬유종, 섬유종증, 혈관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과 환자-대조군 분석 (Outcome of Extraskeletal Osteosarcoma; Case-control Study with High Grade Soft Tissue Sarcoma)

  • 조완형;이수용;송원석;공창배;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0
    • /
    • 2009
  • 목적: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종양으로 연부조직육종에 비해 어느 정도의 치료 성적을 보이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두 악성 연부 육종의 치료결과를 비교 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12례의 골외성 골육종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악성도 연부조직육종 환자와 짝짓기 환자-대조군 분석을 위해 악성도 3등급의 연부조직 육종 중 골외성 골육종 환자와 유사한 위치, 크기, 나이를 가진 환자 6배수를 선별하였다. 결과: 골외성 골육종 환자 나이는 35~77세 (중간값 50세)였다. 위치는 상지 5례, 둔부 4례, 하지 3례 였다. 5년 생존율은 52% 였다. 대조군인 연부조직육종의 5년 생존율은 55%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 국소재발율은 골외성 골육종이 58%, 연부조직육종이 36%이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 전이율은 각각 67%, 51%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 결론: 골외성 골육종은 고악성도 연부조직종양과 비슷한 전이 및 국소재발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골외성 골육종의 증례가 적으므로 다기관 연구를 통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주위 연조직의 3차원적 변화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using 3-D laser scanner)

  • 이원제;이기준;유형석;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1-422
    • /
    • 2011
  •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심한 골격적 부조화가 존재하지 않는 18세 이상, 29세 미만의 성인 환자 중 포괄적 교정 치료를 위하여 상, 하악 치아의 순측에 브라켓을 접착한 45명을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직전과 직후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였다.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3차원 좌표계 상에서 분석하였다. 3차원 변화량(distance: 동일 계측점 간의 변화에 대한 최단 거리)에서 유의성을 보인 모든 계측점에서 전방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측면 계측점들은 측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상순의 계측점들은 상방으로, 하순의 계측점들과 B'는 하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하순의 Li (labrale inferius)에서 1.39 mm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p$ < 0.01), Li Rt (labrale inferius right), Li Lt (labrale inferius left)에서 1.15 mm, 1.09 mm의 변화가 나타났다 ($p$ < 0.01). 상순의 양측 ULP (upper lip point), Ls (labrale superius), Ls Rt (labrale superius right), Ls Lt (labrale superius left)에서 0.81 mm, 0.85 mm, 0.82 mm, 0.97 mm, 0.92 mm의 변화를 보여 ($p$ < 0.01), 하순에 비하여 상순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양측 Ch (cheilion)과 Stm (stomion)에서 1.17 mm, 1.16 mm, 1.02 mm ($p$ < 0.01), Sn (subnasale)와 B' (soft tissue B point)에서 0.46 mm, 0.63 mm ($p$ < 0.01, $p$ < 0.05)의 변화가 나타났다.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연조직 변화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성인 교정 환자에서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 변화의 예측에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경골 천정(pilon) 골절의 최신 치료 (Current Treatment of Tibial Pilon Fractures)

  • 이준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57
    • /
    • 2011
  • Pilon fractures involving distal tibia remain one of the most difficult therapeutic challenges that confront the orthopedic surgeons because of associated soft tissue injury is common. To introduce and describe the diagnosis, current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the pilon fractures. In initial assessment, the correct evaluation of the fracture type through radiographic checkup and examin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s needed to decide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of pilon fractures. Even though Ruedi and Allgower reported 74% good and excellent results with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recently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preferred to orthopedic traumatologist because of the soft tissue problem is common after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components of the first stage are focused primarily on stabilization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f fibula is fractured, fibula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s integral part of initial management for reducing the majority of tibial deformities. Ankle-spanning temporary external fixator is used to restore limb alignment and displaced intraarticular fragments through ligamentotaxis and distraction. And the second stage, definiti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tibial component, is undertaken when the soft tissue injury has resolved and no infection sign is seen on pin site of external fixator. The goals of definitive internal fixation should include absolute stability and interfragmentary compression of reduced articular segments, stable fixation of the articular segment to the tibial diaphysis, and restoration of coronal, transverse, and sagittal plane alignments. The location, rigidity, and kinds of the implants are based on each individual fractures. The conventional plate fixation has more advantages in anatomical reduc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than locking compression plate. But it has more complications as infection, delayed union and nonunion.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provides greater stability and lesser wound problem than conventional implants. But the locking compression plate remains poorly defined for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tibia. Active, active assisted, passiv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is recommended when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is started. Splinting with the foot in neutral is continued until suture is removed at the 2~3 weeks and weight bearing is delayed for approximately 12 weeks. The recognition of the soft tissue injury has evolv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management of pilon fractures. At this point, the second staged treatment of pilon fractures is good treatment option because of it is designed to promote recovery of the soft tissue envelope in first stage operation and get a good result in definitiv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articular surface and axial alignment in second stage operation.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일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 by General Orthopedic Surgeon Rather than Orthopedic Oncologist)

  • 이순혁;박종훈;박상원;채인정;한승범;이석하;김호중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80
    • /
    • 2007
  • 목적: 저자들은 골연부조직 종양 전공자가 아닌 타 분야의 경험 있는 수련병원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치료된 연부조직육종 환자의 치료과정을 분석하여 치료의 적절성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본원을 방문하여 연부조직육종으로 진단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초진 방법과 수술적 치료와 보조적 치료 그리고 추시 관찰의 적절성 유무를 종양 치료의 원칙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는 16례 여자는 9례였으며 최종 수술 전 생검을 시행한 경우는 9례(36%)였다. 광범위 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는 13(52%)례 였으며,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악성도를 판명할 수 있었던 12례 중 수술과 술 후 보조적 치료가 동시에 적절했던 경우는 총 4(33.3%)례에 불과했다. 한편 적절한 검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추시는 4례 (16%)였다. 결론: 예상외로 많은 수의 연부조직육종 환자들이 임상 경험이 풍부한 수련병원의 전문의들에게 조차 부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다. 경험 많은 전문의를 포함한 모든 정형외과 전공자들에게 연부조직육종의 치료에 대한 전반적이고 강화된 교육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족근 관절 연부조직 충돌 증후군에서 MRI의 진단적 의의 및 관절경적 치료 결과 (Diagnostic efficacy of specialized MRI &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in ankle soft tissue impingement syndrome)

  • 이진우;문은수;김성재;한수봉;강응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8-217
    • /
    • 2003
  • Introduction: Soft-tissue impingement syndrome is now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significant cause of the chronic ankle pain. As a method to detect soft-tissue ankle impingement, a characteristic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routine MR imaging, and direct MR arthrography were used. The efficacy of routine MR imaging has been controversial for usefulness because of lo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Direct MR artrhography was recommaned for diagnosis because of the highes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but it requires an invasive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Fat suppressed, contrast enhanced, three-dimensional fast gradient recalled acquisition in the steady state with rediofrequency spoil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CE 3D-FSPGR MRI)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the arthroscopic treatment in assessing soft-tissue impingement associated with trauma of the ankl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8 patients who had arthroscopic evaluations and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3D-FSPGR MRI) for post-traumatic chronic ankle pain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02. Among them, 24 patients had osteochondral lesion, lateral instability, loose body, malunion of lateral malleoli, and peroneal tendon dislocation. The patient group consisted of 23 men and 15 women with the average age of 34 years(16-81 years). The mean time interval from the initial trauma to the operation was 15.5 months(3 to 40 months), The mean follow-up duration of the assessment was 15.6months(12-48 months). MRI was simultaneously reviewed by two radiologists blinded to the clinical diagno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MRI was obtained from radiologic and arthroscopic finding.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additional operation for associated disease were performed. We used a standard protocol to evaluate patients before the operation and at follow-up which includes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Results: For the assessment of the synovitis and soft tissue impingement, fat suppressed CE 3D-FSPGR MR imaging had the sensitivity of 91.9%, the specificity of 84.4 and the accuracy of 87.5%. AOFAS Ankle-Hindfoot Score of preoperative state was 69.2, and the mean score of the last follow-up was 89.1. These were assessed as having 50% excellent(90-100) and 50% good(75-89). The presence of other associated disease didn'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0.05). Conclusion: Fat suppressed CE 3D-FSPGR MR imaging is useful method comparable to MR arthrography for diagnosis of synovitis or soft-tissue impingement, and arthroscopic debridement results in good clinical outcome.

  • PDF

9-11세 정상교합 어린이의 연조직 측모에 관한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THE CEPHALOMETRIC STUDY OF SOFT TISSUE PROFILE OF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BETWEEN THE AGES OF 9 AND 11 YEARS)

  • 이창희;김정욱;김종철;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1-471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교합인 건치 어린이에서 여러 가지 연조직 측모 분석법을 이용한 평균치를 제시하고 연령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이 시기에 행해지는 교정진단과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2000년에서 2004년까지 서울시 치과의사회가 주관하는 건치 어린이 선발대회에서 선발된 정상교합인 9-11세 어린이 169명(남자 82명, 여자 87명, 9세 26명, 10세 118명, 11세 25명)을 촬영한 측모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으로 여러 가지 연조직 측모분석법을 이용하여 연조직 평균치를 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연조직 평균치는 두 가지 항목을 제외하고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여자가 남자보다 H line에 대해 하순이 더 돌출된 위치에 존재했으며, 중안모 길이에 비해 하안모 길이가 짧았다(p<0.05). 3. 연령에 따른 연조직 평균치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적 접근 (Diagnostic Approach to a Soft Tissue Mass)

  • 전영수;송승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3-301
    • /
    • 2019
  • 사지와 몸통의 연부조직 종양은 정형외과 의사가 직면할 수 있는 흔한 문제이다. 비록 연부조직 종양은 대부분 양성이지만 정형외과 의사는 양성과 악성 종양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연부조직 종양의 임상적 특징 및 역학을 이해하게 되면 올바른 진단 및 수술적인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종양의 크기와 깊이는 종양의 진단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종양의 감별 진단을 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상세한 병력청취와 자세한 신체 검사가 필요하며, 이후 단순 방사선 촬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뼈 스캔, 혈관 조영술 등의 다양한 영상 촬영법을 사용하여 종양을 진단하고 진단된 종양의 특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특히 초음파 검사는 외래에서도 쉽게 수행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검사 정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종양의 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는 종양에 대한 모든 영상 검사를 시행한 후 최종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조직 검사를 시행할 때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최종적인 진단 후에는 치료를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시행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경험 있는 근골격계 종양전문의사에게 의뢰하는 것이 필요하다.

Comparative evaluation of photobiomodulation therapy at 660 and 810 nm wavelengths on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in pediatric dentistry: an in-vivo study

  • Ankita Annu;Sujatha Paranna;Anil T. Patil;Sandhyarani B.;Adhithi Prakash;Renuka Rajesh Bhurke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4호
    • /
    • pp.229-236
    • /
    • 2023
  • Background: Local anesthesia has been reliably used to control pain during dental procedures and is important in pediatric dentistry. However, children occasionally complain of prolonged numbness after dental treatment, leading to several problems. Studies conducted to reverse the effect of local anesthesia using phentolamine mesylate and photobiomodulation therapy (PBM) are encouraging but limited. PBM is a type of light therapy that utilizes visible and near-infrared non-ionizing electromagnetic spectral light sources. Hence, this study used this modality to compare the reversal of local anesthesia at two different wavelengths.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PBM at 660 and 810 nm wavelengths on the reversal of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using a diode LASER in pediatric dentistry. Method: Informed consent and assent were obtained, and the participants were then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of 20 children each: control group-without LASER irradiation, LASER irradiation at 660 nm, and LASER irradiation at 810 nm. Sixty children aged 4-8 years with deciduous mandibular molars indicated for pulp therapy were administered a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fter 45 min of injection, a duration that was similar to the approximate duration of treatment, they were exposed to 660- and 810-nm LASER irradiation according to their groups until reversal of local anesthesia was achieved. The control group did not undergo LASER irradiation. The reversal of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tic effect was evaluated using palpation and pin prick tests every 15 min, and the LASER irradiation cycle continued until reversal of the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was achieved. Results: A significant reduction of 55.5 min (27.6%) in the mean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time was observed after the application of 810 nm wavelength PBM and 69 min (34.7%) after 660 nm wavelength LASER irradiation. Conclusion: PBM with a 660 nm wavelength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mean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reversal duration, and thus can be used as a reversal agent for soft tissue local anesthesia in pediatric dentistry.

무지외반증에서의 원위 연부 조직 유리술: 변형된 맥브라이드 술식과 경관절 접근법의 비교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in Hallux Valgus Deformity: Comparison of Modified Mcbride Procedure and Trans-Articular Approach)

  • 이준엽;김광연;박세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3-130
    • /
    • 2023
  • Purpose: "Hallux valgus" is a common disease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and is accompanied by foot deformities. Conservative treatment is commonly used in the early stages of hallux valgus. On the other hand, surgical treatment often becomes necessary as the deformity progresses. Surgical treatments involve various osteotomy methods or joint fusion procedures combined with soft tissue release, and outcomes from these surgical treatments are generally favorable. This study compared two soft tissue release techniques in the hallux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48 participa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hallux valgus at a single institution from March 1, 2018, to March 31, 2023. A scarf osteotomy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or "Trans-articular approach" was done for soft tissue releas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and the degree of subluxation of the lateral sesamoid were measured through simple foot radiographs taken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In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group, HVA, IMA, and the sesamoid position grade decreased from 34.94° to 9.98°, 15.64° to 5.44°, and 2.47 to 0.44, respectively. In the trans-articular approach group, HVA, IMA, and the sesamoid position grade decreased from 33.42° to 7.34°, 15.06° to 6.03°, and 2.17 to 0.58,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changes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one-year postoperative measurements for both techniques (p-value>0.05). Conclusion: A radiological assessment of soft tissue release through the Modified Mcbride procedure and trans-articular approach in hallux valg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both surgical techniques can be considered in the distal soft tissue release for a hallux valgus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