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ft ray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소아복부 종괴의 방사선학적 고찰 (Radiologic Evaluation of Intraabdomenal Masses in Childhood)

  • 권혁포;변우목;황미수;김선용;장재천;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3-42
    • /
    • 1988
  • 최근 5년간의 소아의 복부종괴 23예를 발생빈도, 부위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23예중 신경아세포종이 6예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Wilms 종양 5예, 담도낭종, 난소종양, 수신종 등의 순위였다. 2. 발생연령별로 분석해 본 결과 6세 이하가 78%(14예)를 차지했고 특히 후복강 종양은 6세 이하에 집중되어 있었다. 3. 부위별로는 후복강 종양이 60%(14예)로 가장 많았다. 4.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본 결과 1) 단순 복부촬영상 신경아세포종의 50%에서 특징적인 석회와 음영을 볼 수 있었고 후복강 종양의 대부분에서 비특이적인 석회화 음영을 볼 수 있었다. 2) 초음파 소견상 저에코, 고에코 또는 혼합에코 등의 종괴 내부성상을 알 수 있었으나 종괴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3) 경정맥 신우 조영촬영상 신우신배의 비정상적인 소견과 신장의 전위 소견으로부터 신장내 종양과 신장의 다른 부위의 종양을 구분할 수 있었다. 4) 전산화 단층촬영상 종괴 내부의 성상뿐만 아니라 종괴의 해부학적인 위치, 주위 구조와의 관계, 임파절이나 다른 부위로의 전이유무를 알 수 있었다.

  • PDF

제한적 접근을 통한 부정유합된 관골골절의 교정 (Correction of Malunited Fracture of Zygoma Through Limited Incisions)

  • 김용하;김성호;설정현;이경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22-31
    • /
    • 1996
  • 본 교실에서는 1994년 11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수상 후 혹은 일차 교정 후 평균 3.2개월 경과한, 7명의 환자에서 제한된 접근방식으로 2차석 교정술을 시행하여 평균 4.5개월의 추적 조사한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술전에 X-ray 검토, 사고 전의 사진, 충분한 대화 등을 토대로 가능한 정확한 절골선과 변형정도 등의 교정을 위한 계측이 필요하다. 2. 관골의 삼각골절 후 안면변형인 경우는 반드시 광범위 노출법보다는 제한적 방법으로 교정이 가능했다. 3. 절골된 관골은 내측 및 전상방으로 과교정해야 한다. 4. 절골 및 재배치시 저작근을 포함하여 주위 연부조직을 분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5 안구함몰의 교정을 위해서 안와기저부 및 측부에 자가 골이식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Medpor^{(R)}$)의 삽입 후 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저칼슘식이가 백서의 하악골 골절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MANDIBULAR FRACTURE WOUND HEALING IN THE CALCIUM DEFICIENT RAT)

  • 이상훈;황의환;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123-14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osteoporosis on fracture wound healing in the calcium deficient rat. To research the experiment some ten-week old Wistar strain rats with approximately 300 gms weight were selected. Then, th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diet group(rats given a normal diet before and after bone fracture) and Low calcium diet group(rats given a low calcium diet before and after bone fracture). Both groups had been provided with each diet for three weeks. When the rats became thirteen weeks old, the mandibular angle of rats in both groups was artificially fractured for test. The healing of fracture wounds was reviewed by using soft x-ray radiography and /sup 99m/Tc-MDP bone scan and also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diolucency of the fracture site for the Normal diet group started to decrease from the 14th day since the experiment was made, while the Low calcium diet group began decrease in the radiolucency from the 21st day of the experiment. The radiolucency for the Normal diet group disappeared at the 42nd day, but one for the Low calcium diet group disappeared at the 56th day of the experiment. 2. The highest uptake rate of /sup 99m/Tc-MDP stood at the 14th day of the experiment in the Normal diet group and the Low calcium diet group's maximum rate was recorded at the 21st day of the experiment. These both groups were gradually experiencing decrease in the uptake rate as the experiment time was going on. However, the uptake rate in the Low calcium diet group was lower than one in the Normal diet group. 3. For the Normal diet group, the newly formed trabeculae, which were similar to one of the surroundung bone, were seen at the 42nd day of the experiment. On the other hand, the Low calcium diet group showed at the 56th day of the experiment that the osteoporotic findings looked weak, irregular trabeculae, and also large bone marrow space were observed clearly. 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it is said that the healing of the fracture can be completed for both groups, the Normal diet group and the Low calcium diet group. However, the amount of the newly formed bone wound in the Low calcium diet group is rather decreased compared to one in the Normal diet group and at the same time the healing of the fracture is delayed in the Low calcium diet group. Consequently, for the successful healing of fracture in osteoporosis,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agement of the etiologic factors of osteoporosis must be preceded. The more study of calcium metabolism and functions of osteoblast and osteoclast needs to proceed on.

  • PDF

경안천 유역 하성면에 발달한 토양 특성 (Soil Characteristics on the Fluvial Surface in the Basin of Kyeongan-cheon (Stream))

  • 강영복;신광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8-556
    • /
    • 2006
  •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발달한 유물 지형인 하성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하여 형성된 토양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조사 지점의 적색토의 A층은 적갈색(5YR/4/3)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미약한 아각괴상 내지 입상 구조이다. B층은 황적색(5YR4/3) 내지 명적색(2.5YR4/6)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약한 아각괴상 구조를 보이며 적색의 점토 피막과 망간결핵이 나타나는 점토 집적층의 특징을 갖는 argillie층이다. 토층은 $A_1-B_{1t}-B_{2t}-C$ 층으로 되어있다. 하성 고위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본토양은 과거 제4기의 온난한 생물기후 상태하에서 이루어진 강력한 탈규산화 작용과 염기용탈 및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의 일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적색토는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상태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고적색토로 판단된다.

석회화 건막 섬유종 - 증례 보고 - (Calcifying Aponeurotic Fibroma - A Case Report -)

  • 백승삼;장기석;;김형종;노원일;이성필;이광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237
    • /
    • 2003
  • 목적: 석회화 건막 섬유종은 소아 및 청소년층에서 수장부를 가장 많이 침범하는 양성이나 공격적 성향을 띈 섬유성 종양이다. 저자들은 최근에 15세 소년의 수부에 발생한 석회화 건막 섬유종의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5세 소년이 좌수의 소지구 부위에 재발하는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이 소년은 7년전에 타 병원에서 국소 마취 하에 동일 부위에 발생한 종물을 제거한 기왕력을 가지고 있었다. 종물은 단단하였으며 압통이 있었다. 단순 방사선 촬영상에는 종물 내에 다소성으로 산재된 미세 석회 침착이 보였다. 수술 소견상 종물은 주변과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으며 단단하고 옅은 회색빛의 석회화를 동반한 침습성의 결절성 형태를 보였으며 가이언 관내의 척골 신경과 척골 동맥이 바로 인접하고 있었다. 수술 후 제거한 종물을 현미경적으로 관찰한 결과 종물은 많은 석회 침착이 되어 있으면서 이형성 연골양 분화를 보이는 조직이 중간 중간에 섞여 있는 빽빽한 섬유 조직의 증식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주변부는 명확히 경계 지어지지 않으며 분엽상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 이 질환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치료법은 기능적인 면과 주요 조직을 보존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광범위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며 이렇게 치료하더라도 많게는 50 %이상의 재발율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 PDF

Fe-Co-Cu-Nb-Si-B 초미세결정합금의 자기적 특성연구 (Magnetic Properties of Nanocrystalline Fe-Co-Cu-Nb-Si-B Alloys)

  • 김약연;백종성;서영수;임우영;유성초;이수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0-134
    • /
    • 1993
  • 초급냉법중 단롤법으로 제작한 $Fe_{73.5-X}Co_{X}Cu_{1}Nb_{3}Si_{13.5}B_{9}(x=2,\;4)$ 비정질 합금을 $400~650^{\circ}C$에서 열처리하여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Fe_{71.5}Co_{2}Cu_{1}Nb_{3}Si_{13.5}B_{9}$ 비정질 합금의 최적 열처리 온도는 $550^{\circ}C$이며, 이온도에서 열처 리된 시료의 상대 투자율과 항자력은 1 kHz에서 각각 $1.1{\times}10^{4}$, 0.22 Oe이다. $Fe_{69.5}Co_{4}Cu_{1}Nb_{3}Si_{13.5)B_{9}$의 경우는 $600^{\circ}C$에서 열처리 했을때 상대 투자율과 항자력이 각각 $1.0{\times}10^{4}$, 0.19 Oe로 가장 우수한 연자성 특성을 보였다. X-선 실험결과, 이러한 연자성 특성의 향상은 $\alpha$-Fe(Si) 결정립의 형성에 의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강자성 공명 실험에 의하면 최적 열처리 조건은 공명 흡수선의 반치폭이 급격히 증가하기 직전의 온도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미세결정립과 비정질이 공존하는 $Fe_{73.9}$$Cu_{1.0}$$Nb_{3.5}$$Si_{14.0}$$B_{7.6}$ 합금의 자기장 중 열처리 (Heat Treatment Effects of $Fe_{73.0}Cu{1.0}Nb_{3.5}Si_{14.0}B_{7.6}$Alloy with Imbedded Nanocrystalline Phase under Magnetic Field)

  • 양재석;손대락;조육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20
    • /
    • 1998
  • 초미세결정립과 비정질을 동시에 포함하는 리본형 Fe73.9Cu1.0Nb3.5Si14.0B7.6 합금을 자기장 중 열처리한 시편의 결정?적 특성 및 고주파 연기자 특성을 인가 자기장과 열처리 온도에 따라하여 조사아였다. 제조된 리본의 표면에 석출된 Fe-Si 초미세결정립은 (400) 우선방위를 나타내는 동시에 리본길이방향으로 [011] 결정측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엿다.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거나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열처리할 때 45$0^{\circ}C$에소 Fe-Si 초미세결정립이 석출되다, 폭방향의 자기장을 인가한 경우 초미세결정립의 석출은 지연되어 55$0^{\circ}C$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할 때 시편의 결정화 정도는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금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편의 각도를 기울여 측정된 X-선 회절패턴으로부터 시편내부는 표면과 달리 결정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열처리한 시편의 포화자기유도는 1.3T로 비슷하였다. 열처리전 리본의 보자력의 크기는 1.06A/츠이었으나, 열처리한 시편은 열처리 온도가 40$0^{\circ}C$에서 55$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0.56A/cm에서 0.1A/cm로 감소하였다. 폭방향의 자기장을 인가한 경우 각형비는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거나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열처리한 시편의 각형비보다 작았다.

  • PDF

Streptozotocin유도 당뇨병이 백서하악 절단과두 치유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연구 (REMODELING PROCESS OF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RESECTED CONDYLE)

  • 김원철;황의환;이상래;홍정표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263-27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modeling process of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resected condyle.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male Sprague-Dawly strain rats weighing approximately 250 gm, which were rendered diabetic by an intravenous injection of streptozotocin(70㎎/㎏ body weight). After condylectomy, experimental rats were serially terminated on the 1st week, the 2nd week, the 3rd week, and the 4th week. The following termination, the mandibles were dissected out to make specimens. Each mandibular condyle was radiographed with Hitex HA-80(Hitex Co., Ltd. Japan). In addition to radiographic observation, the mandibular condyles, further decalcified and embedded in paraffin, were sectioned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oluidine blue and Masson's trichrome. They were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and a polarizing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ft X-ray radiograms revealed proliferation of bone after 1 week in both groups. Irregularly repaired bones and dense trabeculae were clearly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 2. The resected condyles were repaired by intramembraneous and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n both groups. 3. Bone tissue repair was initiated from the adjacent margin of resected bone, and cartilaginous tissues were observed at the top of repaired bone in both groups. 4. The number of osteoblasts of experimental group was smal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ach osteoblast was small and flat. The thin trabeculae were irregularly formed. 5. Collagens of bone were gradually matured in both groups, but the degree of maturation was lower in experimental group. 6. Fibrous tissues covered the upper parts of repaired bone were densely arranged in the both groups. Conclusively, atrophied osteoblasts, immature collagen of bone, and thin and irregular trabeculae which were characterized in the diabetes experimental group showed diabetes disturbed osteoblastic function and caused disturbance of remodeling process of bone.

  • PDF

방사선 투시를 이용한 개폐구 운동에 따른 수직 고경 계측점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FLUOROSCOPIC STUDY ON THE STABILITY OF SKIN REFERENCE POINTS DURING JAW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 안형준;김창회;김영수;김용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16-530
    • /
    • 1999
  • The current clinical technique for occlusal vertical dimension recording is based on marking the skin reference points on the patient's face and measuring between these points using caliper-like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reliable measurements by this technique because of movable soft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ability of skin reference points by compar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extra-oral skin reference points and intra-oral reference points using X-ray fluoroscope. 10 test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 Group I (natural dentition) and Group II (denture-wearer whose vertical dimension was lost) and Group III consists of identical test subjects to Group II with their upper denture removed and record base inserted. Attaching the 3 mm diameter steel ball to nose tip, lower lip, chin and to existing denture (or record base), fluoroscopic examination and recording were taken during 2 jaw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After subsequent digitization using personal computer, 1219 still pictures with 0.1 second interval were made. Using the 2 dimensional graphic software, measurements between reference points were executed. Dividing the entire jaw movement into 3 ranges (total, 1st half opening, 2nd half opening), rate of movement and relative movement between extra-oral and intra-oral reference points were calcula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ithin the same experimental group,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tability of skin reference between lower lip point and chin point during total range of jaw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p>.05) 2. In the first half range of jaw opening,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 I (natural dentition) and Group II (denture wearer) (p<.05) Group I has greater skin reference stability than Group II. 3. In the first half range of jaw opening,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record base wearer) (p<.05). Group I has greater skin reference stability than Group III. 4. In the first half range of jaw open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tability of skin reference between Group II and Group III (p>.05). 5. In the second half range of jaw open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tability of skin reference between any experimental groups (p>.05). 6. In patients with their occlusal vertical dimension lost, employing other measuring references rather than skin is recommended because of low stability.

  • PDF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넙치 치어 인위감염 (Experimental infection of Philasterides dicentrarchi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진창남;강현실;이창훈;이영돈;이제희;송춘복;허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4
    • /
    • 2006
  • 넙치 치어 3 cm와 5 cm 그룹을 이용하여 Philasterides dicentrarchi에 대한 병원성과 감염경로를 조사하였다. 소형수조에서 넙치치어에 스쿠티카충을 인위감염시킨 결과 3 cm 그룹인 경우 접종 4일 후에 40%가 감염되었으며, 24일 후에는 감염률이 90.1%로 대부분의 실험어가 감염되었다. 5 cm 그룹은 3 cm그룹에 비해서 초기 감염률이 현저히 낮았다. 접종 8일 후에 최초로 20%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16일 후에도 42%로 완만한 속도로 감염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감염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24일 후에는 81%에 달했다. 반면에 스쿠티카충을 접종시키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스쿠티카충이 감염되지 않았다. 인위감염시킨 스쿠티카충의 어체내 침투는 몇 가지 경로로 이루어졌는데, 지느러미 연조막에 감염된 후 지느러미 조직과 근육에 침투하는 경로, 주둥이 부위의 부드러운 표피를 통하여 감염 된 후 두부 골격과 근육 결을 따라 안구와 뇌로 침투하는 경로, 꼬리지느러미를 통해서 미병부에 침투한 후 척수에 도달하고, 척수를 따라 뇌에 침투하는 경로 등이었다. 이외에도 복강에 침투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항문주위에 다량으로 증식하며 조직을 괴사시킨 후 복강으로 침투하였다.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뇌 침투는 3cm그룹은 충 접종 후 14일 만에, 5cm그룹은 20일 만에 각각 확인되어 어체가 작을수록 빨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