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nes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Psychological Effect of Personalized Services on Customer's Website Loyalty in Fashion -Focusing on Cognitive Efficiency, Website Socia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 Lee, E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4-407
    • /
    • 2015
  • Prior research highlighted personalized services as a crucial antecedent to website loyalty, yet little has been discussed on the underlying mechanism.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intervening effects of the three psychological constructs in the personalization-loyalty relationship: cognitive efficiency, perceived enjoyment, and socialnes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414 U.S. shoppers on a fictitious e-tail site for jeans that employed different levels of personalized content. The result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xposed to the high-level personalization condition reported a higher cognitive efficiency and higher socialness perception regarding the fashion e-tail site; however, no direct effect of intensity of e-personalization was found on perceived enjoyment. Cognitive efficiency and enjoyment perceptions on the site significantly increased customers' loyalty intentions regarding the site, while website socialness perception had no direct effect on loyalty intentions. Website socialness showed indirect effects on website loyalty intentions only through cognitive efficiency and perceived enjoyment; however, no direct effect from website socialness was fou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 - 사회적 포용성을 중심으로 - (Evaluation and future of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 Focusing on social inclusiveness -)

  • 한창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9-33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포용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사회적 포용성의 정도에 따라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미래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포용성은 일차적으로 사회복지 법과 제도 측면에서 얼마나 포용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추가적으로 사회적 포용성은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포용성의 인식정도로 측정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제도적 의미의 사회적 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 자산형성지원 제도의 4가지 분석틀(보편성, 누진성, 일생주기성, 그리고 적절성)을 이용하여 사회복지관련 주요 법(헌법과 사회보장기본법)들과 제도들을 평가하고 있다. 주요 분석결과로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형식적 또는 규범적으로는 틀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4가지 분석틀에 있어서 문제점들이 많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로서 일차적으로 사회문제의 '사회성'의 의미를 강조하고 이에 따라 공공성을 강화시키는 제도적 개입의 확충을 강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노동시장의 실패, 일생주기 동안 높은 빈곤 경험 비율, 그리고 사회복지정책의 비효율성을 통해서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사회문제는 개인적 책임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의 사회성 인식제고를 통해 공공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의 사회복지제도의 개선이 사회적 포용성을 향상시키고 포용사회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다.

Perceptions of Presence as Antecedents to E-tail Shopping -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 Park, Jee-Sun;Hyun, Jong-Han;Fairhurst, Ann;Lee, Kyu-Hye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3호
    • /
    • pp.451-462
    • /
    • 2012
  • Drawing on the literature on TAM and presence,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the extended TAM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the motivation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online consumers' acceptance of an e-tail website. This study conceptualizes that consumers' perceived presence variables such as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the antecedents to the motivations of TAM. Empirical tests using regression analyses generally supported the proposed model. The overall conclusion from the current data is that our integrated model is use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acceptance of an apparel e-tail website. The finding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interest motivations act as strong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an e-tailer, which leads to their behavioral intentions about the e-tailer. This suggests that apparel e-tailers should consider these three motivations when they design their websites. As one way to influence these three factors, this study showed the role of perceived presence in the usage of an apparel e-tail website. Th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consumers' perceptions of "being there" and "socialness" stimulate their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interest in the website use. Thus, e-tailers should consider effective ways to increase consumers' perceived presence.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N Screen Service Users' Motivations for Use and Dissatisfying Factors)

  • 임소혜;이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9-108
    • /
    • 2013
  • 본 연구는 N 스크린 이용자들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앞으로의 지속적인 이용 의사와 연결시켜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 조사(N=558) 결과, N 스크린 이용 동기는 인터페이스의 편의성과 일상생활에서의 유용성에 관한 항목인 '매체활용성', 가족/친구 등과 함께 사회적 이용에 관한 '사회성', 시간과 공간에 구속받지 않는 이용과 이동성에 관한 '휴대성', N 스크린 서비스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다양성과 연계 정보 검색 가능성에 관한 '콘텐츠속성', 그리고 '습관성'이라는 다섯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섯 동기 요인 중 콘텐츠 속성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가지 동기가 모두 이용 지속 의사에 유의한 예측력을 지니는 변인으로 식별되었다. 한편 N 스크린에 대한 불만족 요인으로는 서비스와 관련된 '고객 서비스 불만족' 요인과 콘텐츠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불편함과 관련된 '콘텐츠 이용 불만족'으로 정리될 수 있었으며 콘텐츠 이용 불만족 요인이 고객 서비스 불만족 요인보다 약간 높게 드러났다. N 스크린의 불만족 요인이 이용 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객 서비스 불만족 요인보다는 콘텐츠 이용 불만족 요인이 이용 지속 의사에 부정적 예측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