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ity facto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지속가능한 웹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친사회적 행동 관점 (Factors Affecting Sustainable Web Technology Adoption : Pro-social Behavior Perspectives)

  • 김선희;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5-229
    • /
    • 2014
  • 오늘날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업 기회 창출을 위해 지속가능한 정보기술에 대한 수용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환경적 영향 요인 외의 여러 사회적 영향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웹 기술 환경에서 소비자의 친사회적 행동이 지속가능한 정보기술 수용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한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정보기술 개념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사회적 교환 이론에 두었다.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웹 서비스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사용 의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웹 기술 서비스의 사회적 책임성과 사회적 유용성을 고려하여 수용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정보 기술의 수용에 있어서 해당 기술이 가진 사회적 특성과 영향력을 처음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이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정보기술의 초기 도입 단계 수용에서 기술의 사회 책임적 특성과 유용성을 인식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이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The Effects of Logistics Technology Acceptan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Logistics Safety Performanc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ogistics Safety Behavior through Safety Culture

  • Kim, Young-Mi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1호
    • /
    • pp.57-80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cept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ogistics technology, logistics safety behavior, and logistics safety performance,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logistics safety behavior through safety culture in Korea. Design/methodology -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ogistics technology, logistics safety, and logistics perform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of logistics companie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applying SPSS Process Model No. 7 was conducted. Findings - Usefulness and sociality of the accept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ogistics technolog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gistics safety behavior. Ease of use, sociality, and efficiency had meaningful effect on logistics safety performance. A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ceptance of logistics technology and logistics safety performance, logistics safety behavior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afety behavior through safety culture was not significant. Logistics companies can improve logistics safety performan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new logistics technologies such as intelligent logistics robot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c. Originality/value - This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ceptance of logistics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logistics safety.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analyzed mediating effects or moderating effects, but this i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afety behavior through safety culture. In other words, it has originality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건축물 미술작품의 공간스토리텔링 적용이 아파트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pace Storytelling Factors for Building Artwork on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Apartment Purchasing)

  • 권혁인;이진화;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96-408
    • /
    • 2013
  •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건축물 미술작품의 스토리텔링 적용 및 확산을 위한 최초의 정량적 연구로써, 기존의 건축물 미술작품의 문제점을 보완할 대안으로 공간스토리텔링의 적용과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건축물 미술작품의 신규 평가요인인 '공간스토리텔링' 세부요인을 도출하고, 건축물 미술작품에 이야기와 테마를 적용한 첫 사례인 일산 식사지구 '위시티(Wi-City)' 거주민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방법을 통해 건축물 미술작품 평가요인(조형성, 환경성, 사회성, 공간스토리텔링)이 시설물 호감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건축물 미술작품의 4가지 평가요인 중 사회성요인을 제외한 조형성, 환경성, 공간스토리텔링 요인이 시설물 호감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물 호감도는 아파트 구매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조형성 요인, 환경성 요인, 사회성 요인이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시설물 호감도는 완전매개변수로서 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공간스토리텔링요인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단지환경의 사회심리적 요소에 관한 거주자 인식 - 부산시 해운대 지역 신시가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of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

  • 양세화;오찬옥;김석태;박수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7-46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of outdoor spaces in apartment complex.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412 households living in Haeundae New Town, Busan,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abstracted were territoriality, privacy, safety, sociality, accessibility, and identity. It was found that the households were generally positive to the overall socio-psycological factors in the current apartment complex. The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responses to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were age of the wife, education of the wife, occupation of the wife, tenure type, monthly household income, length of residence,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s.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II) -외모관리행동 집단 간 외모관리동기 및 신체이미지 비교-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nsumers(II) -Examination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Body Image Perceptio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구양숙;이영주;추태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9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body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male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 set of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98 male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NA, cluster analysis, and crosstabs. Factor analysis of body image perception extracted four factors such as appearance concern, appearance satisfaction, exercise ability, and weight control. Four groups of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ere classified into such as health oriented, active figure management, indifference to personal appearance, and fashion/skin care by cluster analysis. All groups pursued sociality in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The active figure management group showed highest concern about in all the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body image perception.

안동시 문화산업진흥지구 특화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rection of Specialized Development for Andong City Cultural Industry Promotion District)

  • 배수빈;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4권1호
    • /
    • pp.1-26
    • /
    • 2017
  •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 불릴 만큼 문화를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문화산업은 다양한 파급효과로 인해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줌으로써 지역경제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2010년 중앙정부로부터 안동시 중구동과 서구동 일원을 문화산업진흥지구로 지정받았으나 2017년 현재까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동시 문화산업진흥지구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발전방향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산업 관련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AHP 분석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은 SPSS 23을 사용했으며 AHP 분석에서 가중치와 일관성지수 산출은 VBA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안동시 문화산업진흥지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상위계층의 3가지 요소(경제성, 공공성, 사회성)중에서 경제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조사되었다. 중위계층의 경우 경제성 항목에서는 일자리 창출이, 공공성 항목에는 문화산업 정착 환경조성이, 사회성 항목에서는 도심문화 활동 활성화가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요소를 중심으로 안동시 문화산업진흥지구 활성화 추진방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공연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 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Construction of System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Conservation of Sustainable Natural Ecosystem)

  • 유주한;정성관;오정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7-298
    • /
    • 2005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군을 구축함으로써 국토 및 자연환경 보전의 기초자료 제공과 더불어 환경정책 수립이나 입안을 위한 방향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생물적 요인, 무생물적 요인, 질적 요인, 기능적 요인 등 4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지표는 밀도, 총 질소량, 헤메로비등급, 재화생산등56개로 추출하였다. 평가항목과 평가지표가 신뢰계수 0.6 이상으로 확인되어 설문지 설계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의 상관분석 결과, 생물적 요인의 경우 군도와 우점도, 무생물적 요인의 경우 토성과 방위, 질적 요인의 경우 귀화율과자연파괴도, 기능적 요인의 경우산사태 방지와토양침식 방지가 높은상관성을 보였다. 다차원 척도법에 의해 차원결정을 수행한 결과, 스트레스값은 $0.042\sim0.133$, 적합도 지수는 0.9 이상으로 나타나 통계적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X축의 경우 생물적 요인은 구조, 무생물적 요인은 관점, 질적 요인은 구성, 기능적 요인은 대상이고 Y축은 형태, 범위, 구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민간경호원의 여가활동 참여유형 및 여가제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Participation Types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on Life Quality)

  • 박준호;최판암;조성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61-171
    • /
    • 2011
  • 민간경호원의 여가활동 참여유형 및 여가제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민간 경호업체에 종사하는 만 20세 이상의 경호원 200명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가참여유형중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스포츠유형은 시간제약, 취미유형은 시간과 비용제약, 관람유형은 개인적제약과 사회적 제약 및 관광유형, 놀이유형은 개인적 제약요인이었다. 반면 사교형 참여유형은 개인적 제약요인과 취미요인 및 가족관계질과 사회관계질 여가관계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람형 참여유형과 놀이관련 참여유형은 가족관계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관광관련 유형은 사회관계질에 정(+)적인 영향을 여가관계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민간경호원의 여가제약요인 중 시간제약요인은 가족관계질과 비용제약요인은 삶의 질 전체요인에 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다. 반면 개인적, 가족적 제약요인은 여가관계질 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제약요인은 가족관계질에는 정(+)적인 영향을 여가관계 질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화장태도, 신체가치, 의복행동 간의 관계 연구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make-up attitude, body-related value, and clothing behavior)

  • 정미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7-69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ke-up attitude and body-related value on clothing behavior. The subjects were 315 female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 province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of make-up attitude were identified: pursuit of confidence, sociality, self-satisfaction, and positive image. Secon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groups according to make-up attitude and body-related value, respectively: high involvement type, low involvement type, and middle involvement typ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which were segmented by each make-up attitude and body-related value on clothing behaviors (sexual attractiveness, showing off, body-enhancement). Fourth,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four factors of make-up attitude and body operatability with clothing behaviors. Fifth,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ed the clothing behaviors were pursuit of confidence, self-satisfaction, and positive image of make-up attitude. Sixth, body-inclin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exual attractiveness of clothing behavior, whereas body-related value, unlike make-up attitude, only had marginal influence.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기성복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2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and Image Positioning for Ladies' Ready-to wea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 As Object of working women)

  • 박혜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3-403
    • /
    • 1992
  •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ositioning strategies of brand Image for ladies' ready to wear by analysing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working women.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involvement, and in each group, a positioning map was composed by use of multidimensional scaling. 251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athered into stratified sample groups from working women in Seoul, being subdivided according to their each occupation and age.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x^{2}-test$, 1-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lso, KYST, PROFIT, PREFMAP for multidimensional scal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wo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degree of fashion involvement: high-involvement group, and low-involvement group. 2. From the analysis of the similarity of brand image, high involvement group percieved greater difference in brand image than low involvement group. 3.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of brand attributes, the evaluations in self expression, fashionability, design, sales promotion activity, sociality, quality, f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4. From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brand image, the distribution of preference and ideal point were different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