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

검색결과 4,062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복지 가치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Social Work Values Scale)

  • 김용석;고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277-306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가치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한국적 사회복지 실천 상황을 고려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 관련 문헌 및 기존 척도를 검토하여 핵심가치를 도출하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은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52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3개 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들 문항은 '자율성', '평등', '온정적 개입' 등 세 가지 사회복지 핵심가치를 측정한다.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하였고, 한국어판 Professional Opinion Scale(POS)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 PDF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장애인거주시설의 종사자 경험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Rights-Based Social Work Practice in a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미옥;김경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29-55
    • /
    • 2011
  •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을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 중 대표적으로 인권관련활동을 하는 기관으로 추천받은 A기관을 선정하고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의 경험,성과 및 딜레마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직차원에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해 줄 것인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권보장위원회 구성,인권규정 제정 등의 조직의 정비와 인권교육 및 인권관점을 강조하는 조직 문화 구축이 나타났다. 개인 차원에서 종사자들은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으로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인권관점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은 이용자, 직원 및 기관 조직문화에 서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천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딜레마로 인해 또 다른 고민과 대안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인권관련 선행연구들이 정책적, 이념적, 개념적 논쟁에 집중되어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시적 측면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인권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한 국내 최초의 기초연구로서 그 함의가 크다.

  • PDF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 최연화;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5-15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방사선과 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Work Values of Radiologic Technology Students)

  • 김학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71-280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과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전국에 소재한 7개 대학 방사선과 학생 79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직업가치관 유형을 추출하고, 직업가치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방사선과 학생들의 외재적 직업가치관(지위, 경제적보상)은 내재적 직업가치관(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방사선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 지위, 성취, 능력, 직업흥미, 사회기여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김만두 비평 -그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 중심으로- (A Critique on Kim, Mandoo -Based on His Social Work Practice and Literatures-)

  • 최옥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71-294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발전 상황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천과 연구를 겸비한 김만두를 선정하여 그의 인물비평을 실시하였다. 이 인물비평 방법은 문학비평에서 빌려와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김만두의 실천경험과 연구문헌에서 각기 5개와 6개 주제를 도출하고, 이들 주제를 결합해 다시 5개 주제(통합적 접근 강조, 미국과 일본 사회복지의 아우름, 사회복지학의 선순환적 형성, 사회복지학의 패러다임 전환, 실천과 연구 조화의 미완)를 도출 해석했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김만두의 사회복지실천이 사회복지제도를 넘나들며 정제됨, 1960-90년대 한국 사회복지의 한 단면이 드러남, 1960년대 아동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짐, 당시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사회복지학의 구성을 달리함 들을 논의하였다.

  • PDF

원조전문직의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사,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공무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Helping Professions' Cultural Competence - Focusing on Social Workers, Teachers, Nurses, and Social Work Civil Servants -)

  • 최소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5-29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교사, 간호사, 사회복지공무원의 문화적 역량 현황과 선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문화적 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복지사, 공무원, 간호사 순이었다. 문화적 역량 선행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외국어구사여부, 다문화업무시간, 종사기간, 교육훈련시간, 조직의 지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직군 간에 유의미한 선행요인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화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Rethinking Knowledg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 홍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95-214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학문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인식의 틀 속에서 이론적 정체성과 학문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이론의 분석을 위한 구성적 특성과 이론적 속성을 살펴본다. 실천에 영향을 주는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패러다임, 시각, 이론, 모델, 실천 지혜 등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사회복지실천지식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각기 다른 수준에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의 객관성과 주관성, 사회적 변화와 기능적 적응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식론적 입장과 학문적 시각을 폭넓은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스펙트럼 내에서 분석한다. 실천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석은 사회복지실천의 존재론적 가치와 과학적 이론화 논쟁 속에서 각각의 유용성과 한계를 비교하며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공통적 지식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학문의 정체성과 전문화, 학문적 맥락과 실천현장의 적용성과 관련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와 통합된 이론체계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실천학문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식기반의 구성을 위한 탐색과정은 학문의 내적 일관성을 높일 뿐 아니라 외적으로 전문직의 역할과 전문화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서 사회복지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사회복지실천의 미래 - 사람과 사람 - (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 Human, human again. -)

  • 김미옥;최혜지;정익중;민소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41-65
    • /
    • 2017
  •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은유되는 인류사적 전환의 의미를 사회복지실천의 내부로 초대해 성찰하고 사회복지실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을 구심으로 하는 근미래 사회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전략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4인의 사회복지 연구자가 7회에 거쳐 토론한 내용을 분석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미래의 특징은 초연결성, 새로운 공동체의 출현과 확대, 다원화와 개인화,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등장 등으로 집약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다양한 공동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자화된 개인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주와 규범의 해체로 다원화와 개인화가 확대되고, 탈물질주의의 동향으로 생태주의적 세계관 등 새로운 삶의 질서가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편 현재의 사회복지실천은 거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기술 중심 전문가주의로의 편향, 통합성을 상실한 개인 중심 실천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조응적인 사회복지실천을 구현하기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인 사람과 사회에 푯대를 둔 실천 지식, 기술, 가치의 재배열, 둘째, 공유경제 등 개인 삶의 경계를 공동체로 확대한 확장적 실천, 셋째,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유성 탐색을 통한 매력의 회복을 풀어야 할 과제로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