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tructure

검색결과 2,623건 처리시간 0.024초

가족의 사회관계망 구조와 관련변수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amily Social network)

  • 옥선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1호
    • /
    • pp.176-190
    • /
    • 1993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size and composition of social network and to identify their related variables in urban nuclear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by wives living in Seoul area. The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e study were the frequency mean percentile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ize of social network in urban nuclear families was 10.0 in average and 2-33 in range. 2) The composition of social network were 45.5% in relatives 20.6% in neighbors. 21.8% in friends. 4,7% in coworkers, 4.1% religious group members 2.1% in associational members. and 1.4% in formal supporters. 3) The birth order of husbands was related to the size of social network. The composition of social network was influenced by SES family life cycle husband's birth order housing type residence duration age education employment religion and familism.

  • PDF

The First Stage of Developing the Adolescent Friendship Social Capital Scale

  • Xu, Leilei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2권1호
    • /
    • pp.29-43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enerate the candidate items for the Adolescent Friendship Social Capital Scale.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es were used to generate the scale items. Halpern's conceptual map of social capital serv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cale, and guided the development of items.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adolescents in Sydney, Melbourne and Beijing generated the initial pool of scale items. Twenty-six items were generated for the Adolescent Friendship Social Capital Scale. The items are organised in four theoretical constructs: Bonding Networks, Bridging Norms, Bridging Sanctions, and Linking Networks. Each item is a short statement followed by a five-point Likert scale anchored by 1= "Strongly disagree" and 5= "Strongly agree". The scale has several advantages over previous measures of adolescent friendship networks and friendship social capital. The scale has a strong and clear theoretical structure, the scale items demonstrate initial construct and content validity, and the format of the scale enables the collection of continuous data. However,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nother two stages of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scale development and scale evaluation.

신입사원 채용시 사회봉사실적 반영방안 (The Method of Voluntary Record Reflection for New Employment)

  • 이성철;이은승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3-313
    • /
    • 2010
  • As more and more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the companies try to improve industrial structure. The role of enterprise changed direction from position power to communication power. Social contributed activity - representative of social responsible activities in companies - is means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and new marketing strateg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uccessful social contributed activity is member's volunteering minds. Volunteer mind based on practical behavioral philosophy. This is right people for company. In this paper, we discussed company social responsibility and suggested standard guide line for voluntary record reflection when the company hire new employees.

구조적, 기증적 측면에서 본 아동기의 사회적지지 -Social Convoy Model을 토대로- (Convoys of Social Support in Childhood and Early Sdolescence: Structure and Function)

  • 장영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1-20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cial suppor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social convoy model(Kahn and Antonucci, 1980).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56 elementary school children(2nd and 5th grade) and the middle school children(2nd grade) in rural and urban area.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es were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test, Two-way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Children received more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in convoy function of social support. Convoy siz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with age. Rural children had larger convoy size in the inner circle, and smaller convoy size in the middle circle than urban children did.

  • PDF

소셜네트워크 연결밀도와 중심성에 따른 소셜쇼핑 구매의도의 차이 -온라인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the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Shopping by Connection Intensity and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In the Case of Online Community and SN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53-167
    • /
    • 2011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인 연결밀도와 중심성에 따라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집단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개인중심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간의 소셜쇼핑 구매의도의 차이를 제안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결밀도가 높은 경우에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심성 역시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간에도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가 차이를 보였는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연결밀도가 높은 경우에, SNS는 중심성이 높은 경우에 각각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소셜네트워크 및 소셜쇼핑 연구에 있어 네트워크 구조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소셜쇼핑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 소셜네트워크 유형별 구조를 이해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ogram with a focus on social issue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 최성이;이종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5-4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민주시민의식 함양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한 후 4개의 주제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Figured Worlds와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연구에 적용하여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수업의 개념을 설명하고 수업 설계 및 수업 분석의 이론적 기틀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회인식에 변화가 있었으며 비판적 수학적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기존의 Figured Worlds에 저항하여 변화를 꾀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제 자신들의 생활과 인접한 사회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유용성을 느끼게 되었고, 주어진 수행과제에 담긴 사회 비정의 문제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탐구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으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기여의식, 리더십 등과 같은 민주시민의식 함양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COPING BEHAVIOR)

  • 문성원;한종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233-246
    • /
    • 1996
  • 성인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포괄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한 단계이다. 성인과는 다른 발달과업을 가지고 있고, 더구나 학교라는 구조적 환경 내에서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현재 느끼는 스트레스의 종류와, 그에 대한 대처 행동의 기제를 경험적 조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트레스 연구들이 구조적 변인에 관해서만 다루거나, 혹은 구조적 변인마저도 과정적 관점에서 다루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 정도에 관한 지각을 구조적 변인으로, 인지적 평가에 관한 부분을 과정적 변인으로 가정하여 대처 행동과 맺고 있는 관련을 측정하였다. 서울 시내 고교 2년생 519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인지적 평가는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는 과정적 변인임이,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유형에 대해서 독립적인 구조 변인인 것이 확증되었다. 인지적 평가는 대처 행동보다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평가과정에 더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평가와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Facility Type)

  • 신효진;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89-97
    • /
    • 2014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총 12개 사회복지시설에 소속된 204명의 시설이용자와 시설관리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그리고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있어서 시설관리운영직원의 인식수준이 시설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유형에 따른 안전관리분석 결과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관리자 및 사용자의 안전 인식수준이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른 사회복지시설의 응답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6~10년 미만 시설의 응답자 보다 10년 이상 된 시설 응답자의 안전관리인식과 시설구조 및 설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건물높이에 따른 안전인식에 있어서는 3층과 4층이 1층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닥면적과 안전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400m^2$ 미만 또는 $600m^2$ 이상의 바닥면적을 가진 응답자들의 안전인식이 400 이상${\sim}600m^2$ 미만 응답자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자본, 지식활용, 제품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apital, Knowledge Application,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in Technology Cooperation Network)

  • 강석민;김대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4호
    • /
    • pp.207-221
    • /
    • 2014
  • Due to the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many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that social capital contributes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duct innovation. Although most researchers tried to model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product innovation as a linear relation, we consider it too simplistic and fuzzy because knowledge utilization which ultimately leads to product innovation should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roduct innovation. Using 107 survey data, this study found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utilization on the link between structure aspect of social capital and product innovation (i.e.,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existing products). Next, this study reported knowledge utilization does act as a perfect mediating variable on the link between awareness aspect of social capital and improvement of existing products, but act as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on the link between awareness aspect of social capital and new product development.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knowledge utilization does not act as a mediating variable on the link between relation aspect of social capita and product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