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 Service Data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6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기부활동 기업에 대한 조직-공중관계성이 기업이미지와 기업 평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of Corporate Donation via SNS on Corporate image and Reputation)

  • 김정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9-38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의 SNS 기반 기부활동에 참여한 SNS 이용자 228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 및 기업평판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 프로그램과 AMOS 21프로그램을 이용, 상관관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자의 조직-공중관계성과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공중관계성은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SNS 이용자의 기업이미지와 기업평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이미지는 기업의 평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기업의 소셜네트워크 기반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독경향, 상향비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on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박승미;이정림;유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50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risk among South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through web-based questionnaires that surveyed them about depression,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from August 22 to September 4, 2021. The collected data from 196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using CES-D Korean version) among nursing students was 13.91, which denotes probable depression. Concerning the variance with regard to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20.2% was explained by clinical practice period, academic stress,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Conclusion: Programs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hould be developed in a simple way and systematically provid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nursing students secure sufficient support during the initial and continuing period of clinical practicums. Concomitantly, an attempt to reduce the upward social comparison should be highly considered.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자녀에 대한 기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Social Networks,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and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 박영애;원효종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13-73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al social networks on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to examine the path that social networks had an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rough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24 fourth to sixth grader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Daejeon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mong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friends and neighbors, proximity, direction and interference had a negative effect, and proportion of mothers of child's friends, frequency of contact, intimacy, emotional support, service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2) Among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mothers of child's friends had a direct effect and proportion of friends, neighbors, and mothers of child's friends, proximity, frequency of contact, intimacy, direction, emotional support, service support, and interfer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3) Among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kin and mothers of child's friends, intimacy, service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interference had a direct effect, and proportion of neighbors and mothers of child's friends, proximity, frequency of contact, direction, service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aternal expectation for their own children.

  • PDF

소셜 네트워크에 적합한 효율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공유 기법 (An efficient privacy-preserving data sharing scheme in social network)

  • 전두현;천지영;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47-461
    • /
    • 201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실시간 정보 공유의 새로운 매개체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신분이나 생활 패턴 등을 노출시킬 수 있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데이터 공유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라이버시 보존 데이터 공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암호화된 데이터에서 검색자가 선택한 키워드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누구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동적 환경인 소셜 네트워크의 특징에 적합하도록 효율적인 가입/탈퇴 기능을 제공한다.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선거 여론조사 예측력 개선 방안 연구 (Prediction improvement of election polls by unstructured data analysis)

  • 박선빈;김명준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5호
    • /
    • pp.655-665
    • /
    • 2018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개개인의 의견을 공유하거나 소통하는 일반적인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치적인 이슈의 전파 과정에서 타인과의 공유를 통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 대한 긍정적인 홍보 등을 통해 여론을 형성 또는 확장한다. 기존의 여론 조사 결과는 응답률, 표본 수집의 방식 등과 관련하여 예측의 정확성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비정형 데이터의 감성 분석을 통하여 여론조사의 예측력을 개선, 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은 비정형 데이터 크롤링 및 기존에 사용되던 감성 사전에 대한 추가적인 보정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오차의 감소를 통하여 예측력을 개선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음식관광관련 의미연결망 분석의 탐색적 적용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Food Tourism through the Big Data)

  • 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3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wareness of food tourism using big data analysis.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data containing 'food tourism' keywords from google web search, google news, and google scholar during one yea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6.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CTM (Smart Crawling & Text Mining), a data collecting and processing program. From those data,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were analyzed by utilizing packaged NetDraw along with UCINET 6. The result showed that the web visibility of 'core service' and 'social marketing' was high. In addition, the web visibility was also high for destination, such as rural, place, ireland and heritage; 'socioeconomic circumstance' related words, such as economy, region, public, policy, and industry.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showed 4 clustered named 'core service', 'social marketing', 'destinations' and 'social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diagnosis on food tourism according to changes in international business environment by using these web information will be a foundation of baseline data useful for establishing food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Differentiated impacts of SNS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 Hwang, Dukyun;Paek, Mi 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S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different impacts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n Korea. At least in Korea, SN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mmunity, blog, micro-blog, profile-based service and instant message service), and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is specified by three types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n-line civic engagement). Using Nielsen KoreanClick's web-based survey data,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SNS which are more open and focused on information sharing contribute more to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군(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ilitary SNS Protection Profile for National defense)

  • 유덕훈;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52
    • /
    • 2013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 Social Network Service)는 다양한 정보의 빠른 전달과 함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친밀감을 형성해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SNS의 사회적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군에서도 SNS를 통해 자발적 참여와 신뢰관계 구축을 바탕으로 군내 외 유대감 강화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 SNS 도입시 개인정보의 노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 군사자료의 유출 등과 같은 역기능은 군에 치명적인 요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SNS 도입을 위해 SNS 기능별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구조를 분석하여 국방 SNS에 필요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주지역 자활 관련 조직들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in Chonju Area)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7-33
    • /
    • 2002
  • This study analyse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using data on the 31 organizations in Chanju area.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re operationalized in two ways: conference network and referral network. First,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Using block model, I can capture some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Major findings of block modeling are as follows: (1) Public organizations are more inactive to make a connect with other organizations. (2) Most of organizations incline to make a connect with same kind organizations. Namely, employment service organizations incline to flock together,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also much the same. Second,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the self-supporting service organizations. Relations between pairs of organizations are modeled as a function of dyadic level covariates in accordance with resource dependence, transaction cost, and organizational domain theory. Measure of informal ties between organizations are also included as covariates. Applying logit and tobit regression methods, this study reveals that most variables have effects on the dyadic relations of organization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I can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elf-supporting programs in Korea.

  • PDF

노인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연구: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Health Care Servi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of the Senior Citizens: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Analysis)

  • 김성호;김협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69-89
    • /
    • 2022
  •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건강 문제는 의료분야를 포함해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하여 텍스트마이닝, 사회연결망 분석 등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프로세스로 개선하여 6단계로 적용하였다. 소셜미디어에 존재하는 노인인지 개선,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관련 키워드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활용 범위 확장 및 기존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방법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