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ssues

검색결과 3,264건 처리시간 0.033초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간의 상호관계연구: 2008~2011년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중심으로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Issues and Academic Research: A Case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Major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8-2011)

  • 최현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63-785
    • /
    • 2014
  • 사회에서 논의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영역에서의 이론적 논의는 상호작용한다. 둘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보다 나은 정책을 제안하고 학술연구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런 배경아래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수행했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에서 단기간에 등장한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학술영역에서 뒤이어 등장했다. 둘째, 오랜 시간에 걸쳐 한국사회와 기술 하부구조에서 진행되어온 혁신시스템의 변화를 관찰하여 개념화 시킨 학술연구들이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형성에 직간접적으로 반영됐다. 셋째,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전통 경제학 영역에서 다루어진 주제에 대해 현장에서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연구수요가 존재하지만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세 가지 연구결과는 정책입안자들이 한국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대상을 확인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산업별 지속가능경영 전략 고찰: ESG 보고서와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specific Sustainability Strategy: Analyzing ESG Reports and News Articles)

  • 김원희;권영옥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287-316
    • /
    • 202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환경(Environmental)·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지속가능경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각 기업들은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 수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기업이 속한 산업별로 상이한 ESG 이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과 개별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전략을 개발하고 추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융, 제조, IT 분야별로 나누어 주요 국내 기업들의 ESG 보고서와 관련 뉴스 기사를 이용하여 산업별 ESG 동향과 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워드 빈도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분석 결과, 국내 ESG 선도 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에서의 산업별 차이를 도출 할 수 있다. 금융 분야에서는 '고객 중심 경영'과 '기후 변화 대응', 제조 분야에서는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와 '탄소중립', IT 분야에서는 '기술혁신'과 '디지털 책임'이 강조되었다. ESG 요소별 우선 순위가 높은 활동의 예를 들면, 환경 측면에서는 '에너지 절감과 친환경 활동', 사회 측면에서는 '사회공헌과 상생',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이사회 독립성 강화와 리스크 관리' 등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산업별 각 ESG 요소의 핵심 이슈 뿐 아니라 ESG 보고서와 뉴스 기사의 내용 유사성 및 차별점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산업별 동향을 고려한 ESG 경영 전략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별 ESG 평가체계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조사에서 사진자료의 점화효과 분석 (Investigation on Priming Effect of Image in Social Survey)

  • 조은희;조성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6-134
    • /
    • 2013
  • 본 연구는 인터넷을 이용한 사회조사에서 사진자료를 활용할 경우 응답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논쟁중인 이슈에 대하여 관련 사진정보를 제공한다면 응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점화효과(priming effect)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네 개 집단(텍스트만 제공된 집단, 이슈에 대한 긍정적 사진이 제공된 집단, 이슈에 대한 부정적 사진이 제공된 집단, 이슈에 대한 긍정사진과 부정사진이 모두 제공된 집단)을 대상으로 세 개 사회이슈(국가안보, 사회안전, 4대강평가)에 대한 응답태도를 측정했다. 분석결과 부정적 사진을 제공받은 집단은 응답경향이 부정적으로, 긍정적 사진을 제공 받은 집단은 응답경향이 긍정적으로 활성화되는 점화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조사 과정에서 사진자료가 제공될 경우 점화효과를 감안하여 제공사진을 신중하게 선택하고 조사결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적 책임의식 함양을 위한 ENACT 모형 기반 기초설계 교과목의 비대면 수업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an ENACT Model-based Engineering Design Online Course for Fostering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s)

  • 김가형;옥승용;이현주;고연주;황요한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3-19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case study of a basic engineering design course using the ENACT model for fostering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s,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ourse. Since the ENACT model was designed to encourage STEM college students to pursue responsible problem solving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socioscientific issues, we assumed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foster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engineering-related issues. A total of 49 engineering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included students' course artifacts, reflection papers, and responses to survey questionnair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became more aware of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program, and began to solve the problems while considering the views of multiple stakeholders. They highly valued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s engaging in the civic activities. They also expressed high satisfaction and feeling of achievement on the course learning. We expect the ENACT model to be an effective teaching guideline that foster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and furthermore, engineering ethics.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의 주요 이슈 고찰 (Analysis of Issues on Underground Spa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Utilizing Social Media Data)

  • 최해옥;백성준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1호
    • /
    • pp.75-86
    • /
    • 2016
  •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지하공간에 관한 주요 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를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의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을 사용하였고 트위터를 통해 얻어진 텍스트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은 2014년 잠실 싱크홀 사건 이후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로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계량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네트워크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중심성 지수, 그룹밀도 분석을 통해 지하공간과 관련된 이슈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중앙정부의 정책 관련 항목은 지자체 정책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앙정부는 예방차원에서 특별법을 바탕으로 예방체계를 구축하여 지자체가 지하공간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 대응 관리하도록 법에 근거한 예방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중앙 정부가 연구관련 분야를 강화함으로써 지하공간 관련 안전대책을 구축하는 데 법과 기술이 서로 협력하여 발전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학습자 동기 유형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er motivation)

  • 진홍근;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33-142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학습자들이 수업 관련 특정 이슈들에 대한 적극적 탐색과 공유의 측면으로 확대하여 살펴보고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슈를 탐색하도록 유도하는 동기의 두 유형(개인적, 사회적)과 인게이지먼트, 이슈콘텐츠에 대한 태도, SNS구전의도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두 동기는 인게이지먼트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인게이지먼트가 증가할수록 이슈콘텐츠 태도와 SNS 구전의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스스로 학습을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인게이지먼트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게이지먼트의 증가를 위해 수업내용뿐만 아니라 사회적, 개인적 동기를 활용해야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사회혁신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디자인 씽킹과 비즈니스 모델 젠 연계 방법론 (Design thinking and Business Model Zen linkage methodology for social innovation project implementation)

  • 박상혁;오승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5-196
    • /
    • 2017
  • Today, companies and social actor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focusing on active innovation and efforts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Design thinking refers to creative strategies designers utilize during the process of designing. Design thinking is also an approach that can be used to consider issues and resolve problems more broadly than within professional design practice, and has been applied in business and to social issues.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during the project in the field. This paper presents a novel design - thinking process that incorporates a lean start - up based business model in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e conducted a case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new design thinking process in social innovation projects.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nd verify a new process that combines business model Zen to complement the limit of design thinking. It will als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 thinking projects as tools for social innovation.

로봇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니즈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Needs of Customer for Robot Design)

  • 김현진;박용국;김재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53-262
    • /
    • 2003
  • 본 논문은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사회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로봇을 위한 사회적 디자인의 이슈들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로봇의 성격"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렇게 정의된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구성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사 용자가 요구하는 로봇의 사회적 성격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용 서비스 로봇의 기능 니즈, 사회적 속성, 외형 디자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결과를 통하여, 한국의 소비자들은 "집안의 가사노동을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십대 후반의 여성" 이미지를 가정용 로봇에게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봇에게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News, Public Policy, and Social Justice

  • Kumar, Sunil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4권3호
    • /
    • pp.123-165
    • /
    • 2017
  • In this paper, we look at mediation of public policies in different areas of governance. Editorials appearing in an Indian English language newspaper during the period of an intense public debate on the issue of affirmative action in favor of a section of the population, the Other Backward Classes (OBC) - a popular reference to the socially and educationally backward classes of citizens under India's constitution constitute the sample for the study. Apart from editorials on the public policy of reservation of seats in admiss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OBC, editorials on three other areas of governance, namely, development, economy, and public administration appearing in the same newspaper, are also consulted to understand media framing of social issues and more specifically, issues of social justice. Inductively identifying the various frames used in its editorials by the newspaper, I detect predominant use of 'personalized' frame in respect of editorials pertaining to the policy area of social justice; and distinguish it from the 'generic' frame of 'characterization' found in theory.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sample editorials in respect of other public policies did not use the personalized frame found in editorials on social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