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Games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중 관람자 참여형 프로젝션 파사드 및 게임 시스템 (Projection Facade and Game System for Multi-Audience Participation using Smart Devices)

  • 장승은;탕지아메이;김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8
    • /
    • 2013
  • 실외에서 프로젝터 장치로 영상을 매핑 하는 형태의 미디어 파사드는 광고, 퍼포먼스 도구로 그 활용도가 한정되어 있으며, 인터랙티브한 요소가 부족하다. 특히 실외에서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랙션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수의 관람자가 개인 스마트 기기로 미디어 파사드에 투사된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한 파사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파사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기기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의 영상을 컨트롤하고, 단일 혹은 복수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적용한 작품을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을 테스트하였으며, 사용자 단말기로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션 파사드 시스템의 선행 연구로서 실용적 방안을 제시하였음에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션 파사드 인터랙션 시스템에 있어 기초 모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연, 게임, 교육 분야 등 융합형 콘텐츠 개발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다.

가상경제 유형론-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Virtual Economy Typology-Focus on Online Games)

  • 유병준;도현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3-52
    • /
    • 2009
  • 온라인 게임을 필두로 가상 세계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상 세계에 있는 가상 자산과 그 자산이 유통되는 가상 경제가 현실 경제와 맞물려, 주고받는 영향력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가상 세계나 경제 혹은 자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법적 환경적 조건과 기업의 정책에 따라서 가상 경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고 있다. 그 까닭에 실천적인 관점에서 가상 경제의 영향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세계를 6개의 주체와 5종류의 거래를 가진 시스템으로 보고, 거래 조합의 경우가 24가지로 도출될 수 있음을 보이며, 그 중 4가지 대표 유형을 뽑아 그 특성을 정리했다. 이와 같은 유형 분류는 특징을 더 잘 이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함의들을 통하여 향후 가상세계의 관리 및 개선 노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 우울감, 자기통제, 물질가치 그리고 게임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Random Reward Items Use on Adolescents' Game Addiction Change : Focus on Self esteem, Depression, Self-control, Material Value, and Game Cognition)

  • 이승제;이대영;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18
  • 최근 청소년의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게임 과몰입을 심화하거나 심리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1년에 걸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1년 후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자존감, 우울감, 자기통제력, 물질가치 등)과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 유무에 따라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의 영향력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보았다. 분석 결과,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보다 자존감이 낮았으나 게임 과몰입과 물질가치는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확룰형 아이템 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과 달리 자존감과 물질가치가 게임 과몰입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 Cho, Woo-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05-21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휴대폰 과의존에 따른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도의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남·여학생들을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SPSS 19.0과 AMOS 18.0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휴대폰 과의존이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의 경우 게임, 동영상, 검색 등 순으로 이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 만족도는 남·여학생 모두 교양보다는 전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휴대폰 과의존은 학업성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휴대폰 과의존은 학업성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학업성적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인기에 접어든 대학생들은 기존 청소년기의 습관이 그대로 남아있어 휴대폰 과의존으로 인한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 온라인 게임 서버 간의 게임 캐릭터 이주를 위한 웹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System for Game Character Migration between Different-type On-line Game Servers)

  • 석진원;김주연;강준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9-228
    • /
    • 2011
  • 온라인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를 대신하는 게임 캐릭터는 동일한 게임 내에서만 존재하며, 다른 온라인 게임으로 이주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는 자신의 게임 캐릭터의 성장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빼앗기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것이 많은 사회적 부작용을 낳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이종 온라인 게임 서버 간의 게임 캐릭터 이주를 위한 웹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시스템은 실험을 통하여 게임 캐릭터 이주 요소 중에서 4가지 능력치 (금전, HP:Hit Point, MP:Mana Point, 레벨)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3D 체험형 어드벤처 게임 "HowSee" 개발 (Development of Stereoscopic 3D Personalized Adventure Game: HowSee)

  • 임창주;정성택;최승훈;이창남;송장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22
    • /
    • 2011
  •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입체영상(S3D) 콘텐츠개발에 사회적 관심은 높지만 개발 방식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인터랙티브 3D 콘텐츠제작 성과는 매우 저조하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카메라로부터의 실시간 영상을 입력으로 하는 주시선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3D 체험형 어드벤처 게임 "HowSee" 개발과정을 기술하였고, 그 과정에서 효율적인 3D 콘텐츠 제작방법을 제시하였다.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입체영상 기반의 게임콘텐츠 제작방법에 관해 본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시행착오와 문제해결 방법 등은 입체영상 게임콘텐츠 제작을 효율적으로 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자녀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 전략 (Parental Mediation Strategies on Online Gaming)

  • 김지연;도영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3-78
    • /
    • 2015
  • 셧다운제 시행 이후, 자녀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자녀들의 과몰입 예방을 위해 부모들이 선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녀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을 중재하기 위해 어떠한 중재 전략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부터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 3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녀들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 전략은 설명형 중재, 공동 놀이형 중재, 규칙형 중재, 제한형 중재, 기술 활용형 중재, 정부규제 의존형 중재, 적극 안내형 중재의 7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부모 중재 전략과 부모의 특성, 자녀의 특성 변인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다른 미디어의 속성과 구분되는 온라인 게임의 특수성과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부모 중재 전략들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중국 신화 무협 MMORPG 캐릭터 디자인에서 전통예술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ditional Art Expression in Chinese Myth Martial MMORPG Character Design)

  • 김춘희;김규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9-13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국 게임시장에서 인기 있는 온라인게임의 전통예술 표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통 중국문화의 미적 특징에 대한 플레이어의 심리 선호도를 반영하는 MMORPG 캐릭터를 디자인함으로써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시각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제작한 중국 온라인게임은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외국게임업계의 중국 게임시장 진입에 따라 더욱 다원화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중국 온라인 게임 환경을 고려하여 중국 MMORPG 중에서 고유한 전통예술 표현을 활용하는 전통 신화 무협 게임을 선택하고, 개인 플레이어를 반영하는 이상적인 캐릭터 조작이나 사회성 등을 분석하여 전통인물의 형태, 복식, 색, 주거환경을 반영한 표현기법, 캐릭터의 이상적인 형태나 전통 신화의 제한된 주제의 재구성, 캐릭터의 독창성이나 개성이 강조된 집합체 캐릭터 특징을 파악하였다. 중국 MMORPG 역사가 길지 않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 문화 예술과 관련된 신화 무협 MMORPG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플레이어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인 온라인게임의 이해와 만족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미취학 아동의 감성 발달을 위한 연령별 놀이가구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of Playable Furniture for 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70-81
    • /
    • 2016
  • Nowadays the preschool children spend much of the day playing indoors. Therefore, it needs the indoor environment that helps a variety of fun activities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it requires the space configuration and playable furniture considering the emotional development for mental health. However, the furniture for fast growing preschoolers has not various types because the domestic furniture market for children is mostly baby beds and the furniture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s and types of the playable furniture reflecting emotional design for preschool children's healthy emotion and suggests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playable furniture considering play behavior by 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cognitive, social, emotional and linguistic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play behavior of preschoolers, and derived the right type of playground equipment and furniture, and examined the types of playable furniture to help the emotional development. We derived the items to be checked for developing the playable furniture by age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classified preschoolers' playable furniture into the use of learning, relaxation and storage, and suggested its basic type focusing on the cases of various playable furniture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the playable furnitur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self-play type making possible self amusement, the second is module built-up-type that consists of furniture and modules or units and creates various patterns and can be modified through the self-assembly and disassembly, and the third is IT game type grafting IT skills and a variety of electronic games to furniture. We sorted these types into three classes (1-3 years old, 4-5, 6-7) according to age and presented the type of play for each age, the play element and representative image that can be introduced to this furniture. In this study, we provided the basic design types of age-specific emotional playable furniture by analyzing these results.

한옥의 전통적 요소를 도입한 한국형 아파트 실내디자인의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 한국 브랜드 아파트에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rior Design Expressional Tendency of Korean style Apartments introducing Traditional Hanok Factors - Focusing on the Cases applied to Korean Brand-name Apartments -)

  • 임보라;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21-128
    • /
    • 2016
  • Focusing on the cases applied to korean brand-name apartments In 1960s, economical growth and introduction of western-type cultures led to a boom of apartment construction. After internationalization'in 1980s through Olympic games in 1988, korean culture has attracted attention and individual life quality has been improved. Since 1990s, changes in personal life style has affected the housing culture and the construction companies started moving from quantitative supply to developing their ow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on scheme triggered by construction companies since mid-1990s mainly focused on various ideas for space deployment. Space plans include such things as a private ground, a kitchen in the south, etc. while interior plans include to provide sel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natural or casual one. 'korean traditional style' apartment is one of such theme of the brand-named apartment. Interests on 'Tradition' can be broken down into a social trend and media trend. Firstly, the former includes the designation of Bukchon as a reserving area, one of the governmental 'Hanok Survival Program', and traditional building promotion scheme on the basis of construction policy plans. Secondly, the latter covers the interests which attract through the media showing oriental cosmetics, korean culture export via Hallyu, popularity of korean dramas, etc. Thus, it seems worth studying on the apartments with traditional factors. And also, this study aims to setup the concept and trends of korean traditional style apartments through the interior expression on the korean-factor space developed by brand-name apartments so that it could correct such false knowledge out of misunderstood concept of traditional space which results from simple decoration or structure type not accompanying Korean emotion or spirit rendered by some misleading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