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적자본찾기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on Career Identity and Empowerment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57-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하위 영역가운데 안정성, 목표지향성, 독특성, 자기존재의식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주장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 가운데 개인내적, 대인관계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치사회적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임파워먼트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 및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discovery program on empowerment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허정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19-228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이다. K시 소재 4년제 여자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 test-Post test Group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가운데 개인내적, 정치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하위 영역 가운데 정보수집활동, 실천행동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의 임파워먼트와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사회적자본찾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 및 실험실 창업팀 다양성이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I-Corps program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Laboratory Startup Team Diversity on Startup Performance Based on a Network Perspective: Focusing on the I-Corps Program)

  • 이재호;손영우;한정화;이상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6호
    • /
    • pp.173-189
    • /
    • 2023
  • 혁신 기술 개발이 거듭되며 인공지능, 생명공학, 로봇, 항공우주, 전기차, 태양광 등의 신산업이 창출되며 거시적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변화와 복잡성 증가로 인해 창업 전략 차원에서 기술이나 자산의 소유 그 자체보다는 자본이 관계의 중요성 증대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은 1916년 Hanifan이 최초로 제안한 개념으로 개인 또는 사회적 구성원들 간의 상호 지속적이며 유기적 관계 또는 축적된 인간관계 네트워크에 잠재되거나 활용이 가능한 능력이나 자원의 전체적 총합을 일컫는다. 또한, 특출한 창업자 1인 보다는 다양한 배경과 특성 및 역량을 갖춘 창업팀 다양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창업팀 다양성은 창업팀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이나 신념, 가치 등의 심층적 요소에 대한 다양성을 뜻한다. 거시적 환경 변화로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국가의 핵심성장동력 창출 역할을 하는 기술창업 및 실험실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아이코어(I-Corps)' 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혁신군단을 의미하는 아이코어는 2011년 미연구재단(NSF)이 기업가 정신 및 연구 결과 사업화 장려를 위해 출범된 실험실 창업프로그램으로 교수와 연구원이 참여하는 창업팀 구성과 시장발견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네트워크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창업팀 다양성이 아이코어 창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팀의 학력 다양성이 창업팀의 재무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성별 다양성과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차원이 창업팀의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아이코어 실험실 창업팀 다양성, 사회적 자본과 그 성과 해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보다 유용하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우리나라 신도시 개발의 평가 및 발전방향 (Evaluation and Direction of the New Town Development in Korea)

  • 김동윤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16
    • /
    • 2013
  • With regard to the new town developments which have supplied lots of hous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valuation and finding out problems of the developments finally to suggest the direction. A new town's competitiveness model set in the previous paper takes a role of research frame to recognize the problems and to show the direction. The model explains that new town's competitiveness is composed of 4 factors; Self-sufficiency, Innovativenss, Identity and Sustainability. Problems of the developments are as follows; incongruity of spatial structure especially in the capital region, deficiency of self-sufficiency resulted from single-use development, restriction on mixed development by a number of regulations in capital region, low business value, grand scale of land compensation, house oriented planning guidance, unfair share of infrastructure fee, and physical structure depending mainly on fossil energy.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conclusively suggests corresponding direction such as role performance as a means of urban growth management, promotion of quality of life by accumulating social capital, introduction of socially sustainable management program for the new towns, discovery and creation of town's value, reexamination of self-sufficiency's meaning or target, selective deregulation of metropolitan development, institutional strategy for cost reduction, changeover from house index to urban function oriented index, and pursuit of low-carbon green t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