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ctivity

검색결과 2,476건 처리시간 0.027초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의 실증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정순석;김광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1-166
    • /
    • 2011
  • This study proposes a priority model for program directors in charg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o make the best decision. This empirical analysis aims to discover the most significant area among various program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is used to test the priority model.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model helps providing better decision choices in corporate practices. The priority preference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programs amo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actitioners, PR professors and NGO activists are studied for their priority o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among they valued com mon benefit social activity most important.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주관적외모만족 간의 연계성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Sociality, and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허은서;조고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1-48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ocialit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students from 4-year colleg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reveal that personal self-esteem significantly impacts autonomy and activity, while social self-esteem significantly affects sociability and activity.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lf-esteem exhibit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bility, autonomy, and activity, underscoring their pivotal role in shaping social interactions. Further, both social and physical self-esteem significantly affect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while bearing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ersonal and psychological self-esteem. Thus, all self-esteem factors influence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although som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both sociability and activity displa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hereas autonomy exhibits no such significance. This underlines the centrality of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in fostering sociability and activity. In sum, the outcomes underscore the interconnectedness of self-esteem, sociality, and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subjective appearance satisfaction is linked with increased perceptions of self-esteem and social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oriented toward enhancing self-esteem and sociality among college students is imperative, enabling them to navigate their academic and social experiences with self-assurance.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Drinking in Older Adults)

  • 임진섭;김다빈;유정호;정호영;박재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5-117
    • /
    • 202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음주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활동과 음주량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사회활동이 음주노인의 음주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나면서 음주노인의 사회활동과 음주량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활동과 음주량의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개인차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가를 이후 조건적 모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조건적 모형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회활동의 경우 초기 사회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노인이 초기 음주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량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자노인보다는 남자노인이,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가, 장애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이 이후 음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주노인의 사회활동을 촉진하고 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수준이 사회적 자본의 융복합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e Level of the Volunteer Activities on the Social Capital Convergence Formation of the Elderly)

  • 한진이;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9-53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자원봉사 참여동기 수준이 노인 사회적 자본의 융복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지역 노인복지관과 노인문화센터 등에서 자원봉사에 참여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90부의 자료를 모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감과 자아실현(독립변수)이 사회적 신뢰(종속변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자아실현(독립변수)이 사회적 참여(종속변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그러나 사회적활동(독립변수)은 사회적 신뢰와 사회적 참여(종속변수)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갖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활동지원과 관련된 정책 제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노인이 인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ctivities Perceived by the Korean elderly)

  • 정병은;이기홍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953-970
    • /
    • 2009
  •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조망하는 성공적 노화라는 패러다임은 활기찬 인간관계 및 생산적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요구한다. 그러나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자녀관계를 넘어선 사회관계 및 사회활동에 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와 관련하여 노인들이 다양한 사회활동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성공적 노화에 있어서 사회활동은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되는가, 여러 활동에 대한 인식의 공통성은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인식은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사회활동의 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특성과 환경적 조건은 무엇인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2008년 7월 10일~8월 23일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면적 면접조사로 수집된 전국만 20세 이상 성인 1,000명 중에서 50세 이상 61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예비 노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세분되어 사회활동과 관련된 인식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기본적으로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 사회활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보지만, 개별 활동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를 보인다. 연령층별로 비교해 보면 특정한 활동을 강조하기보다 생애주기에 따라서 개인의 욕구와 동기에 따라 활동의 중요성이 바뀐다. 또한 여러 사회활동들에 대한 인식은 크게 생산적 활동과 관계적 활동의 범주로 분류되며, 연령층에 따라서 생산적 활동 또는 관계적 활동으로 인식되는 활동의 내용들이 다르게 연관되어 있다. 생산적 또는 관계적 활동의 선호는 성별, 거주지, 배우자유무, 자녀와 동거여부에 따라 다르며, 연령, 학력수준, 건강, 경제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노후계획과 노동을 중시하는 태도는 일관되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사회활동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체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생산성을 중시하는 사회 활동의 강조는 정작 관계적 동기를 지향하는 노인층의 욕구와 괴리될 수 있다.

노인의 사회활동, 자아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대전시 중구거주 노인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전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71-179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60세 이상 대전시 중구에 거주하는 노인들로부터 구조화된 39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사회활동은 교육문화활동, 사회단체활동, 그리고 가족공동체활동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참여빈도는 일주일에 한두 번 이상이 30%이고, 거의 참여하지 않음도 20%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시간은 한두 시간 정도가 40%로 나타나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활동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노년기의 자아효능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performing squats on an inclined board on thigh muscle activation

  • Cho, Minkwon;Kang, Ju-Yeun;Oh, Ji-Hoon;Wu, Jun-Gu;Choi, Eun-Byul;Park, Si-Eun;Choi, Matthew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1호
    • /
    • pp.39-44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performing squat exercises at various angles to show the maximum muscle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VMO) and Biceps femoris (BF).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 total of seventeen healthy young adults (8 males and 9 female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randomly performed three different squat variations as follows: A squat performed with the ankle joint at $0^{\circ}$ of incline, a squat performed with the ankle joint at $5^{\circ}$ of incline, and a squat performed with the ankle joint at $10^{\circ}$ incline.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lectrodes were placed on the VMO and BF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n the various ankle angles for comparison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ilateral VMO muscle activation at $10^{\circ}$ of incline compared to $0^{\circ}$ and $5^{\circ}$ (p<0.05). Greater increases in muscle activation and exercise effect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incline angles of the board. Changes in bilateral BF muscle activity were found; however, non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Bilateral VMO 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hen the squats were performed at an ankle angle of $10^{\circ}$ of incline when compared to at an ankle angle of $0^{\circ}$ and $5^{\circ}$ of incline. Squats performed on an incline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method to facilitat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양로원 노인의 신체활동, 일상생활동작, 사회행동 및 기능수행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Social Behavior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a Home for the Aged)

  • 김현숙;정치경;이강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2호
    • /
    • pp.107-115
    • /
    • 2002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activ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social behavior and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a home for the aged. Methods : We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questions to establish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and status, physical activity, ADL, and social behavior. Additionally, a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performance examination was peformed on subjects who were 65 years old or older. Study subjects numbered 3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in the control group. For intervention, we used a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for 12 weeks(5 times/week) using dumbbells and lead-packed weights. Results : After th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the scores of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behavio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before exercise measurements. Moreover, the variables of functional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or the before exercise records.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can improve the score of physical activity, ADL and social behavior, as well as decrease the time(sec) of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a home for the aged.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 (The Changes of Social Distance, Disability Awareness, and Activity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rough the Parachute Play)

  • 김수현;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93-402
    • /
    • 2020
  • 본 연구는 낙하산 놀이에 따른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 인식, 활동 만족도의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과 학생 10명으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4주간 낙하산 놀이에 참여하였다. 활동 참여 전 후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장애인식과 자원봉사 활동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낙하산 놀이 참여 후 사회적 거리감 및 장애인식, 활동 만족도가 증가하여 변화가 나타났다. 낙하산 놀이의 참여가 작업 치료과 학생들의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활동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치료과 학생들의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장애인식을 개선하고, 활동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원봉사 활동으로 낙하산 놀이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노인의 여가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isure Types and Social Supports on Elderly Depression)

  • 김정옥;엄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4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isure and social support types which affect elderly depression. The study sample comprised 275 cas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on SPSS ver. 10.0.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types of leisure and social support differed according to domographic profiles. Second, among 6 sub-factors of leisure type, sports and viewing impressions activities contributed positively to elderly depression, as did emotional and appraisement supports among 4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i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weights of factors of leisure types and social supports, showed that emotion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s activity, and viewing impressions activity strongly affected elderly depression in the order listed. Based of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methods for developing an active leisure activities program which is necessary to minimize elderly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