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ow mold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화본과식물에 발생하는 설부소입균핵병균(雪腐小粒菌核病菌)의 동정 및 발생상태에 관한 연구 -II. Typhula incarnata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tudies on the Ecology of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yphula Snow Mold of Graminous Plants -II.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yphula incarnata-)

  • 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3
    • /
    • 1992
  • Typhula incarnata 의 생육온도는 $-5{\sim}10^{\circ}C$의 범위이었으며 $10{\sim}15^{\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6 균 핵은 고온에서 형성량이 많았으며 pH 5.4-6.2 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좋았다. 기본배지에서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 이눌린, 가용성 전분, 갈락토스, 포도당, 만노스, 만닛톨, 자당, 맥아당, 셀로비로스, 트레할로스, 라휘노스 및 덱스트린 등이 다른 탄소원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23종의 질소원 중에서는 글리신, 셀린, 황산암모니움, 아스파라진, 아스파라틴산(酸) 및 ${\beta}-alanine$ 등이 T. incarnata 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았다. 시스틴과 시스테인은 질소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態) 질소가 질산태(態) 질소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감자배지, 오트밀배지 및 V-8 배지 등은 균의 생육과 균핵형성에 가장 좋았다. 톤을 첨가한 감자 배지에서는 T. incarnata 의 건물중이 감소하였으며, 자당(蔗糖)을 첨가하면 생육이 좋았다. T. incarnata 의 균핵은 흙속에서 생존력이 저하 되었으며 부발아(不發芽)된 균핵으로부터 Trichoderma viride와 세균이 검출되었다. 토양속의 오리새 생엽초는 T. incarnata에 의한 착생(着生)이 살균 또는 무살균(無殺菌)의 고엽초보다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고엽초에서의 T. incarnata 의 부생능력은 $10^{\circ}C$보다는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 또는 무살균의 기질에 착생된 부생균은 Cladosporium sp., Fusarium sp., Mucor sp., Pythium sp., 및 수종의 미동정균(未同定菌)이 경쟁균으로서 검출되었으나 $0^{\circ}C$에서의 생엽초에서는 착생(着生)되지 않았다. Bentgrass의 설부갈색소립균핵병에 대해서 살균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폴리옥신과 티람의 혼합제가 가장 좋았고, 이프로디온, 이프로디온과 옥신 구리의 혼합제, 지오파내이트-메틸, 마이클로브탄일 및 톨클로포스-메틸의 순으로 좋았다.

  • PDF

미농무성 NTEP(Nat'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자료를 이용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품종의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s Using NTEP Data)

  • 장덕환;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2007
  • 미농무성 NTEP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기후에 적합한 creeping bentgrass 품종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벤트그래스 품종들 중에서 'L-93' 품종이 전체 평균 잔디품종 평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발아세 및 여름철의 피복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 질감의 경우엔 'Penn A-1'과 'Penn A-2'가 높게 나왔지만 겨울철 내한성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낮게 나왔다. 대취의 축적량은 잎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Penncross'를 비롯하여 'Pennlinks', 'Crenshaw', 'L-93' 품종들은 적은 반면, 잎 밀도가 높은 'Penn A'와 'Penn G' 계통의 품종들이 많았다. 이끼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 정도는 'Penn A' 계통이 높았고 'Penncross' 품종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잎의 밀도와 시각적 잔디품질, 대취 축적량, 이끼 저항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회색 설부병에 저항성을 보인 것은 'Penn A' 계통의 품종들이었으며 브라운팻취 내병성은 'Penncross'와 'Penn A' 계통이 높았다. 피시움병에서는 'Penncross', 'Pennlinks'가 높게 나왔다. 달라 스팟의 경우 'L-93'이 가장 높게 나와서 이 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피시움병에 대한 내병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각 골프코스에서는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Penncross' 그린의 관리방식과 달리 골프코스에 식재된 bentgrass의 품종에 잔디관리 방식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잔디병해 연구사 (Research Review on Turfgrass Disease in Korea)

  • 심규열;이정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87-97
    • /
    • 2018
  • 잔디는 공익적 기능, 오락 및 휴양 그리고 미적인 측면에서 인간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잔디병해는 골프장, 운동장, 공원, 잔디재배지 등에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한국의 잔디병해 연구는 아직 다른 분야에 비하여 관심이 낮은 편이지만 잔디병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잔디병 관련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국내 잔디병 연구사를 정리하여 앞으로의 잔디병리 분야의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논문은 국내학술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탐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 분석하였다. 국내 잔디병과 관련된 논문은 약 80여 편이 한국잔디학회지에 게재되어 전체 논문의 50%를 차지하였다. 이 중 잔디병 방제에 대한 논문이 전체논문 대비 50%를 차지하였다. 잔디병해 별로는 라이족토니아마름병(large patch)에 대한 연구가 3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동전마름병(dollar spot) 18%, 피티움마름병(Pythium blight) 10%, 설부병(Typhular blight) 8%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잔디병은 15종류이다. 잔디병 방제를 위하여 국내에 등록된 약제의 수는 542개로 갈색잎마름병, 녹병, 누른잎마름병, 동전마름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 설부소립균핵병, 여름잎마름병, 탄저병, 피티움마름병, 흰가루병과 조류에 등록되어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미보고된 잔디병해의 학문적 탐색과 병명의 정립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병방제를 위하여 잔디병에 대한 생리, 생태학적인 연구와 더불어 친환경적 방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