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ow Cove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연속터널에서 터널출구 미기압파를 저감 할 수 있는 스노우 쉘터 개발 (The development of snow shelter connecting serial tunnels for reducing the micro-pressure waves.)

  • 김동현;강부병;이재환;오일근;김형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0-395
    • /
    • 2000
  • There are many tunnels located apart short distance from each other in mountainous country like Korea. Serial tunnels are connected by snow shelter in many cases. This study presents some countermeasures against micro pressure wave at tile tunnel exit using snow shelter. Through 1/60 scale model laboratory test. we find that snow shelter with 3.6m slit and slit cover show the effect of reducing the micro pressure wave to about 60.5%.

  • PDF

GIS/RS를 이용한 3개의 대표 시설물별 폭설 취약지역 추출기법 연구 (Extraction of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for 3 Representative Facilities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 안소라;신형진;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상관측소의 적설심 자료와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3가지 대표시설물(원예특작물시설, 축사, 건축물)에 대한 적설 설계기준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시설물의 적설 설계강도 기준을 평가하고 폭설 취약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과거 12년간(2001~2012년) 수집된 Terra MODIS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적설면적과 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적설심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전국지역별 원예특작물시설의 설계기준 적설심(cm), 축사 설계기준 적설하중($kg/m^2$), 건축물 설계기준 적설하중($kN/m^2$) 자료를 수집하여, MODIS 위성영상에 의해 구축된 적설심 분포도와 비교하여 적설 설계강도 기준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라도,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이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평 알파인 경기장에서 겨울철 바람의 일변화 및 난류 특성분석 (An Analysis of the Wintertime Diurnal Wind Variation and Turbulent Characteristics over Yongpyong Alpine Slope)

  • 전혜림;김병곤;은승희;이영희;최병철
    • 대기
    • /
    • 제26권3호
    • /
    • pp.401-412
    • /
    • 2016
  • A 3D sonic anemometer has been installed at Yongpyong alpine slope since Oct. 23th 2014 to observe the slope winds and to analyze turbulent characteristics with the change in surface cover (grass and snow) and the synoptic wind strength. Eddy covariance method has been applied to calculate the turbulent quantity after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a planar-fit rotation. We have carefully selected 3 good episodes in the winter season (23 October 2014 to 28 February 2015) for each category (9 days in total), such as grass and snow covers in case of weak synoptic wind condition, and grass cover of strong synoptic wind. The diurnal variations of the slope winds were well developed like the upslope wind in the daytime and downslope wind in the nighttime for both surface covers (grass and snow) in the weak synoptic forcing, when accordingly both heat and momentum flux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aytime and decreased in the nighttime. Meanwhile, diurnal variation of heat flux was not present on the snow cover probably in associated with significant fraction of sunlight reflection due to high albedo especially during the daytime in comparison to those on the grass cover. In the strong synoptic regime, the most dominant feature at Yongpyong, only the southeasterly downslope winds were steadily generated irrespective of day and night with significant increases in momentum flux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as well, which could suggest that local circulations are suppressed by the synoptic scale forcing. In spite of only one season analysis applied to the limited domain, this kind of an observation-based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of the local wind circulation in the complex mountain domain such as Gangwon in Korea.

한국의 황사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ccurrence of Asian Dust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 김선영;이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75-69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출현하는 황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황사 출현일수와 대기순환지수인 북극진동지수, 남극진동지수와 유라시아 대륙 적설면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황사 출현일수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다. 월별로는 4월에 황사 출현일수가 집중되었고 전반기의 3.2일에서 후반기의 5.1일로 1.9일 증가하였다. 황사 출현일수와 겨울철 북극진동지수 및 남극진동지수와는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는 겨울철 북극진동지수와 남극진동지수가 양의 값일 때 황사 출현일수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황사 출현일수와 유라시아 대륙 적설면적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는 유라시아에 적설면적이 감소하면 황사 출현일수가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TRACING MARCH 2004 AND DECEMBER 2005 HEAVY SNOWFALL OF SOUTH KOREA USING NOAA AVHRR IMAGES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10-113
    • /
    • 2006
  • This study is to grasp and analys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ecord-breaking heavy snowfall rarely occurr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 region of South Korea during March of 2004 and December of 2005 respectively. Snow cover area was extracted using the channels 1, 3 and 4 of NOAA AVHRR images and the snow depth distribution was spatially interpolated using snowfall data of meteorological stations. Using administration boundary and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1:5,000 NGIS digital map, the snowfall impact was assessed spatially and compared with the reports at that time.

  • PDF

히말라야산맥의 만년설 경년변화 연구 (Inter-Annual Variability of Ice Cap in Himalaya)

  • 이창석;한경수;염종민;이가람;송봉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40
    • /
    • 2008
  • 온난화는 오늘날 발생하는 다양한 기상재해와 이변의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점 중에 하나이다. 눈과 빙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가장 쉽게 보여주는 예이며, 이것들은 높은 반사도 특성으로 지구 냉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센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히말라야 산맥내의 만년설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만년설 감시를 위해서 NDSI(Normalized Differenced Snow Index)를 사용하였으며, NDSI는 위성 영상내에 눈을 감지하기 위해 가시와 단파적외 영역에서 눈의 반사도 특성 차이를 이용한 밴드비율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 2003년, 2006년, 2007년의 9월부터 12월까지의 NDSI를 산출하여 만년설을 감시하였으며, 막연하게 알고 있던 고산지대 만년설에 대한 온난화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2007년이 비해 2001년에 잔설지역이 9월 $71,481km^2$, 10월 $92,760km^2$, 11월 $333,916km^2$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erra MODIS 및 NOAA 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적설분포 추출 결과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xtracted Snow Cover Area Using Terra MODIS and NOAA AVHRR Imageries for ChungJu Dam Watershed)

  • 홍우용;신형진;하림;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92-1096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적설 분포의 추출연구가 융설과 관련된 수문학적 연구에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반도와 같이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대기에 의한 방해가 너무 큰 영상은 구름 아래 지표면의 정보를 얻을 방법이 없어 해당 날짜의 영상을 제외 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특성과 영상의 촬영 시간, 그리고 촬영 각도가 달라 서로 다른 대기의 영향을 받는 Terra MODIS 위성영상과 NOAA 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각각의 적설 분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영상을 분석하는데 있어 구름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겨울철의 적설이 발생한 기간을 대상으로 총 3개년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설분포의 차이를 우리나라의 충주댐 유역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밴드별 파장대의 반사 특성을 이용한 MODIS snow cover와 임계값을 선정하여 구하는 NOAA AVHRR는 서로 다른 적설분포를 보였다고 판단되며, 이는 해상도와 영상 합성, snow cover 추출 알고리즘의 차이 및 대기 현상의 영향 등으로 인하여 추출면적 값이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두 영상에 의한 추출면적의 비교분석 결과, 적설분포의 추출에 있어서 두 영상을 서로 절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중량식 원형 적설판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Weight Type Rounded Snow Plate)

  • 이부용;김현철
    • 대기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09
  • We need water equivalent unit data of snowfall for the purpose of forecast and hydrology related research area. This study developed new method of automatic recording snowfall as weight unit with circle type plate using stain-gauge loadcell. Field test of instrument carried out at Daegwallyeong Obs. Station from 20 to 23 Jan. 2008 during heavy snowfall. There is 74.2cm snow depth and 54.6mm precipitation by Daegwallyeong Obs. Station. But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recorded 71.0mm of precipitation amount. Because of different observation method can cause more 15.4mm than Daegwallyeong Obs. Station. But this study gives the possibility of observation of new snow fall measurement under freezing conditions of snow. From the observation data the density of snowfall calculated from 0.09 to $1015g/cm_3$ from the observation period. And have a good relations between manual observation and automatic observation data from this study instrument with slope of 1.35 to 1.39.

Terra MODIS 영상과 지상 적설심 자료를 이용한 적설분포도 구축기법 연구 (Mapping Technique for Heavy Snowfall Distribution Using Terra MODIS Images and Ground Measured Snowfall Data)

  • 김샛별;신형진;이지완;유영석;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43
    • /
    • 2011
  • 본 연구는 2001년 1월, 2004년 3월, 2005년 12월 그리고 2010년 1월의 4개 폭설사상을 대상으로 3가지 적설심분포도를 구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우리나라 76개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자료를 대상으로 IDW (Inverse Distance Weighting)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한 경우(Snow Depth Map; SDM), 둘째는 SDM를 Terra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영상에 의한 적설분포지역(Snow Cover Area; MODIS SCA)으로 추출한 경우(SDM+MODIS SCA; SDM_M), 셋째는 둘째 경우에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고도에 따른 적설심 감률을 고려한 경우(SDM_M+DEM; SDM_MD)이다. 4개년도의 적설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Terra MODIS 영상에 의한 적설분포면적은 남한면적($99,575.3km^2$)의 62.9%, 44.1%, 52.0%, 69.0% 였다. 3가지 경우에 대한 평균 적설심을 비교한 결과, SDM보다 SDM_M이 각각 0.9cm, 1.9cm, 0.8cm, 1.5cm 작게, SDM_M보다 고도를 고려한 SDM_MD는 1.3cm, 0.9cm, 0.4cm, 1.2cm 크게 나타났다.

Simulation of Indian Summer Monsoon Rainfall and Circulations with Regional Climate Model

  • Singh, G.P.;Oh, Jai-Ho
    • 한국제4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제4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25
    • /
    • 2004
  •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Indian summer monsoon Rainfall (ISMR) and extent of Eurasian snow cover/depth in the preceding season. Tibetan snow cover/depth also affects the Asian monsoon rainy season largely.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ibetan sensible heat flux and southeast Asian rainfall suggest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ibetan snow cover and southeast Asian rainfall. Developments in Regional Climate Models suggest that the effect of Tibetan snow on the ISMR can be well studied by Limited Area Models (LAMs). LAMs are used for regional climate studies and operational weather forecast of several hours to 3 days in future. The Eta model develop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NCEP), the Fifth-Generation NCAR/Penn State Mesoscale Model (MM5) and Regional Climate Model (RegCM) have been used for weather prediction as well as for the study of present-day climate and variability over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Regional Climate Model (RegCM3) has been widely . used for various mesoscale studies. However, it has not been tes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features and associated rainfall over India so far. In the present study, Regional Climate Model (RegCM-3) has been integrated from 1 st April to 30th September for the years 1993-1996 and monthly mean monsoon circulation features and rainfall simulated by the model at 55km resolution have been studied for the Indian summer monsoon season. Characteristics of wind at 850hPa and 200hPa, temperature at 500hPa, surface pressure and rainfall simulated by the model have been examined for two convective schemes such as Kuo and Grell with Arakawa-Schubert as the closure scheme, Model simulated monsoon circulation feature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NCEP/NCAR reanalyzed fields and the rainfall with those of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IMD) observational rainfall datasets, Comparisons of wind and temperature fields show that Grell scheme is closer to the NCEP/NCAR reanalysis, The influence of Tibetan snowdepth in spring season on the summer monsoon circulation features and subsequent rainfall over India have been examined. For such sensitivity experiment, NIMBUS-7 SMMR snowdepth data have been used as a boundary condition in the RegCM3, Model simulation indicates that ISMR is reduced by 30% when 10cm of snow has been introduced over Tibetan region in the month of previous April. The existence of Tibetan snow in RegCM3 also indicates weak lower level monsoon westerlies and upper level easterl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