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ing Cessation Clinic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 흡연영향요인과 치과의료기관의 금연지원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oking and Oral Health in Adult Males, and Necessity of Supporting Smoking Cessation in Dental clinics)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73-281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흡연 영향요인, 흡연이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치과의료기관의 금연지원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8년 10-12월 기간 중 J시 치과의료기관에 내원한 흡연경험이 있는 성인 남성 165명을 대상으로 흡연영향요인, 흡연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지식,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치과 금연지원 인식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흡연집단은 스트레스지수가 13.0으로 비흡연집단 9.97보다 높았고 음주회수가 주 2회 이상으로 비흡연자 0.96회보다 높았으며(p<0.05) 구강보건지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p>0.05). 흡연은 스트레스(r= .283, p<0.001)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r= -.263,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가 금연지원 서비스 인식은 32.9 % 이었으나 금연서비스 경험은 19.4 %로 이용율이 낮았다. 치과의료기관의 금연 지원은 65.5 %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치과금연서비스 이용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다. 흡연자의 금연지원을 위해 스트레스와 음주 조절 및 구강건강 영향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고, 금연서비스 이용을 높이기 위한 금연정책으로 구강보건전문가들의 금연지원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군인, 의경의 흡연 특성과 비만 간의 관련성: 2009~2017년 금연클리닉 참여 군인, 의경을 대상으로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characteristics and obesity among military personnel in Korea: Data from smoking cessation clinics, 2009~2017)

  • 권은주;김수영;추지은;조선;나은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7-5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rends of smoking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characteristics and obesity among military personnel in Korea.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0,680 military personnel who participated smoking cessation clinic from January in 2009 to December in 2017(excluded in 2011). Obesity was defined as body mass index${\geq}25kg/m2$. Smoking characteristics was included cigarettes of smoked per day, age of initial smoking, smoking dur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of smoking and obesity among military personnel.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of study subjects was 20.4%. The military personnel were more likely to be obese if they who smoked 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adjusted OR 2.271, CI 2.027-2.545), who smoked for more than 10 years(adjusted OR 2.046, CI 1.820-2.299), and who smoked their initial smoking at later than 20 years(adjusted OR 1.357, CI 1.223-1.493). Conclusions: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cigarettes of smoked per day, age of initial smoking and smoking duration among military personnel. Thus, intervention included both smoking cessation and weight control are necessary for smokers with obese who are interested in losing weight among military personnel.

지역사회 보건교육 (Community Health Education)

  • 이주열;박천만;서미경;최은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1-249
    • /
    • 2007
  • Health education aims at behavior change rather than just delivering health knowledge to people. In Korea health education activities in public sector began in 1960 and they were included in the primary prevention program in communities. This article reviewed curr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healthy living practice programs provided by local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ole of health education in community setting. Health education has been a core function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nation since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in 1995.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fund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which are drawn from tobacco tax.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e healthy living practice programs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moderate alcohol use program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and nutrition programs), chronic disease prevention programs, oral health programs and public hygiene programs. Methods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e health education, health counseling, health class,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urvey and research.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programs include smoking cessation clinic, smoking cessation education, non-smoking environment program, and non-smoking campaign. Moderate alcohol use programs include alcohol use education, moderate alcohol use campaign, alcohol use counseling, and alcohol free environment program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include obesity control, targeted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civic group programs. Nutrition programs include nutrition management, obesity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breakfast eating program, and nutrition counseling and treatment programs. The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community are not efficient today because there are many overlapping contents and short term goals.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s needs to be more comprehensive. Workforce development is another big issue at the moment because the National credential program will begin in 2009. Variety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fund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Effect on Smoking Quit Rate of Telling Smokers their Health Risk Appraisal in Terms of Health Age: A Randomized Control Trial

  • Paek, Yu-Jin;Lee, Sungkyu;Kim, Yun-Hee;Lee, Kang-Sook;Yim, Hyeon-Woo;Kim, Myung-Shig;Kim, Cheol-Hwan;Jeung, 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963-4968
    • /
    • 2014
  • Background: We evaluated whether providing health risk appraisal for Koreans (KHRA) in terms of 'health age' dur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would effectively help smokers quit smoking or no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32 male smokers aged between 30-65 years old, registered for a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in a city, were recruited and underwent a baseline survey from January 2010 to February 2011. They were then prospectively randomized to a conventional counseling group (n=165) or a KHRA group (n=167), and received conventional counseling or KHRA-based counseling for six months. Abstinence rates were identified through carbon monoxide measurement (at the $4^{th}$ and $24^{th}$ weeks) or urinary cotinine level (at the $12^th$ week). Results: The abstinence rate confirmed by exhaled carbon monox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HRA group (61.1%) than the control group (49.1%) at the $4^{th}$ week (absolute difference 12.0%, 95% CI: 1.4%-22.6%).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bstinence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12th and 24th weeks. The predicting factors of 24 week's smoking cessation success were age, older than 50 years old (OR 2.02, 95% CI: 1.16-3.52), lower Fagerstr$\ddot{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score less than 4 (OR 1.84, 95% CI: 1.03-3.29), and higher Self Efficacy/Temptation score (OR 1.79, 95% CI: 1.05-3.06). Conclusions: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with KHRA could be effective compared to conventional counseling in the short period of smoking cessa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long-term efficacy of KHRA in tobacco dependence treatment and to establish the indication and target population of this tool.

원주시민과 춘천시민의 지역사회 내 금연프로그램 이용 격차가 금연 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Utilization Gap of the Community-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on the Attempts for Quitting Smoking between Wonju and Chuncheon Citizen )

  • 도경이;이광수;오재환;박지해;정윤지;강제구;윤선영;김춘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1호
    • /
    • pp.37-49
    • /
    • 2024
  •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와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두 지역 간 흡연 상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지역 내 금연프로그램 경험이 금연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원주시는 춘천시보다 현재흡연율이 더 높고, 흡연기간은 더 길었으며, 흡연 시작 연령은 춘천시보다 더 낮았다. 원주시의 현재흡연율이 춘천시보다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관할지역 내 보건소 등에서 운영하는 금연 교육프로그램의 이수 경험률이 원주지역에서 더 낮았고(OR=0.52, 95% CI=0.33~0.81), 금연클리닉의 이용률도 더 낮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지역 내 금연프로그램 경험이 금연 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주시는 금연교육 이수자와 금연클리닉 이용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각각 OR=2.31, OR=2.29로서 금연 시도 경험이 더 높았고, 춘천시의 경우도 금연지원서비스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의 금연 시도 경험이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OR=2.26배 더 높았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적은 표본수로 인하여 통계적 유의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당보건의료기관은 지역주민의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와 흡연자의 금연 시도를 높이기 위한 지역 내 보다 실용성 있는 금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밀착형 홍보로 접근성을 제고하여 현재흡연율의 지역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노인의 하루 평균 흡연량과 상실치아의 융합적 관련성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the Average Daily Smoking and Tooth Loss of the Elderly in Korea)

  • 강은정;이지연;조민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하루 평균 흡연량에 따른 흡연상태와 상실치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4,037명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비흡연군에 비해 과거중증흡연이 2.35배, 현재일반흡연군은 3.01배, 현재중증흡연군에서 3.27배로 상실치아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하루 평균 흡연량에 따라 상실치아의 위험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잔존치아수를 최대한 증대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치과에서 금연치료의 객관적 자료로 제시되고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obacco Cessation in India: How Can Oral Health Professionals Contribute?

  • Oberoi, Sukhvinder Singh;Sharma, Gaurav;Nagpal, Archana;Oberoi, Avne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383-2391
    • /
    • 2014
  • Tobacco use is described as the single most preventable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globally, with the World Bank predicting over 450 million tobacco-related deaths in the next fifty years. In India, the proportion of all deaths that can be attributed to tobacco use is expected to rise from 1.4% in 1990 to 13.3% in 2020 of which smoking alone will cause about 930,000 adult deaths by 2010.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ounseling from a health professional is an effective method of helping patients quit the tobacco habit. Tobacco cessation needs to be urgently expanded by training health professionals in providing routine clinical interventions, increasing availability and subsidies of pharmacotherapy, developing wide-reaching strategies such as quitlines, and costeffective strategies, including group interventions.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emphasizes the vital contribution of participation of health professional bodies, as well as training and healthcare institutions in tobacco control efforts. Dentis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patients quit using tobacco. One of the key strategies to reduce tobacco-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is to encourage the involvement of health professionals in tobacco-use prevention and cessation counselling. The dental office is an ideal setting for tobacco cessation services since preventive treatment services, oral screening, and patient education have always been a large part of the dental practice.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전라남도 거주 여성 중 사별군과 비사별군간의 건강행태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etween Widowed Women and Married Women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

  • 최성우;이정애;신준호;신민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72-278
    • /
    • 2008
  • Objectives: To compare the health behaviors of widowed women with those of currently married women. Methods: We randomly sampled the subjects from the Jeollanamdo Resident Registration Data and we then selected 2,331 widowed women and 4,775 married women. Well-trained examiners measured the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and abdomen circumference, and the women were interviewed with using a questionnai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OR) of the two groups. Results: The smoking rate (OR=2.46; 95% confidence interval [CI]1.65, 3.66)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widowed women. On the contrary, the awareness rate of a smoking cessation campaign (OR=0.80; 95% CI=0.70, 0.92), a quit tobacco telephone line (OR=0.73; 95% CI =0.61, 0.88) and a quit smoking clinic (OR=0.74; 95% CI=0.62, 0.89) were lower for the widowed women. The rate of receiving a health exam (OR=0.80; 95% CI=0.70, 0.91), the rate of undergoing gastric cancer screening (OR=0.77; 95% CI=0.68, 0.88), breast cancer screening (OR=0.79; 95% CI=0.69, 0.89), cervix cancer screening in the last 2 years (OR=0.81; 95% CI=0.71, 0.92), colon cancer screening in the last 5 years (OR=0.74; 95% CI=0.63, 0.87)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widowed women.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ealth behavio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widowed women and the married women. To improve the health behaviors of the widowed women, further study and research that will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behaviors of widowed women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