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d eg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가압침투방법을 이용한 훈제 계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zation of Smoked Egg by Penetration Seasoning through Pressurization method without Damaging Eggshell)

  • 김진곤;조형진;황용일;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04-212
    • /
    • 2016
  • 본 연구는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 가압침투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는 훈제 계란을 개발하고, 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동결 건조된 훈제 계란의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 2.43%, 조회분 4.11%, 조단백질 46.08%, 조지방 40.85%, 탄수화물은 6.53%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3.11 mg%,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35.70%, 불포화지방산은 64.30%로 나타났다. 주요 포화지방산으로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 Lauric acid(C12:0) 이었고, 주요 불포화지방산으로는 Oleic aicd(C18:1), Linoleic aicd(C18:2)로 나타났다. 색도는 훈제 계란은 훈연에 의해 난각의 색이 매우 짙은 갈색이었고, 난백, 난황, 난각은 삶은 계란에 비해 어둡게 나타났으며, a(redness)값은 훈제 계란이 높게 나타났다. 훈제 계란은 삶은 계란에 비해 관능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조미액과 훈연향에 의해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이 침투된 훈제 계란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품질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계란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과 난 가공 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숙성 및 가압 방식에 의한 훈제 계란의 제조 공정 최적화 (Optimizatio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Smoked Eggs Aging and Pressurizing Techniques)

  • 김진곤;황용일;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75-380
    • /
    • 2017
  • 본 연구는 훈제 계란의 제조시간 단축과 진의 생성으로 발생하는 불량 훈제 계란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정 조건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진은 공정과정 중에 염지액의 과열 등으로 발생하는 난각의 얼룩으로 훈제 계란의 난각에 진이 발생할 경우 상품으로 사용할 수 없어 불량 처리하고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인 계란은 부산 오경농장에서 구입하여 대란만을 사용하였다. 제조 공정은 일반적인 훈제 계란 가공업체의 제조 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하여 훈제 계란의 최적 염도는 1.67~2.00%이었고, 훈제 계란의 진 발생으로 생성되는 불량 계란은 5%로 최적 염도의 조건과 3% 미만의 불량률을 목표로 하였다. 숙성 공정의 $50^{\circ}C$에서 96시간 숙성한 후, 훈제 계란을 가공하였을 때 진 발생은 0%였다. 순환식 침지방식은 8시간 처리하였을 때 제조한 훈제 계란의 염도는 1.67%였으며, 가압 방식은 $2.07kg/cm^2$의 압력으로 4시간 처리하였을 때 제조한 훈제 계란의 염도는 2.00%였다. 최적 효율의 압력을 찾기 위하여 0.52, 1.55, 1.86, 2.07, 2.38, 2.58, $3.62kg/cm^2$으로 처리하였을 때 $2.07kg/cm^2$의 압력 처리가 최적의 훈제 계란 염도와 2.2%의 진 발생률을 보였다. 숙성 및 가압 방식은 훈제 계란 가공 시 제조시간의 단축과 불량률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Role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in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 Phukan, Rup Kumar;Saikia, Bhaskar Jyoti;Borah, Prasanta Kumar;Zomawia, Eric;Sekhon, Gaganpreet Singh;Mahanta, Jagadi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253-3260
    • /
    • 2014
  • Background: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smoking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on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230 newly diagnosed primary lung cases and 460 controls from women in Mizora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adjusted odds ratio (OR). Results: Exposure of cooking oil fumes (p<0.003), wood as heating source for cooking (p=0.004), kitchen inside living room (p=0.001), improper ventilated house (p=0.003), roasting of soda in kitchen (p=0.001), current smokers of tobacco (p=0.043), intake of smoked fish (p=0.006), smoked meat (p=0.001), Soda (p<0.001) and GSTM1 null genotype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Significantly protective effect was observed for intake of bamboo shoots (p=<0.001) and egg (p<0.001). A clear increase in dose response gradient was observed for total cooking dish years. Risk for lung cancer tends to increase with collegial effect of indoor environmental sources (p=0.022).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for interaction of GST polymorphisms with some of dietary habits.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exposure of cooking oil emission and wood smoke, intake of smoked meat, smoked fish and soda (an alkali preparation used as food additives in Mizoram) and tobacco consumption for increase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위암 및 대장암의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Stomach Cancer and Colon Cancer in Korea)

  • 양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603-614
    • /
    • 199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stomach and colon cancers in Korean. The subjects were 139 stomach and 52 colon cancer patients recruited from 3 general hospitals in Seoul. Food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lood compositions were studied through personal interview and using medical records. Body weight, body mass index, triceps skinfold thickness, body muscle mass of the subjects were lower than reference values. The body weight was reduced after the onset of the illness, which suggests body waste due to the cancers. The patients showed the lower valui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Serum protein and calcium were at lower limit of the normal range. Therefore the untritional status assessed by anthropometry and blood composition should be said to be marginal. The average intake of most of the nutrients except Ca of the subjects met the RDA, but the range was wide and the nutrient intake of large proportion of the subjects feel below 75% of RDA. The food intake of egg, milk, legumes, and fruts were lower than national averag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had higher intake of meat, vegetables, and fats. The subjects drank and smoked heavily, stomach cancers being more severs. From this results, dietary risk factors for the stomach and colon cancers in Korean did not agree with the reports of western societies. Even though the intakes of meat and animal food of colon cancer patients can not be classified as high, it was higher than stomach cancer and national average.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with increasing consumption of animal food, the incidence of colon cancer would be increased in Korea.

  • PDF

셀룰로오스 케이싱에 충전한 명란훈연소시지의 텍스쳐에 대한 세팅의 영향 및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Effect of Setting on the Texture Intensity of Smoked Alaska Pollock Roe Sausage with Cellulose Casing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 박종혁;김영명;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6-103
    • /
    • 2006
  • 명태 절란을 원료로 한 명란훈연소시지의 품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조구 및 셋 소시지에서 카라기난의 양이 많을 수록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brittleness 및 gumminess가 높게 측정되었고, 명란훈연소시지 제조시 setting은 텍스쳐 강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셋 소시지에 있어서 원료성분의 최적 배합비율은 명태 절란, 전분 및 카라기난 함량이 각각 88.5, 5.0 및 $2.0\%$인 제품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pH는 저장 4개월째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 하였으며, 진공 및 질소포장은 대조구보다 pH 변화가 낮았다. 휘발성염기질소량 및 TBA 값은 대조구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진공 및 질소포장 제품은 저장 2개월째까지는 변화가 없었다가 저장 4개월째부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대조구가 진공 및 질소포장 제품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저장기간 동안에 음성으로 나타나 대장균군에 의한 오염여부의 측면에서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