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management scenario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건축물 제배연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구획실 발열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in Compartment of Building for Scenario of Smoke Management)

  • 김정엽;신현준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8-403
    • /
    • 2009
  • The theoretical bases on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in compartment of building for scenario of smoke management are introduced and the numerical applications to simple compartment model are carried out. The growth stage which is important for smoke management design is modelled as t-squared fire curve including fire growth coefficient with related to growth rate. The conditions for the happening of flashover is presented such as $600^{\circ}C$ of temperature or $20kW/m^2$ of radiation heat flux. After the flashover happen, the fire in compartment changes to fully developed fi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controlled fire. As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to simple compartment model, the time to reach 900K under ceiling for condition of medium growth is twice for condition of fast growth.

  • PDF

Assessing Health Impacts of Pictorial Health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s in Korea Using DYNAMO-HIA

  • Kang, Eunje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4호
    • /
    • pp.251-261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10-year impacts of the introduction of pictorial warning labels (PWLs) on cigarette packaging in 2016 in Korea for adults using DYNAMO-HIA. Methods: In total, four scenarios were constr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potential health impacts of PWLs: two for PWLs and the other two for a hypothetical cigarette tax increase. In both policies, an optimistic and a conservative scenario were constructed. The reference scenario assumed the 2015 smoking rate would remain the same. Demographic data and epidemiological data were obtained from various sources. Differences in the predicted smoking prevalence and prevalence, incidence, and mortality from diseases were compared between the reference scenario and the four policy scenarios.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the optimistic PWLs scenario (PWO) would lower the smoking rate by 4.79% in males and 0.66% in females compared to the reference scenario in 2017. However, the impact on the reduction of the smoking rate was expected to diminish over time. PWO will prevent 85 238 cases of diabetes, 67 948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31 526 of ischemic heart disease, 21 036 of lung cancer, and 3972 prevalent cases of oral cancer in total over the 10-year span due to the reductions in smoking prevalence. The impacts of PWO are expected to be between the impact of the optimistic and the conservative cigarette tax increase scenarios. The results were sensitive to the transition probability of smoking status. Conclusions: The introduction of PWLs in 2016 in Korea is expected reduce smoking prevalence and disease cases for the next 10 years, but regular replacements of PWLs are needed for persistent impacts.

Computer modelling of fire consequences on road critical infrastructure - tunnels

  • Pribyl, Pavel;Pribyl, Ondrej;Michek, Jan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5권3호
    • /
    • pp.363-377
    • /
    • 2018
  • The proper functioning of critical points on transport infrastructure is decisive for the entire network. Tunnels and bridges certainly belong to the critical points of the surface transport network, both road and rail. Risk management should be a holistic and dynamic proces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However, the level of risk is usually determined only during the design stage mainly due to the fact that it is a time-consuming and costly process. This paper presents a simplified quantitative risk analysis method that can be used any time during the decades of a tunnel's lifetime and can estimate the changing risks on a continuous basis and thus uncover hidden safety threats. The presented method is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unnel managers designed to preserve or even increase tunnel safety. The CAPITA method is a deterministic scenario-oriented risk analysis approach for assessment of mortality risks in road tunnels in case of the most dangerous situation - a fire. It is implemented through an advanced risk analysis CAPITA SW. Both, the method as well as the resulting software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team. Unlike existing analyzes requiring specialized microsimulation tools for traffic flow, smoke propagation and evacuation modeling, the CAPITA contains comprehensive database with the results of thousands of simulations performed in advance for various combinations of variables. This approach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overall complexity and thus enhances the usability of the resulting risk analysis. Additionally, it provides the decision makers with holistic view by providing not only on the expected risk but also on the risk's sensitivity to different variables. This allows the tunnel manager or another decision maker to estimate the primary change of risk whenever traffic conditions in the tunnel change and to see the dependencies to particular input variables.

CAES 저장 공동 운영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평가 및 화재 시나리오 분석 (Analysis of Fire Scenarios and Evaluation of Risks that might Occur in Operation Stage of CAES Storage Cavern)

  • 윤용균;주은혜;서샘물;최병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1호
    • /
    • pp.107-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AES 저장 공동의 운영단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를 분석 및 평가하고, 가장 높은 리스크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된 리스크에 대해서 화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운영단계에서의 리스크를 상위 리스크와 하위 리스크로 구분하였다. 상위 리스크는 '기술적 리스크', '시설 리스크', '자연재해 리스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위 리스크는 11개의 리스크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20인의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ANP 모델을 적용하였다. 리스크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ANP 분석 결과와 기 결정된 리스크 평가기준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관리공동 내 화재 발생'이 위험도가 가장 높은 리스크로 선정되었다. '관리공동 내 화재 발생' 리스크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분석하였다. 3가지 종류의 시나리오를 고려하였으며,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위해서 FDS 화재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석 결과 터널 내부에서 외부로 바람이 부는 경우를 가정한 No. 3 시나리오가 연기 확산 속도가 가장 크면서 가장 빠르게 연기가 호흡 한계선 이하까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영요원이 접근터널에서 피난하는 경우 No. 3 시나리오가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판명되었다.

인공지능 피난유도설비 적용에 따른 최적 대피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for Optimal Evacuation Simulation by Artificial Intelligence Evacuation Guidance Application)

  • 장재순;공일천;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8-122
    • /
    • 2013
  • For safe evacuation in the fire disaster, the evacuees must find the exit and evacuate quickly. Especially, if the evacuees don't know the location of the exit, they have to depend on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Because the more smoke spread, the less visibility is decreasing, it is difficult to find the way to the exit by the naked eye. For theses reasons,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is highly important. However,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without change of direction has the risk that introduce to the dangerous area. In the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scenario by the evacuation simulation has the same problem. Because the evacuee in the simulation evacuate by the shortest route to the exit, the simulation result is same like the evacuation without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In this study, it was used with MAS (Multi Agent System)-based simulation program including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to implement the change of evacuation by fire. Using this method, confidence of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can be increase.

스마트 홈 가스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및 현장시험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Smart-home Gas Safety Management System)

  • 박규태;김은정;김인찬;김희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28-13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스안전에 적합한 무선 ZigBee통신모듈과 스마트 홈 가스안전기기 및 관리시스템 개발하여 가스안전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마이컴가스미터, 자동식소화기, 감지기 및 월패드로 구성된다. 마이컴미터는 가스압력, 가스유량, 지진을 모니터링한다. 자동식소화기는 가연성 가스의 누출상태, $100^{\circ}C$(차단)와 $139^{\circ}C$(화재)의 온도를 측정하며, 감지기는 연기와 일산화탄소(CO)를 검지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 가스사용중 이상상태발생시 마이컴가스미터는 경보와 함께 내부밸브를 차단시키고, 자동식소화기는 중간가스밸브를 차단하거나 소화약재를 분사시킨다. 감지기는 연기와 CO를 감지할 경우 각각 신호를 발생시켜 후속조치를 취하게 한다. 가스안전기기와 센서들은 자동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그 정보를 월패드로 전달한다. 월패드는 실시간 상황정보를 서버에게 전달하고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가스의 상황정보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반 가스안전 및 위험관리의 시나리오를 고안하고 현장적용시험을 통하여 그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공동주택 화재감지 및 소화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 and Sprinkler Head in Apartment Houses)

  • 이채원;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38-44
    • /
    • 2015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열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대책을 제시한 연구이다. 2010년 인구주택 조사에 의하면, 공동주택은 전체 주거시설의 71.6%이며 최근 7년간 소방방재청의 화재통계 자료에 의하면, 매년 전체 화재의 약 25.0%, 인명피해는 46.4%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화재원인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국내 공동주택의 대표적인 평형을 대상으로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 최근에 설치가 요구되는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감지 및 작동시간이 늦어 조기화재진압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 열복합형감지기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공동주택 중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설치가 제외된 층에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공동주택 안전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선진국과 같이 원격으로 주거공간의 소방시설을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백두산 분화 Worst-case로 인한 우리나라 초미세먼지(PM2.5) 영향분석 및 노출평가 (Analysis of PM2.5 Impact and Human Exposure from Worst-Case of Mt. Baekdu Volcanic Eruption)

  • 박재은;김혜림;선우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4호
    • /
    • pp.1267-1276
    • /
    • 2020
  • 백두산 화산의 대규모 분화로 인한 우리나라 PM2.5 영향 및 피해범위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직접 피해를 주는 worst-case 기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3차원 대기화학모델링 시스템 WRF-SMOKE-CMAQ(Weather Research & Forecasting - Sparse Matrix Operation Kernel Emission - Comunity Multi-scale Air Quality)을 구동하였다. 과거 10년(2005~2014년)간 백두산 분화 worst-case 우선순위 중 우리나라에 가장 큰 직접 피해를 주는 대표 worst-case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대상 사례일(2012.5.16)에 VEI 4의 대규모 화산 분화를 가정하여 화산 분화로 인한 초미세먼지(PM2.5)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지역별(시군구) PM2.5의 영향을 예측하고 취약계층 등을 반영한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시군구의 영향을 보다 상세규모(9 km × 9 km)로 분석하여 시군구 지역 내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백두산 분화 대표 worst-case(2012.5.16.) 분석결과, 국내 PM2.5 피크농도는 24,547 ㎍/㎥로 낙하 화산재(5억 4천만톤) 처리가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었던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 분화(1980년) 사례보다 더 극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PM2.5 고농도 지역의 분석결과, 파주, 김포, 고양, 강화, 산청, 하동에서 고농도가 나타났다. 반면, 인구 노출분석 결과 인구 밀집지역인 파주가 특히 취약지역으로 나타났고, 취약계층 노출분석 결과 또한, 취약계층 인구가 많은 파주, 남양주, 화성이 취약지역으로 나타났다. 시군구 지역을 상세규모로 분석함으로써 하동 북부 등 시군구 지역 내에서의 고농도 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화산재해 발생 시 대기오염물질의 고농도 지역도 중요하지만 인구 및 민감군, 취약계층 밀집지역 등을 고려한 대응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으며 시군구에 대한 일률적인 대책보다 시군구 지역 내 고농도 지역 등의 선별을 통한 취약 지역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화산재해의 재난선포 기준 개발 및 선제적 대응체계 개발의 초석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