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Extrac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인명안전 관점에서 선박 화재 시 급·배기조건에 따른 배연성능 예측평가 (Smoke Exhaust Performance Prediction According to Air Supply and Exhaust Conditions for Shipboard Fires from a Human Safety Point of View)

  • 김별;황광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82-790
    • /
    • 2016
  • 선박의 기계식 환기시스템은 화재발생 시 연기의 생성과 확산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피난자의 피난경로 상의 가시도를 방해함으로써 피난자의 연기로 인한 피해를 증가시킬 위험성이 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박 거주구역에서 화재발생 시 기계식 급 배기시스템이 연기확산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성에 대하여 FDS를 활용하여 평가하고 화재 시 급 배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급 배기시스템이 함께 작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 권장되고 있는 급 배기시스템을 멈추는 방법보다 작동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배기시스템만 작동되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 이외의 구역에서 급기시스템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피난시간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곳에 급기시스템만 있는 경우에는 급기시스템이 연기확산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급기방식을 중단시켜 연기의 확산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축 승선생활관의 화재 위험성 예측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and improvement method of fire risk for a newly built college dormitory)

  • 김별;황광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28-234
    • /
    • 2016
  • 승선생활관은 거주밀도가 높으며 유동인구도 특정한 시간에 몰리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큰 인명피해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 K대학의 신축 승선생활관을 대상으로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를 사용하여 화재발생 시의 위험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승선생활관 다림질실에서 화재발생 시, 발화 후 65초에 연기감지기가 작동하고, 13초 뒤인 78초에 스프링클러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온도 및 일산화탄소 농도는 각각 241초, 248초에 허용기준 값에 도달하지만, 발화 후 66초에 허용 가시거리 값에 도달하기 때문에, 화재발생 후 적어도 1분 이내에 준비를 끝내고 피난을 개시해야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기숙사의 화재위험성 예측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인명안전에 가장 위험한 요소를 가시거리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시거리 확보를 위해 제연설비를 설치할 경우, 제연설비 설치 후 승선생활관 복도의 연기확산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멘톨담배의 $\ell$-Menthol 이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enthol delivery in mentholated cigarette smoke)

  • 이문수;임흥빈;조시형;김성한;박영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2
    • /
    • 1989
  • A study was made of the puff-by-puff delivery of menthol and tar for several commercial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brands constantly to maintain fresh aroma of menthol till the last puff in smok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ntholated cigarette. Prior to the purpose, a straightforward method from extraction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9-menthol contained in cigarettes has been developed.

  • PDF

Quality Properties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1.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Liquid Smokes-

  • Park Sung-Young;Kim Hun;Cho Woo-Jin;Lee Young-Mi;Lee Jung-Suck;Cha Yong-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29-237
    • /
    • 2001
  • In order to identify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commercial liquid smok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volatile flavor compounds by solvent extraction and/or Purge & Trap method/GC/MSD. A total of 15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in 6 commercial liquid smokes, and these compounds were composed mainly of 12 aldehydes, 60 ketones, 7 alcohols, 14 acids, 20 esters, 24 aromatic compounds, 7 furans and 12 miscellaneous compounds. Ketones $(806.6-7,573.9\mu g/mL)$ and aromatic compounds $(282.6-7,896.3 \mu g/mL)$ were more abundant than others. The PAHs known as carcinogen have not been detected in this study. The acids $(422.9-4,903.1\mu g/mL)$ was identified in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Phenol and its derivatives among aromatic compounds were in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Especially, the phenol and its derivatives including o-cresol, guaiacol, 4-ethylguaiacol and syringol were in higher concentration.

  • PDF

대학생의 흡연행위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into Pattern of Smo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김문실;김애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43-85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opinions related to of smok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story of smoking.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Feb, 1. 1996 to Sep. 10. 1997.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Q-methodology.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 1. Collection of concourse : The statement of self-reference was derived from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50 university students. Statement were categorized by researcher according to semantics. 2. Extraction of Q-sample : 38 of the self-reference statements from the 32 categories of the Q-population were selected. 3. Selection of P-sample : 30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by consideration of diversity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4. Based on a 1 to 9 point scale, the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were made to participate in Q-sorting. 5. Analysis of Q-type was obtained by use of the QUAN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s follows : There are three types of smoking behavio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1. The first type focused on the right of the individual to smoke and the lack of recognition of smoking behavior as a health hazard. 2. The second type cared about smoking behavior as a hazard to health. 3. The third type was habitual smoker. They are bored and smoke habitu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incidence of smoking of university students.

  • PDF

χ2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승강기 내의 흡연 추출 (Extraction of Smoking in Elevator Using χ2 Histogram)

  • 신성윤;김희애;진찬용;박상준;이양원;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9-121
    • /
    • 2013
  • 승강기 내에서는 흡연이 금지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승강기 내에서 흡연을 하는 것은 상도덕에 어긋나는 일이며 우리 아이들과 여성들에게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승강기 내에서 흡연을 하는 사람을 추출하여 포렌식 증거 자료로 제출하기 위해서이다. 방법은 흰색 막대를 입에 물거나, 연기를 내품는 사람을 추출하는 것이다. 방법은 장면 전환 검출에서 ${\chi}^2$ 히스토그램 방법으로 추출한다.

  • PDF

강건한 장면 전환 검출 기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내의 흡연 추출 (Extraction of Smocking in Elevator Using Robust Scene Change Detection Method)

  • 이강호;신성윤;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89-95
    • /
    • 2013
  • 엘리베이터 내의 흡연은 경범죄에 속하는 범죄 행위이다. 엘리베이터 내의 흡연은 커가는 우리 아이들과 약한 여성들에게 매우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이러한 범죄 행위인 흡연을 범하는 범죄자를 추출하고자 한다. 추출 방법은 변형된 컬러-X2-test를 이용하여 차이값을 추출하고, 이를 정규화 한다. 다음으로, 4-단계의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프레임들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지점을 찾아 낸다. 마지막으로, 비디오에 저장된 대량의 영상에서 흡연 영상의 검색 및 추출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에서는 장면 전환 검출 과정과 검출 수와 검색 시간별 검색된 비디오의 수가 나타나 있다. 추출된 흡연 영상은 경찰서나 법원에 증거 자료로 제출하고자 한다.

담배 연기중(煙氣中)의 유해물감소(有害物減少)에 관한 연구(硏究)[제이보(第二報)] -용매추출(溶妹抽出)의 영향(影響)- (A Study on the Reduction of Harmful Compound in Cigarette Smoke [Part II] -Influence of solvont extraction-)

  • 박택규;김기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8-63
    • /
    • 1979
  • 담배향기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엽중(葉中)의 nicotine이 용매추출(溶媒抽出)로서 제거되는 효과를 규명하고 연기중의 tar, nicotine함량(含量) 및 무처리(無處理)와 처리(處理) 담배에 대한 이화학성(理化學性)을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알콜추출로 황색종잎담배의 전질소함량은 36.4%가 감소(減少)되었고 당(糖)은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2) 용액의 침지시간이 길수록 엽중(葉中)이 nicotine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고 산성용액이나 알칼리성용액을 첨가한 용액에서도 대체로 같은 결과를 얻었다. 3) 열중량분석(DTG)골선은 담배성분중 $150^{\circ}{\sim}350^{\circ}C$에서 분해(分解)되거나 휘발되는 성분이 추출되었음을 나타냈다. 4) 3% 알콜용액 추출에서 (1) filling power는 황색종과 burley 각각 10%와 24%의 개선효과(改善效果)가 있었으며, (2) 연소성(燃燒性)은 burley와 황색종담배에 각각 3분과 2분이 단축되었으며, (3) nicotine의 감소율(減少率)은 burley와 황색종 담배에 각각 61.5%와 54.5%이었고, (4) tar의 감소율(減少率)은 burley와 황색종 담배에 각각 23%와 15%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