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textile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인체형상과 3차원 동작분석에 의한 방화복 소매패턴 개발 (Development of Sleeve Patterns of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using by 3D Body Shape and 3D Motion Analysis)

  • 한설아;남윤자;윤혜준;이상희;김현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9-121
    • /
    • 2012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ergonomics patterns for the sleeve of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through 3D motion analysis in order to ensure efficiency and safety of firefighters who are exposed to harmful environment at work. A new research pattern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total results of 3D motion analysis, changes of body surface length measurements, and 2D data on 3D body shape analysis on the size 3 patterns of the existing coat sleeve. For the sleeves, we used the body surface length of the range of shoulder's flexion and the joint angle of the range of wrist's ulnar deviation. And for the production of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using the research pattern, we recruited a recognized producer of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designated by KFI. Unlike everyday clothes,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should be able to fully protect the wearers from the harmful environment that threatens their lives and should not cause any restrictions on their movement. Therefore, the foc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ch protective clothing should be placed on consistent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that will provide protection and comfort for the wearer rather than production cost reduction or operational effici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applied 3D motion analysis instead of the existing methods to develop the patterns. In particular, since 3D motion analysis enables the measurement of the range of motion,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rgonomics patterns that consider workers' range of motion.

소비자 조사와 착의 실험을 통한 온도감응형 기능성 의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rmo-sensitive Clothing Development by Consumer Investigation and Wearing Test)

  • 상정선;정경화;박주현;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0-100
    • /
    • 2017
  • In this research, consumer awareness investigation and wearing test were carried out for obtaining useful data on the development of thermo-sensitive functional clothing material. A survey involved 216 people in Seoul and Kyeonggi-do, and 200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using SPSS 17.0. Four healthy men in twenties were participated for wearing test. Subjects in normal loungewear were exposed to temperature change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30^{\circ}C$ down to $5^{\circ}C$ for an hour in a climate chamber.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of garment and skin were measured. As a result, most of respondents have all season clothing products such as underwear, hosiery, and jogging suit for loungewear. Also, thermo regulator y functional clothes are frequently used as underwear and sweat shirt. The consumer awareness investigation on thermo regulatory functional clothing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key buying factor is quick climate temperature response, easy maintenance, design and cost, in that order. Surface temperature of garment went down with the cooling down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 lower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 greater temperature difference by body part showed. Skin temperature change by environmental temperature showed similar tendency of garment surface temperature. In comparison between garment surface and body skin, temperature difference became larger under the lower environmental temperature.

Capillarity-Driven Self-Assembly of Silver Nanowires-Coated Fibers for Flexible and Stretchable Conductor

  • Li, Yi;Chen, Jun;Han, Xiao;Li, Yinghui;Zhang, Ziqiang;Ma, Yanwen
    • Nano
    • /
    • 제13권12호
    • /
    • pp.1850146.1-1850146.9
    • /
    • 2018
  • The rapid development of smart textiles requires the large-scale fabrication of conductive fibers. In this study, we develop a simple, scalable and low-cost capillary-driven self-assembly method to prepare conductive fibers with uniform morphology, high conductivity and good mechanical strength. Fiber-shaped flexible and stretchable conductors are obtained by coating highly conductive and flexible silver nanowires (Ag NWs) on the surfaces of yarn and PDMS fibers through evaporation-induced flow and capillary-driven self-assembly, which is proven by the in situ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The density of Ag NWs and linear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fibers could be regulated by tuning the assembly cycles. A linear resistance of $1.4{\Omega}/cm$ could be achieved for the Ag NWs-coated nylon, which increases only 8% after 200 bending cycle, demonstrating high flexibility and mechanical stability. The flexible and stretchable conductive fibers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in wearable devices.

국내외 발열의류의 디자인 요소 및 발열시스템 분석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Heating System of Domestic and Foreign Commercial Electrical Heated Clothing)

  • 김규연;김시연;임대영;하지수;정원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3-289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heated clothing in relation to fashion trends by analyzing constructive components of clothing using product images and actual products. A total of 91 images of domestic and foreign heated clothing products were collected, and a product analysis conducted with six parameters of item classification, namely, concept and image, silhouette, color, number of heating elements, and heating parts. In addition, an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11 products among them, while focusing on further detailed components of the design and heating system. As a result, the overall exterior design of domestic products has been changed from outdoor clothing to daily clothing reflecting the current design trend. Compared with domestic products, foreign products showed a diverse assortment and a greater number of heating regions per individual item of clothing. The current heating system commonly consists of a heating element, power source, controller board, and wires, although the existence and type of switches differed from product to product. To develop a more efficiently heated clothing to expand the market, the design, ease of use, safety, consumer preference, heating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design recommendations for future heated clothing, this study also provides a practical guide to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design of the components of heated clothing.

재활용 의류와 그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에 미치는 영향 (Recycled Clothes and Its Characters Impact on Consumers' Consumption)

  • 하로요;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59-167
    • /
    • 2021
  • 자원 고갈, 생태 파괴 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패션 산업 사슬을 녹색 에너지 절약 방향으로 발전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집단의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에 대한 태도와 심리를 탐구하고 재생 방직품 또는 재제조 의류 원단에 대한 그들의 구체적 인식과 태도를 탐구하는데 취지를 두었다. 본문은 구제 의류의 특성이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련 문헌자료를 찾아본 기초에서 소비자에 영향을 주는 일련의 결정적 요소와 재생품의 표현 가치, 사회적 가치 등 특징을 확정했다. 이 이론적 배경에 근거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설계했으며 총 226개의 유효 응답을 받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가치와 환경보호에 대한 중시가 소비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는 전체 녹색 환경보호와 생태 의류 회수 산업 체계의 연구에 도움이 되며 의류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한다.

초음파 세탁과 가정 세탁의 세척성과 직물변형 비교 (Comparison of Detergency and Fabric Deformation between Ultrasonic and Home Laundry)

  • 황나원;정혜원;이광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6-397
    • /
    • 2023
  •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ultrasonic washing in cotton and wool fabrics was compared and evaluated against conventional washing in terms of cleaning properties and fabric deformation. Factors such as washing temperature, time, liquid ratio, and detergent concentration were kept varied, and the cleaning properties of sebum-soiled fabrics were assessed using different detergents such as alcohol ethoxylate, linear alkylbenzenesulfonate, and IEC 60456 Reference Detergent A*. In addition, the effects and emulsification power of enzymes and oxygen bleach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cleaning properties with general washing, a launder-O-meter was used. To investigate fabric deformation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loosening test cloth, shrinkage test cloth, and mechanical strength test cloth were compared between ultrasonic washing machines and household drum washing machines. The results indicate that ultrasonic washing exhibits superior cleaning properties than launder-O-me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nd the washing time is short. Furthermore, there is less deformation and damage during the washing proces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activity of the detergent increases when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o the washing process. Considering the increasing tendency to pursue convenience and simplicity in clothing management as well as the anticipated commercialization of smart clothing with built-in electric circuits, ultrasonic laundry could serve as a new alternative to existing laundry methods.

동작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를 위한 직물 센서의 성능 평가: 더미 실험을 중심으로 (Performance Evaluation of Fabric Sensors for Movement-monitoring Smart Clothing: Based on the Experiment on a Dummy)

  • 조현승;박선형;강다혜;이강휘;강승진;한보람;오정훈;이해동;이주현;이정환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25-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직물을 기반으로 동작 센서로 구현하여 팔의 굽힘, 폄 동작에 따른 센서의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관절 동작을 효과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직물 센서의 요건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편직물인 'L'직물과 'W'직물 양면에 Single Wall Carbon Nano-Tube(SWCNT) 코팅을 한 후 이를 다양한 형태로 후가공하여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암 밴드에 부착하였다. 직물 센서는 코팅용 바탕 직물의 종류(2가지), 센서의 부착 방법(2가지), 센서의 layer 수(2가지), 센서의 길이(3가지), 센서의 너비(2가지)의 총 48개로 구성되었다. Con-Trex MJ에 48개의 암 밴드를 입힌 인체 모형 팔을 대상으로 직물 동작 센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인체 모형 팔에 입혀진 총 48개의 암 밴드 각각에 대해서 frequency: 0.5Hz, ROM: $20^{\circ}{\sim}120^{\circ}$ 에서 굽힘과 폄 동작을 반복하도록 조정하였고, 48개 각 사례 당 세 세트(set)씩 반복 측정한 전압값을 기록하였다. 전압값을 peak-to-peak voltage(Vp-p)의 base line의 균일성, 동일 세트 내 Vp-p의 균일성, 세 세트 간의 Vp-p의 균일성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 SWCNT 코팅된 'L' 직물을 두 겹으로 구성하여 열고정 방식으로 부착한 $50{\times}5mm$, $50{\times}10mm$, $100{\times}10mm$ 크기의 직물 센서와, SWCNT 코팅된 'W' 직물을 두 겹으로 구성하고 열고정 방식으로 부착한 $50{\times}10mm$ 크기의 직물 센서가 전체 변화율 5%이내의 가장 균일하고 안정적인 신호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SWCNT 코팅 소재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해 직물 센서로 구현했을 때 인체의 사지 동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최적의 센서 형태를 규명하였다.

혁신기술수용모델의 관점에서 고찰한 MP3-playing 의류와 생체신호 센싱 의류의 수용도 (The Consumer Acceptance of MP3-playing Clothing and Bio-Signal Sensing Clothing Considered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채진미;조현승;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289-2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MP3-playing 의류와 생체신호 센싱 의류 제품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용모델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품종류에 따른 구성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5.0 package를 사용하여 t-test를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제품종류에 따라 각 경로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AMOS 5.0을 이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557부의 온라인 설문에 대한 유효 표본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MP3-playing 의류를 높게 인식하였으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가치, 태도, 수용의도는 모두 생체신호 센싱 의류를 MP3-playing 의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된 제품의 판매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투입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들의 태도나 수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품의 종류에 따른 특성상 소비자들의 수용모델에 있어서 경로의 차이도 발생했다. 생체신호 센싱 의류의 경우 MP3-playing 의류에서는 지지되었던 '지각된 유용성$\rightarrow$태도' 경로가 기각되었고 '지각된 가치$\rightarrow$태도'의 경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P3-playing 의류보다 지각된 가치의 매개 역할이 더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찰해 볼 때, 스마트 의류는 이제 상용화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구매의사결정과정 중 필요의 인식이나 정보의 탐색단계에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필요한 효과적인 상용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친환경 감성 어휘의 종류별 사용빈도 및 변화 양상 (Appearance Frequency of 'Eco-Friendly' Emotion and Sensibility Words and their Changes)

  • 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07-220
    • /
    • 2011
  • 친환경 감성단어를 '환경/자연, 소재/섬유, 인간, 형용사/기타' 등의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단어에 대하여 그 출현시점, 빈도를 1999~2010년 상반기 간의 인터넷 섬유패션 신문 및 잡지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장 빈번히 출현한 단어는 '자연, 환경, 면, 천연섬유, 건강, 신선한, 맑은, 보존, 하모니, 옥수수섬유, 로하스' 등이었다. '친환경' 관련 감성단어의 출현시점을 살펴보면, 2000년도 이전부터 '에코, 형상기억소재, 오가닉, 스파' 등이 사용되어왔으며, 2000-1년도에 '자연환경, 친환경, 스트레치소재, 웰빙의, 대체가능한, 재생가능한' 등이 등장하였다. 2002-3년도에 '스마트소재, 친환경소재, 그린' 등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2004-5년도에 '쿨비즈, 로하스, 자연염색' 등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2006-7년도에 '한방, 지속가능한, 웜비즈' 등이 사용되었고, 2008-9년도에 '그린슈머, 그린라이프, 태양에너지, 삼림욕' 등이 섬유패션 분야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친환경 감성단어의 출현 양상을 살펴보면, 친환경 감성단어의 출현은 과거 어느 때보다 2008-09년도에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었는데 2000년도 초반에는 비교적 많이 등장하였으나 이후 다소 주춤하였고 이는 근래에 들어 다시 출현빈도가 높아졌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환경/자연' 관련 친환경 감성 단어가 과거보다 최근에 두드러지게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비해 '인간' 관련 단어는 주춤하여 약간 감소세이거나 동일한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형용사/기타' 관련 단어는 약간 증가세이거나 과거와 동일한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소재/섬유' 관련 단어는 패션잡지에서는 최근에 그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인터넷 신문에서는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대우한국시상령수차대적연구(对于韩国时尚零售借贷的研究) (An Exploratory Study on Fashion Retail Borrowing in Korea)

  • Lee, Mi-Young;Kim, K.P. Johnso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70-79
    • /
    • 2010
  • 现在已有一些旨在解决韩国不道德消费行为的研究, 然而大部分研究把重心放在购买假冒伪劣产品或者入店行窃上. 服装的高额回报率和曾经的服装回扣被认为是时尚产业的问题领域. 然而, 很少研究者致力于这一问题的解决. 因此, 本研究目的在于, 通过使用一种混合的方法路径来探讨消费者零售借贷的经验. 实验一主要通过小组面谈的方式来探讨韩国消费者零售借贷的经验. 实验二通过在线调查的结果显示服装消费者对于零售借贷行为的态度. 调查结果促进了研究人员和从业人员对于零售借贷行为的理解, 同时也深入洞察了服装零售业中的零售借贷问题. 在研究1中, 我们把在过去一年中有零售借贷行为的人分成七组进行五次集中讨论. 参加了这次讨论的韩国消费者中, 有35个在大城市居住. 大部分消费者都是20来岁(21岁), 且以女性居多(24个). 大部分的参与者从一个零售商处购进一批服装, 然后对旧的衣物不是要求全额退款就是就是要求将旧的衣物更换成新的. 零售借贷行为的动机包括社会需要, 工作需要, 时尚需要和 "智能购物" 的理念. 与其他国家现有的研究的结论相似, 在分析时装商店的零售借贷现象时, 最经常被提到的原因是社会需要. 而消费者的道德价值观, 对大公司的态度, 以往的借贷消费经历, 也被认为是影响消费者的零售借贷行为的可能因素. 在研究2中, 收集数据的问卷是基于第一部分研究的成果和其他现有研究结果设计的. 问卷的问题主要关注消费者的道德信仰, 寻求刺激的倾向, 自我价值, 过去的零售工作经验, 零售贷款的经验, 以及他们的一些群体特征等等. 数据的收集是由首尔一家商业网络研究公司的在线调查小组来完成的. 为了保证样本的多样化和有效性, 该公司设计了这样的抽样配额(男: 女= 1:1, 20岁: 30岁: 40岁= 1:1:1, 零售经验: 没有零售经验= 1:3). 共有401个在前6个月有过购买服装经历的消费者参加了这次网上调查. 结果显示19.7%的受访者都表示他们曾经有过借贷购买时尚商品的经历. 在这些受访者中, 男性借贷人约占57%, 多于女性借贷人. 通过年龄的分布来看, x2 显示在拥有或者没有零售借贷经历的受访人之间存在着统计学上的差异: 有41.8%的受访者是在40岁的时候拥有零售借贷经历, 而那些没有零售借贷经历的受访者大约分布在20岁到40岁之间. 在收入方面, 拥有或者没有零售借贷经历的受访者之间也有很大的不同: 前者较于后者, 收入要高一些. T测试主要是在有或者没有零售借贷经验的受访者之间进行比较, 对比他们的时尚购物行为, 道德信念, 感觉寻求的倾向和对零售借贷行为的态度. 与那些没有借贷经验的受访者相比, 有经验者更趋向于频繁的购买时尚物品或者花费更多的钱用在购买时尚物品上. 有借贷购买经验的顾客往往比无经验者有更高的寻求新奇刺激的倾向. 一份回馈的分析表明对于时尚物品零售借贷购买的态度和顾客的道德信仰呈负相关, 但是与每月购买时尚物品的频率, 对新奇事物感觉趋向的走势以及过去的时尚物品零售借贷的经验呈正相关. 在这些变数之中, 过往的零售借贷经验是最重要的预测因素, 道德信念紧随其后. 本次研究作为初次尝试旨在了解零售借贷行为基础背后的动机和影响这些行为的要素. 这次研究的结果可以使我们对消费者零售借贷行为有更深一步的理解, 并为解决方法提供一个基础, 以帮助减少零售借贷行为和时装零售商店的不适当回扣. 这个结果也可以长期为消费者教育提供资料. 为了更好的理解时尚零售借贷行为, 未来还有更多的研究亟待进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