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Government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gional Industrial Policy by Linking Cluster Policy with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이종호;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99-811
    • /
    • 2016
  • 참여정부 이후에 명시적 및 암묵적 형태의 다양한 클러스터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산업집적지 경쟁력의 근본적 강화를 위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대안적인 지역산업정책 도구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 이론이 기존의 클러스터 정책과 어떠한 이론적 및 정책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 수립을 위해 어떠한 함의를 제공하는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은 지역특수성에 토대를 두고 산 학 관의 자발적 협력에 기초한 혁신의 합의공간(consensus space) 구축을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집적지의 관련 다각화 기반을 활용한 신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스마트성장 기반 RIS 전략모형 연구 (A Strategic RIS Model for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based upon Smart Growth)

  • 이희원;이상규;김도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094-3099
    • /
    • 2010
  • 주택문제, 도심 오픈 스페이스의 감소, 난개발, 교통체증, 도심쇠퇴와 같은 문제점을 겪고 있는 현대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논의함에 있어서 도시성장관리는 지방자치정부의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지속가능성을 가능케 하는 실천전략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성장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는 지속가능한 전략을 일관성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결여된 자치단체의 내부구조상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시스템(RIS)에 기반하여 각종 도시성장관리 전략에 있어서 지속적인 선순환 구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지방정부조직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주경로 예측 및 추적 시스템 (Escape Route Prediction and Track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양범석;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30-1135
    • /
    • 2022
  • 서울특별시는 25개 구청에 7만5천여대의 CCTV가 설치되어 있다. 각 구청은 CCTV관제를 위한 관제센터를 구축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해 24시간 CCTV영상관제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유관기관과 MOU를 체결하여 긴급/응급 상황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청의 CCTV영상을 제공하여 시민이 안전한 스마트시티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 관할구청에서 사건 발생 시, CCTV영상에 대해 인공지능 DNN 기반의 Template Matching 기술, MLP 알고리즘과 CNN 기반으로 YOLO SPP DNN모델을 사용하여 사람과 차량을 판별하여 도주경로를 예측한다. 또한, 관할구청을 이탈하여, 차량 및 사람이 도주 시, 인접 구청에 영상정보와 상황정보를 자동전파 하도록 설계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주경로 예측 및 추적 시스템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전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 구축방안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romoting Self-Reliant Islands Using Ocean Energy)

  • 이웅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1-7
    • /
    • 2023
  • 본 연구는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 구축에 대한 정책 방향을 문헌 고찰하였다. 즉, 에너지 자립섬 사업 계획 수립시 전략적인 해양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해양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선제적으로 부지선정을 진행하자는 제안도 제시하였다. 특히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건설 및 운영과정에서 해양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자립 섬 추진에 중요한 해양환경 영향 데이터 확대방안 모색과 섬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정부 주도 스마트그리드 사업단과 한전이 협력할 때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였다. 이처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주민주도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한전은 스마트그리드사업단 등 전문 공공기관과 협력해야 한다. 셋째, 전략적 해양환경영향평가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지속적인 해양환경 영향조사를 시행해야 한다 등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시티 조례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of Municipal Governments: Using Topic Modeling)

  • 서형준
    • 정보화정책
    • /
    • 제30권1호
    • /
    • pp.41-66
    • /
    • 2023
  • 본 연구는 72개 지자체의 74개 스마트시티 조례를 대상으로, 지자체 스마트시티 조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조례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조례의 키워드에 따른 주제분류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키워드는 스마트도시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키워드가 조례 내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조례에 대한 토픽모델링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분석결과 관련 키워드에 따라 총 8개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주제-1(스마트시티 추진사항 보안), 주제-2(스마트시티 산업진흥), 주제-3(스마트시티 주민협의체 구성), 주제-4(스마트시티 추진체계 지원), 주제-5(개인정보 관리), 주제-6(스마트시티 데이터 활용), 주제-7(지능정보화 행정구현), 주제-8(스마트시티 홍보) 등으로, 주제의 비중은 주제-6, 주제-4, 주제-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주제분류는 수도권은 주제-5, 주제-6, 주제-8 의 비중이 높았고, 지방권은 주제-2, 주제-3, 주제-4의 비중이 높아 수도권은 스마트시티의 실질 운영 관련 주제가 높았고, 지방권은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준비단계 관련 주제 비중이 높았다.

새로운 ICT 기반 서비스에 대한 연구 : N-디바이스 스마트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 ICT baced Services : Focused on N-Device Smart Education Services)

  • 강상욱;박승범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1-175
    • /
    • 2012
  • A novel concept of ICT based service, which is called N-device service,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e form of N-device smart education services. The N-device service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N-screen services in terms of the number of devices a user is using for a specific service at the same time. A N-device service consists of several smart devices which are different in size, software and hardware platform, mobility, manufacturer and the like by ful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device. The major and unique features of N-device services are analyzed and depicted in a strict way. Those are shared role for each device, service by configurable device, one sensor multiple use, real-time data sharing, role shifting and new market creation. It is turned out that the N-device service is more human centric compared with existing ICT based services and can give richer digital experience to users because non-existent services become possible with the new concept. However, there exist several barriers to be implemented and commercialized in the real world. Those include high development cost and time, small market and different application platforms of devices. These barriers can be overcome by technical advances and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The smart education is very prominent area, in which the novel concept can be applied with high priority becaus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plan to boost up new educational services with big budget and these are acceptable by enthusiastic Korean parents and students. That's why the N-device service is implemented in the education area, which is called as "livessam(live teacher)," with four smart devices, IPTV, tablet PC, PC and smart phone. By providing both detailed service scenario and techniques, we shows that the novel education service is technically feasible and acceptable by teachers and students.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디바이스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정보격차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 Moderating Effects of Mobile Divide)

  • 설중호;여등승;임규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3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divi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periods from May 12, 2017, to May 17, 2017.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self-efficacy, information seeking desire and culture capita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obile divide,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calculating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bile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bile literacy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use outcomes of smart de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information desire for ICT technology users are. In addi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mart device is convenient in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therefore, it is highly utilized. Next, among those who have excellent mobile use ability, those who have high confidence in ICT technology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low utilization because they recognize that the benefits provided by smart devices are familiar and natu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digital divide problem in the smart environment is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we expect the government to set appropriate poli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SmartQ : 모바일 큐 관리 시스템 (SmartQ : Mobile Queue Management System)

  • 김율헌;김영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12
    • /
    • 2016
  • 일반적으로 은행, 관공서, 병원과 같이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는 대체로 고객에게 일정 시간의 대기시간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고객의 방문 순서에 따라 고객 대기번호가 기재된 순번대기표를 뽑아 순번을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대기 중인 고객은 현재 처리중인 대기 순서를 항상 확인해야 하므로 대기번호표시부가 보이는 장소 내에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어 다른 장소에서 별도의 업무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번호를 발급하는 어플리케이션인 SmartQ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SmartQ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대기번호 발권기를 대체하여 편리하게 순번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서비스 알림, 대기인원, 시간대별/업무별 예상대기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웹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워크 지원 연구과제 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Research Task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 Smart Work Considering Web Accessibility)

  • 구승환;안경석;이광모;최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48
    • /
    • 2013
  • 본 연구는 웹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워크 지원 연구과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재 기업이나 정부에서는 스마트(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업을 관리하거나 운영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시간적인 차원에서도 효율적이라는 점이 부각되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으나 실제 이를 반영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경우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에 앞서 HTML5와 웹 접근성, 스마트워크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HTML5를 기반으로 웹 접근성을 준수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웹 접근성을 준수하는 스마트 기기 환경 기반의 시스템 개발에 있어 유익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사용자를 지향한 스마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한국형 스마트워크 센터 설계 및 구축 (Design & Construction of Korean Type Smart Work Center on the basis of User-Oriented Smart Work System)

  • 구건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3-81
    • /
    • 2013
  • 본 논문은 사용자를 지향한 스마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한국형 스마트워크센터 설계 및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한국의 정보통신기술의 강점을 토대로 사용자를 위해 법제도의 개선과 근무방식의 변화 그리고 정보보안의 강화 방안을 연구 하였고, 우리 정부의 계획과 선진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실정과 효율성을 고려한 한국형 스마트워크 센터를 제안했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상황인지와 실감형 스마트워크 협업 환경을 통해 국가적 현안을 해결하고 지식산업 및 창조기업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한다. 그 결과 스마트워크는 지식근로자들이 창의적인 업무를 창출하고, 국가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업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그 결과 성능평가에서도 미국, 일본, EU에서 제안한 스마트워크 시스템의 만족도 조사에서 5개국의 5개 항목 평균값이 55.23%인 반면 한국형은 75.41%로 한국형 스마트워크센터가 외국의 사례보다 20.18%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