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onvergence

검색결과 3,510건 처리시간 0.029초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Skin barri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tasites japonicus)

  • 김채현;문외숙;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8-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머위에탄올추출물 (PJE)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UVB로 유도된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를 통해 피부장벽과 염증 개선에 대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1 m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filaggrin과 aquaporin-3의 생성능의 mRNA의 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UVB 자극에 의해 줄어든 발현량이 머위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NF-𝛼와 IL-1𝛽의 mRNA 발현은 UVB 자극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머위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gration assay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 각질세포의 증식과 상처의 회복율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머위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편백 오일의 항주름, 피부 장벽 및 보습능 평가 (The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oil on anti-wrinkle, skin-barrier and moisturizing)

  • 강은정;장영아;이진태;김성희;김소현;박지아;최윤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09-321
    • /
    • 2023
  •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남쪽 지역에서 주로 잘 자생한다. 편백나무의 목재는 재질이 우수하여 가구로서의 활용이 높으며 남은 목재, 가지, 잎은 정유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 편백 정유는 항염, 향균, 탈취, 진정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편백나무의 잎에서 추출한 오일이 주름 개선, 피부 장벽 및 보습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DPPH assay와 ABTS assay를 통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편백 오일은 두 가지 라디칼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소거하였다. 그리고 주름 생성 억제 효능 평가를 위해 elast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편백 오일은 elastase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real-time 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편백 오일은 인간섬유아세포에서 MMP-1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편백 오일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에서 filaggrin과 HAS-2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편백 오일은 주름 개선과 피부 장벽 및 보습능 강화에 도움을 주어 항노화 화장품의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알칼리계 활성화제의 종류 및 첨가량이 고로슬래그-제올라이트 지오폴리머 페이스트의 탄소포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Alkali Activator Type and Amount of Addition on CO2 Uptake of GGBFS Geopolymer Pastes Containing Zeolite)

  • 박장현;김효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12-11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제올라이트로 구성된 지오폴리머 페이스트의 알칼리계 활성화제(Ca(OH)2, CSA)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른 압축강도 및 화학적 조성의 변화와 CO2 포집량을 비교평가 하였다. 지오폴리머 페이스트에 첨가되는 알칼리계 활성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굳기 전 페이스트의 유동성은 감소하였으며,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활성화제 종류에 따른 평가 결과, CSA보다 Ca(OH)2를 첨가하는 것이 압축강도 향상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CO2 양생에 따른 화학적특성의 변화를 비교평가 한 결과, 모든 실험 수준에서 알칼리계 활성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산화 전 C-S-H, C-A-S-H gel의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탄산화 이후 CaCO3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알칼리계 활성화제 첨가로 인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제올라이트의 반응성이 증가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응성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열중량 분석결과, 알칼리계 활성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O2 양생에 따른 CaCO3 분해구간 에서의 질량감소율이 증가하였으며, 10 % 첨가 시 Ca(OH)2의 경우 10.3 wt%, CSA의 첨가 시 8.77 w%의 CO2 uptake가 발생하였으며, 활성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각 4.21배, 3.88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2O2 Generating Ability and Multi-Drug Resistance of Lactic Acid Bacteria Required for Long-Term Inpatient Treatment with Antibiotic Resistance

  • Yuk, Young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227-239
    • /
    • 2022
  • Purpose: In our study, in order to find lactic acid bacteria (LAB) with multi-drug resistance to antibiotics, we isolated 140 strains from 15 types of kimchi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and 20 types of Kimchi made at home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6, and investigated their H2O2 generating ability and multi-drug resistance to antibiotics. Methods: In order to observe the H2O2 generation ability of LAB, we performed the experiment with methods such as Rabe, Hillier, and Kang. To test the antibacterial susceptibility of LAB, we used the disc agar diffusion method using MRS agar (Difco, USA) according to the CLSI and WHO test methods. There are 18 types of antibiotic discs used. Results: Out of the total numbers of 140 strains, 6 strains of Ent. Faecium, 25 strains of L. plantarum, 1 strain of L. rhamnosus, 3 strains of L. sakei, 1 strain of L. acidophilus, 1 strains St. thermophilus, and 7 of unidentified strains generated H2O2.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Ent. Faecium indicated SXT, OX, NA, and E; an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L. plantarum indicated NA; an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 thermophilus indicated NA, CC, RA, CTT, CM, and P ; an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L. rhamnosus indicated SXT, VA, NA and CTT; an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6 strains of L. sakei indicated SXT, OX, NOR, NA, CTT and CIP, all indicating antibiotic resistance. In the case of multi-drug resistance to antibiotics for 53 strains of L. antarum, 8-drug resistance was the most common with 25 strains, followed by 7-drug-resistant strains with 18 strains, 9-drug-resistant strains with 4 strains, 6-drug-resistant strains with 3 strains, 5-drug-resistant strains with 2 strains, and 17-drug-resistant strains with 1 strain. In the case of multi-drug resistance to antibiotics for Ent. Faecium 27 strains, 9-drug resistance was most commonly identified as 9 strains, 8-drug resistance was identified as 6 strains, 7- and 11 drug resistances were identified as 4 strains each, and 4- and 6-drug resistances were identified as 1 strain each. Conclusion: Ent. Faecium, L. plantarum, L. rhamnosus, L. sakei, and St. thermophilus, shown to have anantibacterial activity in previous studies on LAB and shown to have and H2O2 generating ability, antibiotic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lay an excellent role for long-term inpatients to use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and to cope with emerging antibiotic resistance.

아쿠아포닉스 환경에서의 작물 면적 데이터 AI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I Analysis of Crop Area Data in Aquaponics)

  • 최은영;이현섭;차주형;이임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861-866
    • /
    • 2023
  • 화학비료와 넓은 공간이 있어야 하는 기존의 스마트팜과 달리, 수생생물과 작물간의 공생 관계를 활용하여 환경오염 및 기후 변화 등의 비정상적인 환경에서도 작물 재배가 가능한 아쿠아포닉스 농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해당 농법은 작물마다 생장에 필요한 환경과 영양분이 다르므로, 생장에 최적화된 수생생물 비율을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쿠아포닉스 환경에 영상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면적과 부피를 기준으로 생육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배설물을 통해 유기물 생성하는 여러 종류의 민물고기와 상추 작물을 아쿠아포닉스 환경에 생육을 통해 검증하였다. 상추의 2D와 3D 영상 분석과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추의 면적 및 부피 정보를 활용하여 생장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상추의 면적과 부피 정보를 활용하여 재배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수생생물과 생육 정보를 활용하여 농업인에게 생산 예측 서비스 제공과,변화하는 농업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작점이 되어줄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피복두께를 가진 RC 보의 부식 거동 및 초음파 속도 (Corrosion Behavior and Ultrasonic Velocity in RC Beams with Various Cover Depth)

  • 남진원;양현민;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84-191
    • /
    • 2023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부식이 증가함에 따라 부식생성물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고 하중저항 능력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140시간 동안 촉진염해시험(ICM)을 적용하여 부식을 유도하였으며 부식 전후의 초음파속도 변화, 휨파괴 하중, 부식생성물량을 평가하였다. 피복두께를 3수준(20 mm, 30 mm. 40 mm)으로 고려하였는데, 피복두께가 증가할수록 균열발생시기 및 부식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초음파 속도는 피복두께의 감소 및 부식생성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선형관계를 가지고 감소하였다. 휨파괴 하중의 경우 부식에 따라 10 % 이상 휨하중이 감소하였으나, 명확한 상관성을 도출할 수 없었는데, 이는 부식률이 작으므로 철근단면적의 감소 영향보다 슬립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피복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부식생성량 및 초음파 속도는 뚜렷한 선형관계를 가지고 변화하였으며, 부식으로 인한 균열발생 시간은 평가된 전류의 기울기를 분석하여 추측할 수 있었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SERVQUAL 모델을 이용한 중국 패션제품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창춘시 여대생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Chinese Fashion Product Live Commerce Using SERVQUAL Model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angchun, China-)

  • 류말;이영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9-68
    • /
    • 2024
  • 중국의 거대한 인구와 산업 다양화는 IoT에 대한 수요 증가를 견인하였으며, IoT기술 발전은 스마트 쇼핑을 포함한 개인 및 가정생활의 모든 측면을 변화시키고 있는 사회환경 속에서 본 연구는 중국 창춘시(长春市)에 거주하는 여대생의 패션니즈를 충족하고, 중국 패션제품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 개선을 통해 패션제품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모색을 목표로 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패션제품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 특성은 고객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 패션제품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 특성은 재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객 만족도는 재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을 개선하면 제품 판매를 직접적으로 촉진하고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인 패션제품 라이브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것을 토대로 지역별, 타깃별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제공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무선국 관리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제안 - 무선국의 자기적합성선언 제도 도입 검토를 중심으로 - (The Proposal on the Rational Reorganization of the Radio stations Management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SDoC for Radio Inspection for Telco )

  • 김호영;노원일;최성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37-746
    • /
    • 2023
  • 전파자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ICT의 핵심기반으로 경제적 가치와 활용도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유한자원인 전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국의 확산추세를 인식하고 변화하는 전파기술과 이용환경의 변화에 맞는 무선국 관리제도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무선국 주파수면허제 도입과 함께 무선국 준공검사를 자기적합성선언으로의 개편을 검토하는 정부계획에 기반하여 제도의 세부시행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자기적합확인제도는 무선국 운용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되는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전파 혼간섭 관리의 자율성과 책임을 부여하는 정책으로 기술규제인 무선국검사 기능을 정부와 민간과 효율적으로 분산한 점에 의미가 크다. 본 연구는 전파관리제도상 사업자에 대한 자율권 부여와 책임의 명확화를 위한 규제개선 정책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Development of smart car intelligent wheel hub bearing embedded system using predictive diagnosis algorithm

  • Sam-Tae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8
    • /
    • 2023
  • 자동차의 주요 부품인 휠 베어링에 결함이 생기면 교통사고등 문제를 발생시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수집해서 예측진단 및 관리 기술을 통한 휠 베어링의 고장 유무 및 고장 유형을 조기에 알려 주는 알고리즘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능형 휠 허브 베어링 정비 시스템 구현을 위해 신뢰성 및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용 센서 및 예측 진단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용된 알고리즘은 휠 베어링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진동 신호를 취득하고 이를 신호 처리기법, 결함주파수 분석, 건전성 특징 인자정의 등의 과정을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고장을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다. 구현된 알고리즘은 진동 주파수 성분들은 최소화하고 휠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진동 성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안정 신호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필터를 활용한 노이즈 제거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건전성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FFT를 통한 결함 주파수를 분석하여 고장 특성인자 추출을 통한 고장을 진단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 목표는 12,800ODR 이상으로 시험 결과를 통해 목표치를 만족하였다.

기업의 성과 제고를 위한 지식재산활동의 경영전략 연구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for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 이상호;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83-92
    • /
    • 2023
  • 본 연구 목적은 기업의 지식재산활동을 통한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경영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변화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023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활동에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창출활동과 활용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전략에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화 전략, 원가우위 전략, 집중화 전략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우위 전략은 지식재산활동의 창출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차별화 전략은 지식재산활동의 창출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차별화 전략은 지식재산활동의 활용활동과 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집중화 전략은 지식재산활동의 활용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여섯째, 벤처인증 여부에 따른 창출활동, 보호활동, 활용활동, 원가우위 전략, 차별화 전략, 재무성과, 비재무성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패권 시대에 지식재산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의 벤처 인증과 지식재산을 활용한 전략으로 경영성과를 상승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기업이 지식재산활동을 고려한 효율적인 전략 추진으로 성과가 극대화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