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Sized Manufacturing Fir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적 활용 연구: 구축 목적 및 내용이 지속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trategic Utilization of Smart Factory: Effects of Building Purposes and Contents on Continuous Utilization)

  • 오주환;김지대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4호
    • /
    • pp.1-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내용 -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활용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을 두 가지 요인 - (1) 생산성 향상, (2) 유연성 향상 - 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이 다음의 3가지 측면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내용 - (1) 자동화 영역(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2) 제조 빅데이터 기술 활용영역(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생산 프로세스의 점진적 개선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그리고 (3) 가치사슬 통합 범위(내부통합, 외부통합) -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어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이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업규모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 -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활용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총 151개의 표본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기업들의 구성은 중소기업 100개사와 대기업 51개사로 구성되었다. 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및 유연성 향상이라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모든 구축 내용 변수들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들로서 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내부 가치사슬 통합, 외부 가치사슬 통합은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구축 목적이 생산성 향상이냐 혹은 유연성 향상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기업규모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기업규모에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목적과 구축 내용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isallocation and Manufacturing TFP in Korea

  • OH, JIYO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8권3호
    • /
    • pp.37-52
    • /
    • 2016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llocative efficiency on productivit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Korea following Hsieh and Klenow (2009).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overall allocative efficiency declined from 1990 to 2012. Using the method of Oberfield (2013), which allows inter-industry resource movement as well as intra-industry reallocation, we confirm that intensified misallocation generally results from intra-industry allocative inefficiency. The potential loss from instances of worsening misallocation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0.6% points for each year, which is considerable in terms of the overall TFP. In terms of the firm size distribution, initially large establishments are more likely to expand if distortions are removed in most countries. One notable feature in Korea is that this pattern is pronounced. This implies that subsidies to unproductive small-sized establishments are heavily implemented.

  • PDF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기술결정요인, 제조운영 및 성과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chnological Determinants, Manufacturing Operations, and Performances for Implementing a Smart Factory in Small Businesses)

  • 권세인;양종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50-661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전환은 세계 경제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수많은 국가들은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업 부흥 및 경제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스마트공장 도입을 위한 기술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제조운영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 정의한 5가지 요인은 ① 센서 네트워크, ② 플랫폼 기술, ③ 정보시스템, ④ 지능형 자동화, ⑤ 안전이며,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157개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 기반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대 기술요인 중 센서 네트워크, 플랫폼 기술, 정보시스템이 스마트 제조운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 제조운영은 기업의 운영적, 환경적 성과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체계화한 것과 더불어 정부 지원사업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한편, 신규 도입을 고려하는 실무자에게 효율적, 효과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제조업체의 혁신활동 결정요인: 기업규모와 전유성의 역할 (The Determinants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novative Activity: Do Firm Size and Appropriabilities Matter?)

  • 송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65-577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규모와 전유성 등의 기술전략이 기업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데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한국기술혁신조사(KIS)의 2016년 2,003개 제조업체의 자료로 로짓회귀모형과 영과잉음이항회귀를 활용하였다. R&D 지출과 특허출원이 혁신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이용되었다. 설명변수로서는 기업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업 나이, 기술수준별 산업구분, R&D 종사자수, 벤처기업여부, 수출여부, 그리고 산업 전유 특성을 타나내는 네트워크, 전유방법, Spillover를 설정하였다. 우선, 실증적인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기업의 규모에 따라 혁신활동 결정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데에,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산업의 특성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았다. 규모가 작은 신생기업, 벤처기업, 혹은 수도권 소재기업일 때 혁신활동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략적 전유는 소기업 R&D 지출과 중기업의 특허출원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른 기업 또는 산업 간의 네트워크는 대기업을 제외한 기업들에서 혁신활동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업간의 기술적 상호작용은 기술 spillover과 혁신활동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나, 이 성과는 기업 규모와 산업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Role of Ope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Park, Hyo J.;Shin, Wan S.;Ju, Yong J.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77-496
    • /
    • 2014
  • Purpos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ith the data from 30 companies of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Korea. Methods: Th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distinguishing five hypotheses relating to development time, IP management, sales, firm size and R&D intensity.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via e-mail and fax. Small and medium-sized (less than 300 employees) and large industrial firms were chosen for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openness in its business mod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re: First,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development period of technology will be more favorable which gets benefit from rising costs of innovation. Second,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large portion of sales are created from new products. Thus, the problem of shorter product life in the market which affects large portion of market revenue can be solved through an open business model. Third, in general, R&D intensity, firm size and the level of IP management affect determination of business model typ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companies need to increasingly address their external technology exploitation process instead of focusing on their internal innovation processes.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표준화 전략 (Standardization Strategy of Smart Factory for Improving SME's Global Competitiveness)

  • 정선양;전중양;황정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45-571
    • /
    • 2016
  • 정보통신(ICT)의 발달은 제조업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제조공정에는 사물인터넷, 증강현실, 빅데이터와 같은 최신 정보기술이 적용되어 스마트공장이라는 이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은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등의 제조업에서 스마트공장을 활발히 도입함에 따라 기존의 제조기업들의 생산품질을 높이고, 생산 환경은 유연한 체제로 변화시키면서 미래 제조업을 앞당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제조업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대기업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기술적,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스마트공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지 못하다. 이같은 배경 속에서 본 논문은 스마트공장의 표준화가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의 활용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제하고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의 표준화 전략 및 확산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분석을 통하여 스마트공장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기술적 요인, 조직적 요인, 산업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도출 분류하고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대상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핵심이 되고 있는 뿌리산업이며, 특히 금형분야의 두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뿌리산업 중소기업들에게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표준화 전략 4가지, 즉 국제 표준화, 정부주도 표준화, 기업주도 표준화, 비표준화 추진 등을 도출 및 제안하였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ublic Procurement on the Productivity and Survivability of SMEs: Case of the Korean Mining and Manufacturing Sectors

  • CHANG, WOO HY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9권1호
    • /
    • pp.1-18
    • /
    • 2017
  •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effect of public procurement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firm-level data. Public procurement, the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from private firms by the public sector,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olicy measure for providing support to firms, particularly SMEs. This study uses establishment-level panel data of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ectors from the Korean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Statistics Korea) and procurement history from the Korean Public Procurement Service to empirically estimate the effects of public procurement on firms' productivity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survivability.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estimation method, we find that participating firms showed higher productivity than non-participating ones in the control group only for the year of participation, that is, 2009. After two years, in 2011, the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roductivity. In contrast, establishments that participated in public procurement for SMEs in 2009 were more likely to survive than those that did not do so in 2011.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government intervention. The market's efficiency enhancement is hindered if underserving companies survive owing to government intervention but fail to improve efficiency.

A Study of Innov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by a Hidden Champion Firm in Korea: The Case of CAP Corporation

  • SAMSON, Kouame Kouakou;LEE, Youngwoo
    • 4차산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0
    • /
    • 2021
  • Purpose - This case study analyzes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nd innovation strategy as ke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business success of CAP,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y in Korea producing auto parts such as wipers. This study describes the diversification strategies conducted by CAP Corporation and highlights the company's core competencies that have largely contributed to their global competitive succ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provides in-depth case study on how CAP was able to grow into a hidden champion company, focusing on their strategies since its establishment.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centering on CAP's aggressive innovation strategy a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it presents guidelin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sian countries to become a Hidden Champion company. Result - CAP's product technology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innovative system on their product called 'vertebra spring' to distribute uniform pressure to the rubber to ensure performance as well as durability of their products. In order to continue benefiting from utilizing core competence and to continue pursu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wiper industry, CAP has launched a wide range of products (flat blade, conventional blade, hybrid blade) applicable to 95% of the vehicle in the market. Conclusion - Taken together, CAP has many aspects of a hidden champion company by investing in R&D up to 8% of its annual sales to R&D investment even during the crises situation. This number is about 3.36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ratio of listed companies in Korea. Furthermore, the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team as well as their vision toward the global market and strong commitment to innovation enabled CAP to become the world's fifth-largest wiper and Asia's No. 1 wiper manufacturer.

제조 기업의 정보 원천과 제품 혁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부의 규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ource and Product Innovation in Manufacturing Firms: Focusing on Government Regulation)

  • 오건택;정의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07-120
    • /
    • 2024
  •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 원천과 시장 최초 제품 혁신과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기업의 내부 및 외부 정보 원천이 시장 최초 제품 혁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정부의 규제가 (경제적, 사회적 및 행정적 규제) 기업의 시장 최초 제품 혁신에 어떤 영향으로 작용하는지를 제도 이론(Institutional Theory)의 관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시장 최초 제품 혁신, 내부 및 외부 정보 원천, 그리고 경제적, 사회적 및 행정적 규제가 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2020)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데이터는 제조 분야의 중소기업을 기반으로 사용되었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총 586개의 기업이 사용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내부 및 외부 정보 원천 및 정부의 규제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혁신성과 및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ausal Links from Innovative Activities to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v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김건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6-173
    • /
    • 2014
  • 기술혁신을 포함한 기업의 혁신이 기업과 산업의 성장 및 경쟁우위에 기여한다는 연구는 많으나, 주로 연구개발 집약도 또는 특허로 측정되는 기술적 혁신의 성과 검증에 집중되어왔다. 또한 혁신의 단계 또는 프로세스에 관한 기존 모형들은 대부분 기술 혁신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창출-기술개발-혁신성과 도출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형들은 지식의 창출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거나 기술적인 혁신에 국한된 지식의 변환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혁신 모형을 확장하여 혁신 활동부터 기업의 운영성과와 재무적 성과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경로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인과적인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활동이 늘어나면 신제품 출시, 공정혁신, 특허출원과 같은 혁신의 성과가 늘어나고, 혁신성과는 기업의 운영성과를 높이며, 운영성과는 매출성장률을 향상시키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둘째, 종속변수가 혁신성과, 기업운영성과, 재무적 성과의 방향으로 혁신의 직접적인 성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혁신활동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혁신성과가 매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는 소기업이 중기업보다 높으며, 중기업의 경우 혁신성과는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 혁신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혁신의 전유성은 혁신성과, 특허출원건수, 기업운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