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bowel intussuscept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반복적으로 발생한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 1예 (A Case of Recurrent Transient Small Bowel Intussusception)

  • 문윤희;윤민정;김수연;나영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70-74
    • /
    • 2006
  • 저자들은 6개월간의 만성적 반복적 복통을 주소로 한 환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와 소장 조영술로 반복된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을 발견하였고 보존적 치료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에서의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transient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children)

  • 허지승;서은민;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관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500-505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는 대장형 장중첩증과 비교하여 소아에서 일시적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양상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과에서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은 21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소장형 장중첩증과 대장형 장중첩증으로 분류하여 후향적 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전체 210례 중 191례는 대장형이었고 19례에서 소장형이었다. 결 과 : 소장형 장중첩증은 평균 나이가 29.5개월로 대장형 장중첩증(21.2개월)보다 많았으며, 혈변이나 복부 종괴 등의 전형적인 증상은 드문 편이었다. 치료에 있어서 대장형 장중첩증은 공기 주입식 정복술이 92.2%, 수술적인 정복이 7.3%였던 반면, 소장형 장중첩증은 78.9%가 자연 정복되었으며 수술적인 처치를 한 예는 없었다. 결 론 : 성인과는 달리 소아에서의 소장형 장중첩증은 자연 정복이 많고 수술적 치료가 드물며 소아에서의 대장형 장중첩증에 비해 발생 연령이 많았다. 또한 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적으므로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자궁내막암의 단독 소장 전이로 인해 유발된 공장-공장 장중첩증: 증례 보고 (Isolated Small Bowel Metastasis of Endometrial Carcinoma with Resultant Jejunojejunal Intussusception: A Case Report)

  • 장연;박동희;공준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380-1384
    • /
    • 2022
  • 자궁내막암은 흔한 부인과암으로 소장으로의 전이는 드물며, 원격 전이보다 주변 장기로의 국소 침윤으로 발생한다. 자궁내막암이 다른 곳에 전이 소견 없이 단독으로 소장에 전이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또한 성인에서 장중첩증은 드문 질환으로 이로 인해 장폐색이 발생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저자들은 자궁내막암 병기 IB로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후 경과관찰 중이던 환자에서 공장공장 장중첩증으로 인해 장폐색이 발생하였음을 소장 조영술 및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하였고, 공장 국소절제술 후 자궁내막암의 단독 소장 전이로 확인하였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소아에서 소장형 장중첩증; 자연 정복과 수술적 치료의 비교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Children: Spontaneous Resolution vs. Surgical Intervention)

  • 박미란;임미선;서정기;고재성;장주영;양혜란;임윤정;김우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28-133
    • /
    • 2010
  • 목 적: 장중첩증은 영아기 급성 복통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대부분 특발성의 소장-대장형이다. 반면 소장형 장중첩증은 드물며 시작점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 수술적 정복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 양상과 경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에서 2010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소장형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은 21명의 환아들의 임상 양상 및 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임상 양상은 복통 및 보챔(85%), 구토(23%), 발열(14%), 혈변(14%) 및 복부 종괴(4%) 등이었다. 여섯 명(28%)의 환아에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였다. 초음파에서 병변의 직경은 1.6${\pm}$0.7 cm였고 가장자리의 두께는 1.7${\pm}$1.8 mm였다. 열한 명에서 병변이 왼쪽 복부 혹은 배꼽 주위였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들은 자연 정복된 환아들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다(109${\pm}$17개월: 51${\pm}$20개월). 병변의 평균 직경 및 가장 자리의 두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들에서 더 큰 소견을 보였고 위치는 두 그룹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소장형 장중첩증은 많은 소아에서 자연 정복된다. 그러나 초음파에서 크기가 크고, 나이가 많을수록 또한 병변의 시작점이 있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함입된 메켈게실에 의한 성인 장중첩증 (Adult intussusception caused by inverted Meckel's diverticulum treated with operation)

  • 이성윤;정재윤;홍승현;우승민;이수희;유현주;김동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116-119
    • /
    • 2016
  • Intussusception is a serious disease where part of the intestine slides into an adjacent part of the intestine. Adult intussusception is mainly due to benign or malignant neoplasm. Therefore, in most cases of adult intussusception, treatment by surgery would be preferable to conservative therapy. However, we report on a 28-year-old female patient who underwent intussusception operation delayed 3 months.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3 months ago showed a small bowel intussusception measuring 20 cm long. Three months later, the previously identified small bowel intussusception appeared without change. The patient underwent surgery, and ectopic gastric mucosa was observed in the biopsy. Therefore, Meckel's diverticulum was diagnosed.

Intussusception in Neonat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ight Cases in a Single Center

  • Ahn, Yong-gi;Lim, Gina;Hwang, Eun Ha;Oh, Ki Won;Cho, Min Jeng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21
  • Purpose: Intussuscep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owel obstruction in children; however, it is rarely diagnosed in newborn infant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intussusception in newborn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during the newborn period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2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mong the eight cases, two occurred in the intrauterine period and six occurred in the postnatal period. Intrauterine intussusception presented with symptoms of bowel obstruction within 1 to 2 days after birth, and ileal atresia was diagnosed simultaneously through exploratory laparotomy. All the postnatal patients were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medi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25+6 weeks and 745 g, respectively). Four cases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using abdominal ultrasonography. One patient was diagnosed by exploratory laparotomy because the clinical symptoms were nonspecific and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os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 more prevalent complication in preterm infants. The site of intussusception in all six patients was the small bowel. Meckel's diverticulum (one case) and meconium obstruction (two cases) were found to be the lead point. Conclusion: Neonatal intussusception tends to show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its period of occurrence. Intussusception, especially in preterm infants, has nonspecific clinical features; therefore, clinicians should always be cautious of this disease for its early diagnosis.

Feasibility of Laparoscopic Surgery for Intussusception in Pediatric Patients and Risk of Bowel Resection

  • Song, Eun Ju;Nam, So Hyun
    •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154-159
    • /
    • 2018
  • Purpose: Intussusception is a common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in children. While most patients can be treated by enema reduction, about 20% require surgery. We investigated the usefulness and feasibility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he intraoperative risk of bowel resec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ediatric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intussusception from 2010 to 2017. We collected data for age, gender, body weight, associated symptoms, duration of symptoms, white blood cell count, operating tim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Of 155 patients, 37 (23.8%) underwent surgery due to enema reduction failure in 29 (78.3%), recurrence in 6 (16.3%), a suspicious lead point in 1, and suspicious ischemic change observed on ultrasonography in 1. The mean age was $26.8{\pm}18.9$ months (range, 3.5~76.7 month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12.9{\pm}3.9kg$ (range, 5.4~22.2 kg). Laparoscopic surgery was successful in 29 patients (78.4%), and 7 (18.9%) needed bowel resection and anastomosis. The mean operating time was $56.7{\pm}32.8min$. A lead point was found in 3 patients in the bowel resection group (p=0.005); in addition, the operating time and hospital stay were longer in this group. There were no intra-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Laparoscopic surgery was successful in 78.4% of the patients with a short hospital stay and early oral intake. The only predictive factor for bowel resection was the presence of a lead point. Laparoscopic surgery may be an optimal treatment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intussusception, except for those who show initial peritonitis.

소아 장중첩증에서 증상 지속 시간에 따른 단순 복부 사진의 변화 (The Changing pattern of the Plain Abdominal Radiogram by Progression of the Intussusception in Children)

  • 전형석;최영철;최승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5권2호
    • /
    • pp.132-14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ccess rate of air reduction as the primary treatment of intussusception and whether the success of air reduction could be predicted by plain x-ray. The authors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4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from Jan 2005 to Dec 2007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Masan Samsung Hospital. The natures of symptoms and findings of plain abdominal radiography perform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ere reviewed. Air reduction failed more frequently (26.3 %) in patients who visited ED more than 24 hours after symptom onset (p=0.009). The mean duration of symptom for operated patients was longer than air reduction group (p=0.01). Also, 3/4 of patients having localized distension of small bowel in the left upper quadrant abdomen had unsuccessful air reduction (p=0.002). In conclusion, the time interval from symptom onset to arrival at ED and localized distension of small bowel in the left upper quadrant abdom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ailure rate of air reduction.

  • PDF

성인에서 급성 A형 간염으로 오인된 과오종에 의한 소장 중첩증 1예 (A Case of Small Bowel Intussusception Caused by Jejunal Hamartoma Confused as Hepatitis A in an Adult)

  • 허준;조규민;음영욱;박지영;김미성;고병성;신향미;손승명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10-112
    • /
    • 2012
  • Intussusception in adult is a rare disease and laparotomy is usually considered because of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Especially with obstruction symptom or sign, it might be needed emergency operation. This case was a simultaneous development of small bowel intussusception and acute hepatitis A. The patient had abdominal pain and vomiting. Intitial laboratory examination with elevated aminotransferase revealed that the diagnosis was acute hepatitis. As managing acute hepatitis, the abdominal pain was not improved and the patient had tenderness on periumbilical area on physical examination. A jejunal intussusception with a lead point was proved on th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Fortunately, symptom of intussusception was relieved while nulli per os (NPO) and intravenous hydration. After recovery of acute hepatitis, laparotomy was done. The lead point was $2.5{\times}3.0cm$ sized hamartoma. This was the case that the symptom of intussusception was confused with that of acute hepatitis.

  • PDF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n Children with Transient Small Bowel Intussusception)

  • 허남진;류민혁;이동진;권중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2호
    • /
    • pp.160-168
    • /
    • 2000
  • 목 적: 소장에서 발생한 자연 정복된 일과성 장중첩증의 임상 양상과 복부 초음파 검사소견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12개월 동안 장중첩증으로 울산동강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98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과 전형적인 장중첩증의 임상 양상 및 복부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 과: 1) 98례의 장중첩증 환아 중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이 12례(12.3%), 전형적 장중첩증이 86례 (87.7%)였다. 2)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은 3세 이상이 7례(53.8%)로서 가장 많았으나, 전형적 장중첩증은 6~12개월 사이가 27례(31.4%)로 가장 많았고, 3세 이상은 6례(7.0%)로서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은 전형적 장중첩증군에 비해 높은 연령군에서 잘 발생되었다(p<0.05). 성별 분포는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빈도가 높았다. 3)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은 지속적 복통을 호소하는 예가 7례(58.3%)로서 가장 많았고, 주기적 보챔 5례(41.7%), 구토 4례(33.4%)순이었다. 전형적 장중첩증군은 주기적 보챔 77례(91.9%), 구토 51례(59.3%) 혈변 36례(41.9%), 복부 종괴 23례(26.7%)순 이었고, 지속적인 복통만 호소하는 예는 1례(11.2%)로 나타나 주기적 보챔, 구토, 혈변, 복부종괴 등은 전형적 장중첩증군에서 잘 나타나나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에선 비교적 드물었고(p<0.05),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에선 지속적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p<0.05). 4)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의 과녁 징후 전체의 두께와 주변부 저에코륜의 두께는 각각 $11.95{\pm}2.61$ mm, $2.08{\pm}1.15$ mm로 전형적 장중첩군의 두께 각각 $26.91{\pm}5.98$ mm, $7.86{\pm}2.77$ mm보다 적었다(p<0.05). 5)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에서는 동반된 질환이 8례(66.7%)였으나, 전형적 장중첩증군에서는 23례(26.7%)로서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에서 동반된 질환이 더 많았다(p<0.05). 6)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군에서는 12례 모두 (100.0%)가 자연 정복되었고, 전형적 장중첩증군에서는 자연 정복된 경우는 1례도 없었고 대부분 (89.5%) 검압 통기법으로 정복되었다. 결 론: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보다는 빈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복부초음파 검사시 본 질환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겠으며, 자연 정복되므로 특별한 원인이 없는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은 즉각적인 수술이나 무리한 시술을 하기보다는 주의 깊은 관찰과 재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