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 releas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6초

IR667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窒素吸收)에 미치는 완효성 질소비종별(窒素肥種別) 효과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s on Yield and Nitrogen Uptake of IR667)

  • 권항광;박훈;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3-219
    • /
    • 1973
  • 국산(國産)(진해화학제조(鎭海化學製造)) 유황(硫黃)입힌 요소(尿素)(SCU)를 TVA제(製) SCU와 METAP 및 요소분시(尿素分施)와 비교(比較)하여 IR667 (Suwon 213)의 수량(收量)과 질소영양(窒素營養)에 대(對)한 효과(效果)를 조기(早期) 및 적기재배(適期栽培)의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국산(國産) SCU는 초기(初期) 다량(多量)의 질소용출(窒素溶出)로 요소분시(尿素分施)에 비(比)하여 수풍(收豊)이나 질소영양면(窒素營養面)에서 우월(優越)한 점(點)이 별로 없었다. 2. 요소분시(尿素分施)보다 약(約) 10%의 증수(增收)를 보인 TVA제(製) SCU는 생육전기간(生育全期間)을 통(通)해 가장 높은 고중(藁中) 질소농도(窒素濃度)를 보이며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또는 질소흡수집적곡선(窒素吸收集積曲線)이 가장 균형적(均衡的)인 것이었다. 3. TVA제(製) SCU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질소농도(窒素濃度)가 특(特)히 높으며 질소농도(窒素濃度)는 $m^2$ 당립수(當粒數)와 고도(高度)로 정비례(正比例) 하였다. 4. TVA제(製) SCU만이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질소흡수속도(窒素吸收速度)가 최고(最高)에 오는 일봉식(一峰式) 흡수속도양상(吸收速度樣相)을 보였다(기타(其他)는 이봉식(二峰式)) 5. 적기재배(適期栽培)에서 요소분시(尿素分施)의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37.1%)보다 TVA제(製) SCU는 높았으나 (46.0%) 국산(國産) SCU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8.9%) 조기재배(早期栽培)는 완효성(緩效性)의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이 요소분시(尿素分施)보다 높았다. 6. TVA제(製) SCU는 출수후(出穗後)에 질소부족(窒素不足)현상을 보여주므로 용출양상(溶出樣相)이 다른 여러가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혼합시비(混合施肥)하는 것이 가장 현상적(現想的)일 것으로 보였다.

  • PDF

Correlation between mEPSC Amplitude and Rise Time upon the Blockade of AMPA Receptor Desensitization at Hippocampal Synapses

  • Jung, Su-Hyun;Choi, Suk-W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6권2호
    • /
    • pp.81-85
    • /
    • 2002
  • Conventional views of synaptic transmission generally overlook the possibility of 'postfusional-control' the regulation of the speed or completeness of transmitter release upon vesicular fusion. However, such regulation often occurs in non-neuronal cells where the dynamics of fusion-pore opening is critical for the speed of transmitter release. In case of synapses, the slower the transmitter release, the smaller the size and rate-of-rise of postsynaptic responses would be expected if postsynaptic neurotransmitter receptors were not saturated. This prediction was tested at hippocampal synapses where postsynaptic AMPA-type glutamate receptors (AMPAR) were not generally saturated. Here, we found that the small miniature 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s (mEPSCs) showed significantly slower rise times than the large mEPSCs when the sucrose-induced mEPSCs recorded in cyclothiazide (CTZ), a blocker for AMPAR desensitization, were sorted by size. The slow rise time of the small mEPSCs might result from slow release through a non-expanding fusion pore, consistent with postfusional control of neurotransmitter release at central synapses.

전로(轉爐)슬래그를 활용(活用)한 완효성(緩效性) 칼리 비료(肥料)의 제조(製造) 특성(特性) (Preparation of Slow-Release Potassium Silicate Fertilizer Using Converter Slag)

  • 양영호;김영환;고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4호
    • /
    • pp.10-16
    • /
    • 2007
  • 전로슬래그를 완효성 칼리비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전로슬래그 분말에 시약급 $SiO_2$$K_2CO_3$를 첨가하여 염기도를 각각 0.7, 1.0및 1.4로 조절하고, $K_2O$의 함량은 22mass%로 고정한 후 볼밀에서 24시간 이상 혼합하여 $900^{\circ}C{\sim}1000^{\circ}C$ 사이의 온도에서 10분${\sim}$60분 동안 소결하였다. 소결 후 X-선 회절과 ICP분석을 이용하여 제조된 칼리비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또한 염기도, 소결온도 및 소결시간이 완효성 칼리비료의 제조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소결체의 수용성 $K_2O$의 용출특성은 소결시간이 길어질수록, 소결온도가 높아질수록, 염기도가 감소할수록 용출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구용성 $K_2O$의 용출특성은 염기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소결온도가 높을수록 용출율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육묘상자와 본답에 전층시비한 완효성 질소비료가 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Rice Affected by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Mixed with Soil in Seedling Box and Incorporated into Paddy Soil)

  • 이석순;이동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8-224
    • /
    • 2001
  • 본 시험은 벼의 전 생육기간에 필요한 질소를 완효성 비료로서 육묘상자에 시용하거나 전량기비로 전층시비할 때 모의 장해나 수량감소 없이 질소이용률을 높이고, 시비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완효성 비료의 종류와 알맞은 시비량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완효성 질소비료는 MS 10, MS S10, LCU 80, LCU 100 이었으며, 시용량은 0, 6, 9, 12 kg N/10 a 이었다. 수중 질소용출율과 전기전도도는 MS 10 > LCU 80 ${\fallingdotseq}$ LCU 100 > MS S10 순으로 컸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질소의 용출율이 높았고, EC가 증가하였다. MS 10 시용구에서는 어느 시비량에서나 출아하지 않았고, LCU 80과 LCU 100 처리구에서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입모율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파종 후 13일에 모가 심하게 시들었다. 모든 MS S10 처리구에서는 입모율이 80% 이상이었고, 파종 후 30일까지 모가 정상적으로 생장하였다. MS S10을 육묘상자와 본답에 전량기비로 시용하였을 때 벼 수량은 두 시비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시비량간에는 6, 9, 12 kg N/10a과 요소로서 12 kg N/10a을 4회 분시한 관행시비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MS S10의 질소이용률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S S10 시용구가 관행의 요소시비구보다 높았다.

  • PDF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Evaluation of Fertilization Effect of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on Pepper Cultivation)

  • 이창훈;이협;하병연;강창순;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8-232
    • /
    • 2007
  • 고추작물의 생육기간 중 양분요구특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완효성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해 질소 용출율이 110일과 150일로 조절된 완효성 복합비료 110T와 150T을 제조하여 포장 조건에서 질소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추에 대한 관행시비량 기준으로 60%의 완효성 복합비료 110T, 150T와 40%의 속효성 비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의 토양 내 질소 용출 특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행처리(NPK)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밭 토양조건에서 완효성 질소비료 110T와 150T의 질소 용출율은 시용 8주경과 후 각각 63%, 53%가 용출되어 원예작물인 고추재배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예용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고추를 재배하였다. 고추의 전 생육기간 동안 토양 내 무기태 질소($NH_4^+-N$$NO_3^--N$) 함량은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CF150 처리구에서 토양 중 무기태 질소 함량은 정식 후 8주까지 NPK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와 NPK 처리구사이의 고추 생육과 무기성분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은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4% 증수 되었다. 그러나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50 처리구는 NPK 처리구에 비해 수확 후 엽중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수량도 2%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추재배를 위한 적합한 완효성 복합비료는 CF150 보다는 CF110이었다.

Employ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slow release Biostimulant ball in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s in Busan, South Korea

  • Song, Young-Chae;Subha, Bakthacachallam;Woo, Jung Hu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88
    • /
    • 2014
  • The Coastal sediment is highly contaminated due to ship transportation, industries discharges and urban sources. Various contaminants release into seawater and settle in marine sediment and it significantly affect marine eco system. In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optimization of slow release biostimulant ball (BSB) in coastal sediment in busan. The effective variables like BSB size, distance and month variables on VS reduction was determined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oefficient determination (R2) of VS was 0.9369 and maximum reduction of VS was obtained in 3cm ball size and 5.5cm distance and 4 month interval time.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BSB in effective VS reduction in coastal sediment.

  • PDF

지속성 영양염제와 유분산제가 해변모래에 오염된 유류의 생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ow Release Fertilizer and Dispersant on Biodegradation of Oil Contaminated in Sand Seashore Mesocosms)

  • 손재학;권개경;김상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15
    • /
    • 2003
  • 해변에 오염된 유류의 생분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지속성 영양염제(Slow Release Fertilizer; SRE)와 유분산제 ($Corexit 9527^{R}$)의 처 리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 회의 mesocosm실험을 실시하였다. 1 차 현장실험 에서 SRP처리구의 지방족 탄화수소분해율과 n-$C_{17}$/pristane, n-$C_{18}$/phytane비의 감소율은 시험 37일에 각각 85%,69%,61% 로 뚜렷한 생물정화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Corexit 9527^{R}$ 처리구에서 지방족 탄화수소의 분해율은 실험기간동안 56%로 대조구(50%)보다 뚜렷한 생물정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Corexit 9527^{R}$과 n-$C_{18}$/phytane비의 감소율 또한 27%, 17%로 대조구(60%, 46%)보다 낮아 유류화합물의 생물정화가 오히려 억제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차 현장실험에서 SRF와 $Corexit 9527^{R}$을 함께 첨가한 처리구의 생물정화 결과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양, n-$C_{17}$/pristane과 n-$C_{18}$/phytane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억제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유류유출시 영양물질의 첨가는 유류분해도를 향상시키는 반면,유분산제를 이용한 처리방법은 자연적인 생물정화기능을 오히려 억제 또는 제한하기 때문에 사용여부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류오염사고 국가 긴급방제계획에 의한 유분산제의 대량 사용은 생물정화기술의 적용을 염두에 두고 재평가되어야 한다.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의 질소분시비율 (Nitrogen Split Application of Direct-seeded Rice i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 이석순;홍승범;백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5-412
    • /
    • 1992
  •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수도를 건답휴립직파할 때 질소분시비율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직파재배용으로 육성중인 밀양 9005의 건조종자를 6kg / 10a 수준으로 1990년 5월 17일 산파하고, 맥류휴립산파기로 복토하였다. 질소-인산-가리를 15-10-10kg /10a 수준으로 시용하였는데 인산과 가리는 모두 기비로 시용하였다. 질소는 기비 : 담수직후 : 담수 2주후 : 출수 25일전 : 출수기에 요소를 10 : 20 : 30 : 20 : 20%, 20 : 30 : 20 : 20 : 10%, 30 : 40 : 0 : 20 : 10%로 분시하였고, 완효성시비료는 질소가 40%이고, 비효특속기간이 120일인 latex 피복한 요소를 전량기비로 시용하였다. 경운에서는 무경운에 비하여 출수기가 1일 지정되었고, 출수기의 엽면적지수가 컸으며, 도복지수가 적었을 뿐 입묘수, 수량, 수량구성요소, 도복관련형질 및 간기부의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질소분시비율간에는 완효성비료 전량기비구에서 간장, 유효경비율, 간기중, 천립중, 수확지수가 더 컸으며, 무경운의 완효성비료 전량시비구에서 수량이 더 높았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생육 초기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이 가장 낮았지만, 출수기 이후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은 다른 질소분시구보다 높았다. 분얼수는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고, 생육초기에는 질소의 기비비율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생육중기에는 20 : 30 : 20 : 20 : 10%의 분얼수가 가장 높았지만 유효경비율이 달라 수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완효성비료의 전층시비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hole-layer 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of Rice)

  • 박경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9-505
    • /
    • 1992
  • 본 시험은 완효성비료를 이용한 전량기비시비방법을 개선하고자 식양토(덕평통)와 사양토(강서통)에서 완효성비료인 조선완효성비료와 Meister 15를 이용하여 시비방법에 따른 완효성비료의 시용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별 암모니아태 질소의 용출량은 담수 4일째 사양토에서 95ppm, 식양토에서 60ppm 이었다. 2. 벼 잎색도는 조선완효성비료가 Meister 15보다 낮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측조시비구보다 전층시비구에서 높았다. 3. 질소 효율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완효성비료의 순으로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차이가 적었다. 4. 단립면적당 경수는 조선완효성비료는 측조시비구가 전층시비구보다 많았고, Meister 15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많았으며, 간장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 완효성비료의 순으로 길었고, 시비 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길었다. 등숙율은 완효성시비가 관행보다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낮았다. 5. 수량은 식양토에서 비료간 수량차이가 컸으나, 시비방법간에는 수량차이가 적었고, 사양토에서는 비료간, 시비방법간에 수량차이가 적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Meister 15와 같은 완효성비료는 전층시비법으로 시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