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 Learner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과 내용을 중심으로 -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Course, and Special Remedy Course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 박경미;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99-216
    • /
    • 1998
  •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often interpreted as meaning the same as 'tracking' or 'ability grouping' in western countrie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by 'Level-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develop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ideas of 'Enriched and Supplemental Differentiated Curriculum'need to be applied, that is, to provide advanced contents for fast learners, and plain contents for slow learners.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by ability grouping either between classes or within classes. According to these two exemplary models, the implementation models for supplemental course and enriched course are determined. The contents for supplemental course are comprised of minimal essential elements selected from the standard course at a decreased level of complexity and abstraction. The contents of enriched courses are focused on various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real world. Special remedy course will be offered to extremely underachieved student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teaching-and-learning material for special remedy course were obtained from the histo-genetic principle, progressive mathematizing principle, and constructivism.

  • PDF

웹을 기반으로 한 과학 보고서 수행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Repor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Web)

  • 김진하;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1-48
    • /
    • 2008
  • 현재 과학과 수행평가는 교사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동료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과학과 수행평가에서 주로 시행되는 보고서 수행평가의 경우 체계적인 형식 없이 실험관찰에 기록된 내용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수행평가 방법은 수행 기준의 공유를 통한 성취의욕 향상, 평가결과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한 자기조정이라는 수행평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동료학습자 간의 자료공유와 토의를 통해서 실험 및 조사 보고서를 완성하고 이를 동료평가, 교사평가에 활용하며 그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 수준을 파악하고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행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Reflection on the Educator Mindset for Teaching Mathematics to Diverse Students in the Constructivist Elementary Classroom

  • Kim, Jinho;Lim, Wo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35-46
    • /
    • 2018
  • In this perspective paper, we present seven elements of the appropriate educator mindset for teaching in the constructivist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The elements include supporting students as they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eliminating deficit view of slow learners, setting new understanding and growth as the learning objective,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construct meaning with peers, using student contributions as the source of curricular material, encouraging all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providing instruction not bounded by time. In our struggles to provide authentic,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we hope that our discussion of the educator mindset can increase discourse on constructivism from philosophy to practice in the commun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policy makers.

북한이탈주민의 정보 활용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이선희;변호승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3-82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일반적인 현황 및 정보화실태를 분석하고, 정보화교육의 기본방향을 모색하고자 교육 참여자들의 학습 시 나타나는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학습 시 나타내는 특성은 새로운 기기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느린 학습, 정보화용어와 외국어의 낯설음으로 인한 학습곤란, 본인이 닥친 상황이 아닌 경우 무관심으로 인한 정보유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학습자특성 및 요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정보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단계적 반복에 의한 전략, 남북한 정보화 용어사전을 활용한 전략, 취업중심 및 소통을 위한 전략, 생활밀착형 교육을 위한 전략의 STEP모형을 제안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는 것은 성공적인 남한정착에 도움일 될 것이며, 이는 장차 이루어질 통일한국의 소중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AS 계산기를 활용한 메타인지 활동이 고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부진아의 대수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ctivity using CAS calculator on high school first grade mathematics slow-learners' achievement of Algebra)

  • 김인경;류희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10
    • /
    • 2009
  • 본 논문은 수학수업에서 점점 소외되고 있는 수학학습부진아가 대수학습에서 학업성취도를 신장시키기 위해 좀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처치집단으로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필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각 집단은 활동지를 통해서 메타인지 활동을 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두 집단 모두 지필로 수학학업성취도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GeoGebra 를 활용한 반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in van Hiele's Geometric Teaching Using GeoGebra)

  • 임현정;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35-452
    • /
    • 2016
  • 본 연구는 기하학습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였을 때 도구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와 이 도구화가 교수법과는 어떤 관계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학생 두 명을 대상으로 공학환경에서의 van Hiele 교수학습 모델에 근거한 4차시 학습지도안이 구성되었고 2015년 5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도구화는 준비기, 적응기, 응용기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학습차시를 진행하면서 시각화에 의존하는 준비기와 적응기에는 실제 시행착오적 과정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각화가 덜 필요한 단계, 즉 응용기에서는 도구의 역할이 자신의 추측과 정당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도구화 과정에 따른 교수법을 구성하여야 하며, 공학 도구사용이 학생의 학습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변화되도록 도와야 한다. 교사는 교수법에서 학생들의 도구화 과정에 대해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된다.

교육소외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수학학습에서 나타난 수학적 오류: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Mathematical Errors of Minority Student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and Low-SES in Learning of Mathematical Basic Concepts)

  • 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3-227
    • /
    • 2012
  • 본 연구는 교육소외 계층에 속한 학생들의 수학학습을 돕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 초 겨울방학 3개월을 이용하여 자원하는 학생 소수를 대상으로 탈북학생 집단과 저소득층 학생 집단에게 15차시의 보충학습이 각각 제공되었고 관찰과 면담, 그리고 녹음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학학습에서 탈북학생과 저소득층 학생 모두 학습부진아들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용어에 대한 정확한 개념습득이 부족해서 설명을 하지 못하였고, 정의와 정리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아 그 의미를 사용해야 할 곳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유사하였다. 게다가 확실하지 않은 지식으로 인하여 자료의 이용도 제대로 하지 못하였고, 집중력이 떨어져 부주의로 인한 오류도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차이점으로는 탈북학생들은 남한이 외래어(영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에 익숙하지 않아 발생하는 기술적 오류, 한자어 해석 오류, 잘못 이용된 자료 등 오류의 특징이 생소함에서 오는 오류가 많은 반면, 저소득층 학생들은 이미 들어서 알고 있으나 연습부족에 의한 부주의가 많은 특징을 보였다.

  • PDF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여부와 발화속도가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peech Rate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in Video Learning)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 여부와 교수자 발화속도가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의 효과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실험 대상자는 중국 형태대학교 1학년 183명이며, 이들에게 교수자가 출연여부와 발화속도 고저의 4가지 동영상을 학습하도록 한 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수자가 출연한 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발화속도가 높은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낮은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와 발화속도의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강의 동영상을 개발할 때 교수자의 출연여부와 발화속도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근거를 제공한다. 즉 가급적 동영상에 교수자가 출연하여 표정,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방식으로 사회적 단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수자는 동영상에서 약간 빠른 속도로 설명함으로써 학생이 학습에 더 집중하여 몰입하게 할 수 있다. 교수자 출연과 빠른 발화속도는 학습에 몰입하게 하고, 동영상에서 교수행위가 실재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주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