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varianc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초

광전용적맥파 센서를 이용한 맥파전달시간의 측정 (Measurement of Cardiac Pulse Transit Time using Photoplethysmography Sensor)

  • 최병철;정동근;정도운;노정훈;전계록
    • 센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83-391
    • /
    • 2004
  •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pulse transit time (PTT) system to examine usefulness of the monitoring method of distensibility and elasticity using photoplethysmography sensor in vivo. PTT is defined a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peak of QRS complex in ECG signal and the maximum slope point of photoplethysmography. these two signals were converted to digital data by means of AID converter, then PTT was evaluated by heartbeat using PC. Results of analysis were displayed as a graph using spline interpolation method. The variance of PTT was measured repetitiously to verify efficiency of PTT system in resting state and hyperemic state. Repeated measurement of PTT was not same value but showed that coefficients of correlation were related with each other as 0.8302 (P<0.01) in resting state. And also repeated measurement of PT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s 0.868 (P<0.01) in the hyperemic state. These result showed that PTT is reflect on transient pressure variance in the artery and is very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rognosis of the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클러스터 조사에 의한 마늘 세균점무늬병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Bacterial Leaf Blight of Garlic by Cluster Sampling)

  • 송정흡;양철준;양영택;심홍식;좌창숙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68-272
    • /
    • 2015
  • 마늘 세균점무늬병은 국내에서 제주지역 난지형 마늘에서 Pseudomonas syringae pv. morr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병해로 주요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연로그를 취한 이항분산에 대한 관측분산의 회귀모델인 binary power law를 이용하여 포장 내 병 발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회귀식의 기울기(b) 값이 1.361로 기준치인 1보다 커 세균점무늬병은 공간적으로 집중분포하고 있었다. 축차표본조사법은 평균이병주율($p_m$)의 추정과 요방제수준($p_t$) 이상 또는 이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조사지점수 고정 조사 방법에 비해 조사비용 면에서 더 효율적인 동시에 조사결과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형 탄성파탐사기(PS-1)을 이용한 산사태예지기술개발 (Prediction and development on technics of landslide prospecting by seismic refraction(PS-1))

  • 김재헌
    • 기술사
    • /
    • 제25권4호
    • /
    • pp.102-108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to find out the soi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site and to develope landslide prediction method by seismic refraction prospecting. For these aims, landslide condition and travel time were investigated at 68 Landslide sites over the country during 1990 to 199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rface of rupture was included mainly in C layer. Its Hardness was less than 3kg / $\textrm{cm}^2$ at the upper pare of landslide. 2. When the profile line length was 20m, the range of travel time was 40 to 90 msec. The travel time did not differ between bedrocks. 3. Refraction distance ranged from 1 to 7m and mean of that was 2.5m. Travel time was increased according to receiving distance without large variance in the refraction distance but that was appeared large variance out of the refraction distance on slope that has shallow soil depth and discontinuous ground surface. Therefore, the spread distance must be shorten to 10-l5m. 4. The seismic velocity at the first layer(layer of rupture) was less than 500m1sec by degree of weathering and the velocity at the second layer decreased in order of Granite> Granitic gneiss >Sedimentary rock. 5. The first layer observed by seismic refraction was contained C layer that has parent material and weathered rocks of hardness 10-20kg/$\textrm{cm}^2$. 6. Among the range of seismic velocity was less than 200m/sec in 63% of the total plots, 200-300m/sec in 34% and 300-500m /sec in 3%. 7. There w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seismic prospecting soil depth and executive soil depth, and seismic propection soil depth was about 10 to 20cm deeper than the order.

  • PDF

산지사면(山地斜面)의 붕괴위험도(崩壞危險度) 예측(豫測)모델의 개발(開發) 및 실용화(實用化) 방안(方案)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 마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75-190
    • /
    • 1994
  •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의(依)한 피해(被害)를 예방(豫防) 또는 극소화(極小化)하기 위(爲)하여 산사태(山沙汰)가 자주 발생(發生)하는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각(各) 조사(調査) 단위사면(單位斜面)에 대(對)하여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영향(影響)하리라고 예상(豫想)되는 12개(個) 환경요인(環境要因)을 현지조사(現地調査)하고 붕괴(崩壞)와 환경인자(環境因子)와의 관계(關係)를 수량화(數量化) 이론(理論)에 의(依)한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여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의 위험도(危險度)를 평가(評價)할 수 있는 예측(豫測)모델을 도출(導出)하였으며, 또한 이를 기초(基礎)로 하여 위험도(危險度)를 각(各) 급별(級別)로 구분(區分)하고 예지(豫知)모델을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산지붕괴발생면적(山地崩壞發生面積)에 영향(影響)을 주는 인자(因子)는 강우(降雨), 령급(齡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임상(林相), 곡차수(谷次數),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모암(母岩),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이었으며,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에 의(依)한 인자(因子)는 령급(令級), 강우(降雨), 토성(土性), 모암(母岩),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표고(標高),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곡차수(谷次數), 임상(林相),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붕괴발생빈도(山地崩壞發生頻度)에 의(依)한 인자(因子)의 순위(順位)는 령급(令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도(傾斜度), 식생(植生), 강우(降雨), 종단사면(縱斷斜面), 곡차수(谷次數), 모암(母岩), 토심(土深)이었으며 사면위치(斜面位置) 및 방위(方位)는 기여도(寄與度)가 낮게 나타났다. 산지사면붕괴위험(山地斜面崩壞危險) 예지(豫知)를 위(爲)하여 붕괴발생면적(崩壞發生面積)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위험도(危險度) 예측점수표(豫測點數表)를 작성(作成)할 수 있었으며, 점수합계(點數合計)가 9.1636이면 붕괴발생위험(崩壞發生危險)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되었으며 산지(山地) 사면붕괴(斜面崩壞)가 발생(發生)한 사면(斜面)과 발생(發生)하지 않은 사면(斜面)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우사면(雨斜面)에 대(對)한 사면판별(斜面判別) 구분치(區分値)는 -0.02였고, 그 적중율(適中率)은 73%로 높았다. 또한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한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 위험도별(危險度別) 점수(點數)는 A급(級)은 0.3132 이상(以上)이었고, B급(級)은 0.3132~-0.1051, C급(級)은 -0.1050~-0.4195, D급(級)은 -0.4195 이하(以下)였다. 그리고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의 예지(豫知)는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위험도(危險度)을 A, B, C, D의 4등급(等級)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총(總) 300개(個) 사면(斜面) 중(中) A급사면(級斜面) 68개(個), B급사면(級斜面) 115개(個), C급사면(級斜面) 65개, D급사면(級斜面) 52개(個)였다. 위험도(危險度) A, B급(級)에서의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은 150개(個) 붕괴지(崩壞地) 중 125개(個)로서 약(約) 83.3%의 높은 적중율(適中率)을 보여 예측(豫測)모델로서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예지방법(豫知方法)에 의(依)하여 선정(選定)한 위험(危險)한 지역(地域)에 대(對)하여 산지재해위험도(山地災害危險度) 지도(地圖)를 작성(作成)하여 토지이용(土地利用) 계획(計劃) 및 재해위험지(災害危險地) 선정기준(選定基準)의 행정지표(行政指標)로서 활용(活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지재해(山地災害)에 대(對)한 종합(綜合) 대책(對策)에 유용(有用)하게 활용(活用)함으로써 막대(莫大)한 재산(財産) 피해(被害)와 인명(人命) 손실(損失)을 사전(事前)에 방지(防止)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주도 초지피복 기생화산("오름")의 방위별 일 최고기온 분포 (Azimuthal Distribu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s Observed at Sideslopes of a Grass-covered Inactive Parasitic Volcano ("Ohreum") in Jeju Island)

  • 서희철;전승종;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1
    • /
    • 2008
  • 초지피복 조건에서 사면의 일사수광량 차이가 일 최고기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07년 하지부터 동지까지 밑면지름 570m, 높이 90m인 원추형 기생화산 "높은오름"의 측면 경사 8 지점에서 일 최고기온을 측정하였다. 8개 지점 평균값을 기준온도로하여 각 지점의 기온편차를 구해 비교한 결과 기온편차는 하지로부터 동지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이었고, 관측기간 평균은 남향사면에서 $1.0^{\circ}C$, 북향사면에서 $-0.8^{\circ}C$로서 그 차이가 평균 $1.8^{\circ}C$에 달했다. 기온편차의 월별 평균은 11월에 가장 크며 남향사면에서 $2.1^{\circ}C$, 북향사면에서 $-1.3^{\circ}C$였다. 일별 기온편차의 최대값은 남향사면에서 $3.8^{\circ}C$, 북향사면에서 $-2.7^{\circ}C$에 달했는데, 이러한 기온편차 변이는 일사수광량 편차에 근거한 지형특성지수와 높은 상관을 보여 복잡지형의 일 최고기온 추정모형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in Primary School Children)

  • 이재경;조혜정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41-7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생태체계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애착이론과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4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지역사회애착, 행복감은 5년 동안 감소추세로 나타났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의 분산값이 유의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체계요인 중 학업 성취를 제외하고 모든 변인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 시점에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당해년도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애착 초기값이 높을수록 행복감은 느리게 감소하는 반면에 5년 동안의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교사애착, 지역사회애착이 빠르게 감소할수록 행복감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분석을 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감쇠 구조물에 의한 토석류 토사체적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due to Damped Structures)

  • 최영도;김성덕;이호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경사지 사면에서 토석류 재해가 발생했을 때, 토석류 저감 구조물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연구이다. 제어 구조물로는 베플 형태를 취하였고, 베플의 설치 기수와 각 제원에 따라서 하류에서의 토석류에 의한 토사퇴적면적과 토사도달거리를 조사한 것이다. 수로의 경사가 급할수록 토사의 퇴적면적과 도달거리가 증가하였고, 토사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토사의 도달거리가 증가하였다. 토사농도가 작은 경우(Cv = 0.5)는 토석류의 액성이 크기 때문에 수로 경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토사체적농도가 클수록 토사퇴적면적과 토사의 도달거리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베플의 수를 증가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약 5~1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베플의 토석류 제어능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지에서 토사재해가 발생할 때 감쇠 또는 제어 구조물을 설치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PI 응용에 의한 산악지형 분류기법의 적용을 위한 scale factor 선정방법 개발 (An Objective Procedure to Decide the Scale Factors for Applying Land-form Classification Methodology Using TPI)

  • 장광민;송정은;박경;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39-645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악형 산림지대의 지형을 분류하기 위한 방안으로 TPI를 응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형특성에 적합한 기초분석단위로 scale factor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ale factor를 결정하기 위한 객관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산지의 기복 패턴를 반영하기 위한 scale factor를 결정하기 위해 음영기복도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형성장곡선으로부터 기울기변화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기울기변화도 곡선을 이용하여 기복의 변화량이 최대가 되는 지점을 찾고, 그 극대점에서의 grid 크기를 찾아 지형 분류를 위한 scale factor로 결정하였다. scale factor 결정 알고리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형특성이 다른 3곳의 산악지대에 대한 scale factor를 도출하고, 지형분류를 수행하였다. 이 방법에 따른 연구결과 scale factor는 지형기복이 심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TPI를 이용하여 분류한 능선과 계곡의 수가 종단면도를 이용한 방법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scale factor의 크기가 대상지역의 능선 간 평균거리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두박근의 등척성 자의 수축시 표면근전도 신호에서 검출한 스파이크 변수들의 재현성 분석 (Reproducibility analysis of surface EMG spike variables during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 of the biceps brachii muscle)

  • 이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6호
    • /
    • pp.1246-1254
    • /
    • 2009
  • The reproducibility of initial value and change over time of surface EMG spike variables(MSA, MSF, MSS, MSD) was investigated in the biceps brachii muscle of 11 healthy subjects. Surface EMG signals were recorded during sustained isometric voluntary contractions for 30 seconds at three contraction levels, 20%, 50%, and 80%MVC, respectively. Each contrac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in each of three different days for a total of nine contractions and 99 contractions per %MVC level across the eleven subjects. A total of 297 EMG signals across the different trials, days, subjects, and %MVC levels was saved for the subsequent analysis. The degree of reproducibility was investigat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and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SEM) based upon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Results for intercept showed higher reproducibility of the spike variables with about 60%-98% ICC than the variable(ARV, MNF) which had been analyzed before in other researches. And results for slope showed poor reproducibility of the spike variables with about 30%-70% ICC and they were comparable with the variables of other researches.

Genetic Aspects of Persistency of Milk Yield in Boutsico Dairy Sheep

  • Kominakis, A.P.;Rogdakis, E.;Koutsotolis,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315-320
    • /
    • 2002
  • Test-day records (n=13677) sampled from 896 ewes in 5-9 (${\mu}$=7.5) monthly test-days were used to estimate genetic and phenotypic parameters of test-day yields, lactation milk yield (TMY), length of the milking period (DAYS) and three measures of persistency of milk yield in Boutsico dairy sheep. Τhe measures of persistency were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beta}$),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the test-day milk yields and the maximum to average daily milk yield ratio (MA). The estimates of variance components were obtained under a linear mixed model by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The heritability of test-day yields ranged from 0.15 to 0.24. DAYS were found to be heritable ($h^2$=0.11). Heritability estimates of ${\beta}$, CV and MA were 0.15, 0.13, 0.10, respectively. Selection for maximum lactation yields is expected to result in prolonged milking periods, high rates of decline of yields after peak production, variable test-day yields and higher litter sizes. Selection for flatter lactation curves would reduce lactation yields, increase slightly the length of the milking period and decrease yield variation as well as litter size. The most accurate prediction of TMY was obtained with a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the first five test-day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