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Vegetation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9초

남해군 금산지역 식생에 관한 연구 (The Vegetation of Mt. Geum Area in Namhae-Gun)

  • 김인택;이지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40-745
    • /
    • 2003
  •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하는 금산(681m)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근 주변의 식생도 개관조사 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에서는 끈끈이주걱, 방울새란 등이 발견되었다.

산사태 취약성 평가를 위한 GIS와 AHP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GIS and AHP for Landslide Vulnerable Estimation)

  • 양인태;천기선;이상윤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47-54
    • /
    • 200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landslide potential map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method. A simple and efficient algorithm is proposed to generate a landslide potentialities map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and existing maps. The categories of controlling factors for landslides, aspect of slope, soil, vegetation are defined. The weight value for landslide potentialities is calculated from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Slope and Slope-direction is extracted from DEM, and soil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digital soil map. Also, veget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digital vegetation map. Finally, as overlaying, landslide potentialities map is made out, and it is compared with landslide place.

  • PDF

GIS를 이용한 정적 자연환경인자의 분석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An Estimation of Landslide's Vulnerability by Analysis of Static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with GIS)

  • Yang, In-Ta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5년도 아시아 태평양 국제 GSIS 학술발표회
    • /
    • pp.61-72
    • /
    • 2005
  • The landslide risk assessment process consists of hazard risk assessment and vulnerability analysis. landslide hazard risk is location dependent. Therefore, maps and spatial technologies such as GIS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of the risk assessment process. This paper discusses the advantages of using GIS technology in the risk assessment process and illustrates the benefits through case studies of live projects undertake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map of landslide vulnerability map by analysis of static natural factors with GIS. A simple and efficient algorithm is proposed to generate a landslide potentialities map from DEM and existing maps. The categories of controlling factors for landslides, aspect of slope, soil, vegetation are defined. The weight values for landslide potentialities are calculated from AHP method. Slope and slope-direction are extracted from DEM, and soil informations are extracted from digital soil map. Also, vegetation informations are extracted from digital vegetation map. Finally, as overlaying, landslide potentialities map is made out, and it is verified with landslide place.

  • PDF

설악산 삼림식생의 우점도 다양성에 관하여 (On the Dominance-Diversity i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Seolag)

  • Choi, Ki Ry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1호
    • /
    • pp.25-32
    • /
    • 1984
  • A study on the dominance-diversity of forest vegetation in Mt. Seolag was conducted from May 1981 to Aug. 1983. Based on the field data, the dominance-diversity curves were for 16 sites including slopes and vallies. The curves are grouped in two types, lognormal distribution at the sites of mature vegetation and geometric series at the disturbed or rocky sites. It seems that the curves express the nature of their ecocline, by the hypotheses of some investigators, i.e. Random Niche hypothesis, Niche Pre-emption hypothesis, Lognormal distribution and Logarithmic series. The dominance concentration among the southern, northern and western slope, H'=1.282 at southern slope and H'=1.385 at western slope. Dominance-diversity curves of 16 sites showed Preston's lognormal distribution with small variations among them. It seems that the dominance diversity reflects the differences in the coenocline of their sites. The top 10 dominant species in species sequence of 113 tree species in whole the mountain, were noticed: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 anum,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Tilia amurensis, Lindera obtusiloba and Abies holophylla in order.

  • PDF

도심산림녹지의 식생 및 물리적 구조에 따른 숲 내부 미기상 변화 연구 (Impact of Physical and Vegetation Patterns on Parks Environment: A Case Study of Gusan Neighborhood Park, South Korea)

  • 김정호;최원준;이상훈;이명훈;윤용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5-435
    • /
    • 2020
  • 본 연구는 도심지 산지형 공원의 물리적 구조 및 식생구조가 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 구조인 현존식생, 흉고직경, 울폐도의 기상과의 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표고의 경우 상대습도, 풍속, 일사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사도의 경우 풍속을 제외한 모든 기상요소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면 향의 경우 기온과 상대습도에서 유형간 차이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구조의 경우 계곡부, 사면부, 능선부로 구분하였으며, 상대습도에서 측정 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온, 풍속, 일사량에서는 일정한 경향과 유형간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구조 중 현존식생의 경우 일사량을 제외한 기온, 상대습도, 풍속 항목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기온, 풍속, 일사량 항목에서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폐도의 경우 기온과 일사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 및 물리적구조가 기상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관계분석결과 기온의 경우 경사도와 사면 향, 흉고직경과 울폐도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습도의 경우 물리적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구조인 현존식생과 울폐도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풍속의 경우 표고, 현존식생, 흉고직경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경사도와 흉고직경, 울폐도간의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온과 상대습도, 일사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울폐도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경사도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흉고직경 또한 기온과 일사량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풍속과의 상관관계도 나타났으나 상대습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South Korea

  • Yun, Chung-Weon;Lee, Byung-Ch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33-39
    • /
    • 2002
  •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ake clear the vegetation structure of Hovenia dulcis 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 over ten mountains including 17 plo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Habitat of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elevation ranged from 115 meter to 720 meter at the sea level, slope aspect in nearly all directions, bare rock from 0 to 90 percent, slope degree from 10$^{\circ}$ to 40$^{\circ}$, topography from valley to middle slope, the height of tree layer from 8m to 22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from 12cm to 59cm and coverage from 65% to 95$\%$$\%$

명지산 신갈나무림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Patter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Myongji)

  • Lee, Ho-Joon;Lee, Jae-Seok;Byun, Doo-W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85-201
    • /
    • 1994
  •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vegetation of Mt. Myongji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including four subunit communities and one typical subunit community by the Z-M method as follows: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Quercus mongolica - Isodon excisu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Lespedeza bicolor subunit coummunity Quercus mongolica - Aconitum longecassidatum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Rhododendrom schlippenbachii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Cornus controversa subunit community Quercus mongolica - Styrax obassia typical subunit community Acer pseudo-sieboldian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stributed over the upper region of the altitude 400m, and the differential species in the community were Carex siderosticata, Sephanandra incisa, Tripterygium regelii, and Fraxinus rhynchophylla. The vegetation patterns for the slope and azimuth showed that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observed on the broad subxeric area, and for Carpinus cord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on the wet site, for Acer mono,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on the xeric site. The best habitat condition for Quercus mongolica was found at a subxeric site at the altitude of 700-900m on southern slope and that for Acer pseudo-sieboldianum at the 700-1100m on northern slope.

  • PDF

고속도로 비탈면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녹화공법 평가기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tandard for Revegetation Method through Monitoring of Vegetation on the Slope of Expressway)

  • 김경훈;전기성;허영진;박종철;주백;강대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7-73
    • /
    • 2020
  • A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revegetation method of the slope of the expressway.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19-2020 field survey and existing research data (2015-2016) are as follows. Soil is a very important factor at the beginning of revegetation work. However, after the plant has settled, the importance of the soil composition diminishes. Among the plants used, the number of plants sown at the beginning gradually decreases. And it changes as it competes with invading plants. Among the plants used for sowing, it was found to affect the vegetation composition in the order of exotic grass > native herb and wildflower > native tree. Plant coverage is continuously evaluated as an important factor regardless of the time. The vegetation structure on the slope will change continuously over time. New items need to be evaluated in situations where a lot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application of revegetation work. It is desirable to use the current evaluation standard only to perform the evaluation within 1 to 2 years.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evaluation standard that adjusts the weights of each item.

청송군 옹점리 일대 암설 사면의 분포와 지형 변화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Change of Debris Slope at Ongjeom-ri in Cheongsong-gun)

  • 이광률;박한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60-374
    • /
    • 2010
  • 본 연구는 옹점리 동부의 암설 사면을 대상으로 암설 사면의 분포, 요인, 식생 피복 및 암설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 암설 사면 발달의 중요한 요인은 기반암이 단애 형성과 암설 공급에 유리한 규장암이라는 점과 기계적 풍화작용을 촉진시키는 기온의 영하일수가 비교적 길다는 점이다. 암설 사면의 분포 면적은 일사량이 높아서 수분 증발이 활발하여 식생 피복이 불량한, 남사면과 서사면이 북사면과 동사면에 비해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옹점리 동부의 가 지역에서 식생 피복으로 인해 암설 사면의 면적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평균 $431.0m^2/yr$의 식생 피복 면적 증가 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 지역에서는 1년 동안 1~2개의 암설 입자들이 사면 내에서 변위 또는 이동되었다.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있어서 지형(地形)과 식생회복(植生回復) (On the Topographies and Recovery of Vegetation in the Hillside Erosion Control Districts)

  • 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2-46
    • /
    • 1984
  •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지형(地形), 지질(地質), 강수상황(降水狀況), 공법(工法) 등 여러 요인(要因)의 복합작용(複合作用)에 의하여 좌우(左右)되나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는 지형(地形)을 제외(除外)한 타요인(他要因)은 그 조건(條件)이 같으므로 제외하고 지형(地形)과 식생피도(植生被度)의 관계(關係)를 조사하여 산복공사공법(山腹事工工法) 개선(改善)의 자료(資料)를 얻고자 조사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면별(斜面別) 평균피도(平均被度)는 하강사면(下降斜面)(80%), 평형사면(平衡斜面)(78.7%), 복합사면(複合斜面)(64.0%), 상승사면(上昇斜面)(56.5%)의 순위(順位)로 낮아지며, 4 사면(斜面)의 평균피도(平均被度)는 69.8%로 사면형(斜面形)은 피도형성(被度形成)에 영향을 준다. 2) 평균피도형성(平均被度形成)에는 토양함수율(土壤含率水), 평균경사(平均傾斜)가 영향을 준다. 3)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목본종피도(木本種被度)(14.8%)는 초본종(草本種)(55.0%)에 비하여 피도(被度)가 매우 낮다. 4) 독라지(禿裸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 방법(方法)은 인공식재(人工植栽) 혹은 파종(播種)으로 하여야 하고 특히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자연식생종(自然植生種)에 의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어렵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