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latency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2초

모다피닐이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의 임상 양상과 수면구조에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afinil on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of Narcolepsy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 신홍범;정도언;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6
  • 서 론:기면병은 과도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모다피닐은 기면병 치료에 이용되는 정신자극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다피닐이 기면병환자와 정산인의 임상 양상과 야간수면구조 및 주간 졸음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기면병 환자 12명(연령:$22.9{\pm}2.6$세)(남:여=7:5)과 성별, 연령이 짝지어진 대조군 12명($23.8{\pm}2.5$세)이 기저 연구(baseline study)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을 기저검사로 임상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다피닐 200 밀리그램 투약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모다피닐 투여 이후 임상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수면관련변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모다피닐 투여는 피츠버그수면장애척도 점수만을 감소시켰을 뿐 그 외의 임상적 척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 야간수면다원검사의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면 후 각성 시간과 총검사시간 중 각성 시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어서 시행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상 평균입면잠복시간이 연장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 론:모다피닐은 각성 효과를 지닌 약물로 메틸페니데이트 등 기존 투약에 비해 야간수면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 및 각성 시간의 비율 증가를 보여 야간수면에 영향을 주지만 수면구조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모다피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상 평균입면잠복기의 연장을 보여 기면병과 관련된 졸음 증상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다피닐은 주간졸림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각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수면이득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연구 (A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Stud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Sleep Benefit)

  • 천동렬;양창국;김재우;유승윤;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02-108
    • /
    • 2000
  • 목 적 : 파킨슨병 환자의 상당수에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수면이득으로 알려진 운동성 기능의 일시적인 호전을 보고 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수면이득이 수면과 관련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수면다원검사 등의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환자 군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비교하는데 있다. 방 법 : 33명의 일차성 파킨슨병 환자(남 14, 여 19)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면이득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담을 하였고,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임상적 자료를 얻었고, 수면검사실에서 하룻 밤의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가 16명(48.5%), 없는 환자가 17명(51.5%)이었다.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들이 없는 환자들에 비하여 더 젊었고(p<0.02), 수면효율이 더 좋았고 (p<0.05), 그리고 수면잠복기가 더 짧았다(p<0.02). 그러나 수면이득은 유병기간, 레보도파 일일 복용 용량, 운동기능의 장애 등과 관련되지 않았고, 특정 수면단계와도 관련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수면장애의 빈도가 높았으나 일차성 코골이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이득이 젊은 나이, 좋은 수면효율, 짧은 수면잠복기와 관련됨을 시사한다.

  • PDF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ASL: A Traffic-Adapted Sleep/Listening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Yang, Yuan;Zhen, Fu;Lee, Tae-Seok;Park, Myong-S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권1호
    • /
    • pp.39-43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d TASL-MAC, a medium-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ensor nodes are usually deployed in a special environment, are assigned with long-term work, and are supported by a limited battery. As such,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becomes the primary concern with regard to wireless sensor networks.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latency in multi-hop data transmiss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the existing research, sensor nodes are expected to be switched to the sleep mode in order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However, the existing proposals tended to assign the sensors with a fixed Sleep/Listening schedule, which causes unnecessary idle listening problems and conspicuous transmission latency due to the diversity of the traffic-load in the network. TASL-MAC is designed to dynamically adjust the duty listening time based on traffic load. This protocol enables the node with a proper data transfer rate to satisfy the application's requirements. Meanwhile, it can lead to much greater power efficiency by prolonging the nodes' sleeping time when the traffic. We evaluate our implementation of TASL-MAC in NS-2. The evaluation result indicates that our proposal could explicitly reduce packet delivery latency, and that it could also significantly prolong the lifetime of the entire network when traffic is low.

유산균 발효 천마의 수면유도 효과 (Sleep Inducing Effec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이경호;이기형;김병수;최영호;김충환
    • 생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1-285
    • /
    • 2013
  • Ethanol extract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was highly effective on the duration of pentobarbital hypnosis in mice. Pretreatment of mice with ethanol extract of the fermented Gastrodia elata (200 mg/kg, p.o.) prolonged markedly the duration of pentobarbital sleeping time and reduced the sleep latency. The mechanism of the extract of the fermented Gastrodia elata was investigated to inhibit the binding of $^3H$-Flumazenil, a selective benzodiazepine receptor antagonist, to benzodiazepine receptor of mice cortices. $IC_{50}$ value from displacement of $^3H$-Flumazenil binding was 62 ${\mu}g/mL$ at the treatment of the fermented Gastrodia elata. Therefore, these finding, such as increase of sleeping time and reduction of sleep latency, was examined by elevated concentration of GABA and parishin C, which were increased by Lactobacillus brevis.

파킨슨병의 중증도에 따른 수면 장애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 이수윤;천상명;김재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7권1호
    • /
    • pp.17-23
    • /
    • 2015
  • Background: Sleep-related disturbances and sleep disorders are common in Parkinson's disease (PD) and have a great impact on daily life of PD patients. This study was done to find the sleep characteristics and sleep disturbing factors in PD patients according to disease severity through clinical interview and polysomnographic (PSG) study. Methods: Fifty patients with PD (22 males, age $60.6{\pm}6.4$, Hoehn and Yahr (HY) stage $2.7{\pm}1.0$) were recruited and thoroughly interviewed about their sleep. PSG was performed on the patients taking routine antiparkinsonian medications. Patients were grouped into mild and moderate/severe group according to HY stag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each group. Results: Ninety-four percent of total patients had one or more sleep-related disturbances based on the interview or PSG. On interview, the moderate/severe group complained more insomnia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than mild group. In PSG findings, the moderate/severe group showed lower sleep efficiency, longer sleep latency, REM sleep latency, waking time after sleep onset, and higher prevalence of RBD. Conclusions: In this study, most patients with PD had sleep disturbances. Clinical interview and PSG findings revealed deterioration of sleep quality along the disease severity. Our results suggest that sleep disturbances in PD patients are prevalent and warrant clinical attention, especially to the patients with advanced disease.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수면과 자살위험요인 (Sleep and Suicidal Risk Factor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정자현;장용이;이해우;심현보;최진숙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22-30
    • /
    • 2013
  • 목 적: 수면 문제는 지속적으로 성인의 자살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어왔고 최근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그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자살 행동 유무에 따라 대상군을 분류하여 이들 사이의 자살위험요인과 수면양상을 비교하고 자살위험요인으로써의 수면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방 법: 고등학생 561명(남 271명, 여 290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행동 체크리스트,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불안, 공격성 하위척도,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가 시행되었다. 결 과: 46명(8.1%)이 자살시도 목적으로 자기 위해 행동을 한 경험이 있었고, 181명(32.4%)은 자살사고 경험만을 보고했다. 334명(59.5%)은 과거 자살위험행동(사고, 시도)을 보이지 않았다. 자살 위험군은 학교 폭력, 물질남용, 인터넷 중독, CES-D, SCL-90-R, PSQI에서 비자살 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자살위험행동은 우울, 스트레스와 상관성을 보였고, PSQI에서는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에서는 자살 시도군에서 수면 잠복기의 연장, PSQI 지수의 증가가 가장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수면문제는 청소년군의 자살위험행동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가 자살위험행동의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부모, 교사, 의료인들에 의한 청소년의 수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를 권장하는 바이다.

Hydrolysate Preparation with High Content of 5-Hydroxytryptophan from Liquid Egg Protein and Its Sleep-Potentiating Activity

  • Kwon, Jung Il;Park, Yooheon;Han, Sung Hee;Suh, Hyung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46-653
    • /
    • 2017
  • Alcalase hydrolysis of liquid egg white was used to produce 5-hydroxytryptophan (HTP)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investigate the sleep-potentiating activity of liquid egg white hydrolysate (LEH) on pentobarbital-induced sleep. Alcalase hydrolysis yielded the highest content of 5-HTP ($13.50{\mu}g/mL$), while neutrase hydrolysis showed the lowest 5-HTP content ($5.23{\mu}g/mL$). The liquid egg white to water ratio (1:1) was optimal for the production of 5-HTP with high amino-nitrogen (A-N) content and degree of hydrolysis. The 5-HTP, amino-nitrogen, and degree of hydrolysis increased until 24 h of hydrolysis and slightly increased thereafter during hydrolysis with 2% and 5% enzyme addition. 5-HTP administration at doses of 6 and 9 mg/kg significantly increased sleep duration and decreased sleep latency time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p<0.05). LEH (150 mg/mouse), which was equivalent to 5-HTP at 6 mg/kg, significantly decreased sleep latency time and increased sleep duration time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p<0.05). Oral administration of LEH showed sleep-potentiating effects because of 5-HTP. The sleep-potentiating activity of LEH may have occurred through 5-HTP in our pentobarbital-induced sleep model. LEH may be a valuable alternative to sleep enhancement and may be used as a sleep-potentiating agent.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Sleep Before an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tion

  • Ogden, Mustafa;Akgul, Mehmet Huseyin;Yuksel, Ulas;Bakar, Bulent;Kamasak, Kagan;Ozveren, Mehmet Fa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600-607
    • /
    • 2018
  • Objective : It has been reported in recent studies that 50-80% of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have concomitant sleep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leep before and after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and to assess the effects on treatment. Methods : The study included 32 patients performed discectomy and fusion with an intervertebral cage through the right anterior cervical approach.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isual Analog Scale (VAS)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were applied to all patients preoperatively and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Results : The postoperative PSQI total points and all the PSQI subscale points, the ODI and VAS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reoperative ODI points and the PSQI total points and sleep duration, sleep latency and daytime functional loss subscale poi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preoperative ODI points and VAS poi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reoperative VAS points and and the PSQI total points and sleep duration, and sleep latency subscale poin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ostoperative ODI and the daytime functional loss subscale point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sleep quality and daytime functionality were negatively affected by severity of pain that limited daily activities. Bringing the pain under control with surgical treatment was observed to increase sleep quality.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planning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could be a sleep disorder in addition to the complaints and symptoms such as pain, hypoestesia and loss of strength.

수면 설문지를 통한 수면장애의 진단 (Diagnosis of Sleep Disorders Through Sleep Questionnaires)

  • 이성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44-54
    • /
    • 1995
  •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sleep disorders by simple history taking, because which covers very comprehensive areas such as psychobiosocial fields. Although polysomnography is used for the method of final diagnosis, systemic history taking and sleep question-aires are still critically important especially in evaluation of insomnia. Proper informations through sleep questionnaires can provide very precise data for effective treatment as well as exact diagnosis. Sleep questionnaires consist of largely four kinds of questionnaires, which are screening questionnaire of sleep disorders, sleep diary and questionnaire of sleep hygine, diagnostic questionnaire for specific sleep disorder and questionnaire of special symptoms of sleep disorders including insomnia, daytime sleepiness, cognitive function, mental symptom and personality, parasomnia, physical illness and sexual function. However, for more conclusive diagnosis especially i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 should be perfo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