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Stag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9초

몽유병과 야경증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 박영우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13-22
    • /
    • 1995
  • To provide the physician with adequate information to diagnose and treat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he author reviewed clinical features, epidemiology, causative and precipitating factors, polysomnography, diagno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for these disorde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have been defined as disorders of arousal that occur early in the night and have their onset during stage 3 or 4 sleep. In both disorders, patients are difficult to arouse, and complete amnesia or minimal recall of the episode is frequent. Genetic,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both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ypically begin in childhood or early adolescence and are usually outgrown by the end of adolescence. When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have a post-pubertal onset or continue to adulthood, psychopathology is a more significant causative factors. The behavior that occur from deep slow-wave sleep can be painful or dangerous to the individual and/or disturbing to those close to that individual. The assessment of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these conditions requires a thorough medical and sleep history.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naging patients with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episodes is protection from injury.

  • PDF

수면이득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연구 (A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Stud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Sleep Benefit)

  • 천동렬;양창국;김재우;유승윤;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02-108
    • /
    • 2000
  • 목 적 : 파킨슨병 환자의 상당수에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수면이득으로 알려진 운동성 기능의 일시적인 호전을 보고 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수면이득이 수면과 관련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수면다원검사 등의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환자 군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비교하는데 있다. 방 법 : 33명의 일차성 파킨슨병 환자(남 14, 여 19)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면이득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담을 하였고,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임상적 자료를 얻었고, 수면검사실에서 하룻 밤의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가 16명(48.5%), 없는 환자가 17명(51.5%)이었다.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들이 없는 환자들에 비하여 더 젊었고(p<0.02), 수면효율이 더 좋았고 (p<0.05), 그리고 수면잠복기가 더 짧았다(p<0.02). 그러나 수면이득은 유병기간, 레보도파 일일 복용 용량, 운동기능의 장애 등과 관련되지 않았고, 특정 수면단계와도 관련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수면장애의 빈도가 높았으나 일차성 코골이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이득이 젊은 나이, 좋은 수면효율, 짧은 수면잠복기와 관련됨을 시사한다.

  • PDF

이압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관절 통증, 관절 가동범위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Joint Pain, Range of Motion, and Sleep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 장민진;임윤미;박효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knee pain, range of motion, and sleep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randomization and single-blind in a placebo-control approach. The subjects included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who were using an elderly welfare facility. In each of the groups, 28 subjects were assign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uricular acupressure was applied to five pressure points related to the pain caused by osteoarthritis and sleep. In the case of the placebo-control group, auricular acupressure was applied to other five points than the former. The intervention lasted eight weeks. In order to examine intervention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joint pain, Pressure Pain Thresholds (PPTs), and extension and flexion range of motion (ROM) were measured weekly. As for the preand post-examinations, pain, sleep quality, and the time-by-sleep stage of the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were measured. Results: The VAS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uricular acu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time (p<.001) and WOMAC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1) compared with the placebo-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PTs. The flexion (p<.01) and extension (p<.001) ROMs measured for eight weeks improved over time. Meanwhile, sleep quality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termination (p<.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time-by-sleep stage. Conclusion: Auricular acupressure applied for eight week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joint pain, improving knee ROM, and improving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수면시작 기준의 차이에 의한 수면잠복기반복검사결과의 변화 (Changes in Multiple Sleep Latency Test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of Sleep Onset)

  • 임세원;복기남;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80-83
    • /
    • 2004
  • 목 적:수면잠복기 반복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는 주간 졸림증을 측정하는 객관적 방법으로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국 수면학회의 MSLT guideline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최소 1개 epoch의 1단계 수면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수면센터에서는 수면의 시작을 위해 3개 epoch 이상의 1단계수면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기준의 적용에 의해 수면잠복기반복검사의 결과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고 보다 타당한 수면시작기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1999년 4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고려대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서 시행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중 60건(300 nap)의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동일한 수면잠복기 반복검사기록을 각기 1개 epoch 기준과 3개 epoch 기준을 적용하여 수면잠복기를 기록후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60명의 MSLT 중 수면시작의 기준을 달리 적용했을때 평균 수면잠복기 결과가 달라진 경우는 20명으로 33.3%였으며 3개 epoch 기준에 비해 1개 epoch 기준을 적용시 단축되는 평균수면잠복기의 변화율은 최소 1.3%에서 최대 38.5%으로 평균값은 15.9%였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였으며 수면잠복기가 상대적으로 긴비기면병군이 기면병군에 비해 변화가 발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결 론:다른 수면시작기준의 적용에 따라 수면잠복기결과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졸림증의 정도가 중등도이상인 경우 그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은 아니였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졸리움을 보다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라는 측면에서는 1개 이포크기준이 보다 타당할 수 있겠다.

  • PDF

고려 홍삼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위약-대조군 연구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Sleep :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 이선아;강승걸;이헌정;정기영;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85-90
    • /
    • 2010
  • 목 적: 인삼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불면증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수면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입증할 만한 임상 실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려 홍삼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건강한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무작위로 홍삼군과 위약군에 배정되어 2주간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홍삼군의 경우 하루 4,500 mg의 홍삼을 섭취하였다. 실험 시작시점과 2주 후인 종료시점에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두군간의 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 총 15명의 대상자, 즉 홍삼군 8명과 위약군 7명이 수면다원검사를 시행 받았으며 홍삼군이 위약군 보다 실험 종료 시점에서 3단계 수면이 증가한(p=0.087) 반면에 2단계 수면이 감소하는(p=0.071) 경향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고려 홍삼이 깊은 잠은 증가시키고 얕은 잠은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지만 홍삼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보다 많은 대상군과 충분한 홍삼 용량으로 보다 긴 기간 동안 진행되는 연구를 통해 고려 홍삼의 수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PDF

과수면을 수반한 계절성 정동장애 1례 -광치료 전후의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중심으로- (A Case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with Hypersomnia -Polysomnographic Findings Before and After Light Therapy-)

  • 조숙행;김인;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2호
    • /
    • pp.202-209
    • /
    • 1998
  • Authors report the findings of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MSLT) before and after morning light treatment in a winter depressive patient with hypersomnia. On polysomnographic recordings, the sleep pattern of this case before light treatment was similar to that of narcolepsy exhibited, sleep onset REM period(SOREMP). After treatment, the shortened REM latency changed to normal condition, but, deep sleep percentage did not changed, and stage 4 sleep percentage was decreased. Depressive symptoms were improved on clinical interview with Hamilton Depressive Rating Scale. Sleep log showed shortened sleep latency and reduced sleep du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light treatment could alter the sleep structure in seasonal affective disorder with hypersomnia, it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antidepressant response of light treatment is result of change of sleep structure.

  • PDF

소아기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정상 대조군 수면 뇌파의 탈경향변동분석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of Sleep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Normal Children)

  • 김의중;안영민;신홍범;김종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41-4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면무홉증 환자와 정상 소아의 수면 구조를 비교하고 잘 드러나지 않는 차이를 뇌파의 비선형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코골이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 지수가 시간당 1회 이상으로 소아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12명(남아 10명, 평균 6.4${\pm}$3.4세)과 정상 대조군으로 연구에 참여한 15명(남아 8명, 평균 6.0${\pm}$2.2세)의 수면다원검사 자료를 비교하였다. 즉, 수면 구조 관련 변인과 뇌파 채널(C3/A2, C4/A1, O1/A2, O2/A1)에서 탈경향변동분석 과정을 거쳐 계산된 축적 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 구조에서는 1단계 수면의 비율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9.3${\pm}4.3$%로 정상 소아의 5.6${\pm}4.3$2.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렘수면 입면잠복시간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가 181.5${\pm}4.3$59.9 분으로 정상 소아의 133.5${\pm}4.3$42.0분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2, 3, 4단계 수면과 렘수면의 비율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와 정상 소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아의 수면 뇌파에서 계산된 축적 지수(${\alpha}$)는 장기 시간적 연관성(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1단계에서 4단계 수면으로 갈수록 ${\alpha}$ 값이 증가 하였다. 각각의 뇌파 채널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의 축적 지수는 정상 소아의 축적 지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C3/A2: 1.36${\pm}4.3$0.05 vs. 1.41${\pm}4.3$0.04, C4/A1: 1.37${\pm}4.3$0.04 vs. 1.41${\pm}4.3$0.04, O1/A2: 1.37${\pm}4.3$0.05 vs. 1.41${\pm}4.3$0.05, O2/A1: 1.36${\pm}4.3$0.07 vs. 1.41${\pm}4.3$0.05, p<0.05).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아에서 낮은 ${\alpha}$ 값을 보인 것은 자기조직적 고비성(self-organized criticality)이 줄어든 것으로 뇌 체계에서 자체 기전에 의한 에너지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8시간에 이르는 수면 뇌파의 정량화가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상태를 반영한다면 향후 연구에서 그 유효성과 범용성을 여러 질병에서 확인해 보아야 할 것이다.

  • PDF

Rapid Eye Movement-Related Obstructive Sleep Apnea: A Study on the Pathogenesis through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eatures

  • Jang, Ji Hee;Chung, Jin 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4호
    • /
    • pp.180-187
    • /
    • 2016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eatures between rapid eye movement (REM)-relate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not-REM-related OSA, and to suggest the pathogenesis according to the REM dependency of OSA. Methods: One hundred ninety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OSA were evaluated clinical features and performed full night polysomnograph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M-related (REM apnea-hypopnea index [AHI] at least two times higher than their non-REM AHI) and not-REM-related (a REM AHI less than two times higher than their non-REM AHI) OSA groups and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age, body mass index (BMI), neck circumference, Ep-worth Sleepiness Scale score, and parameters of polysomnography. Results: REM-related patients were younger and showed higher sleep efficacy, low percentage of light sleep stage (stage 1 sleep), and low rate of positional OSA. 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M dependency of OSA and REM AHI were significant correlated with BMI, neck circumference, percentage of sleep in supine position, and percentage time of snoring.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REM-related OSA patients showed less severe polysomnographic parameters than not-REM-related patients. However,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differed depending on the REM dependency and OSA severity, and the clinical features correlated with REM AHI and non-REM AHI were also showed differently. We suggest that the occurrence of OSA according to the REM dependency can be based on different mechanisms.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수면의 질과 혈청지질 농도 (Quality of Sleep and Serum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 박연경;박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4-35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of sleep with the serum lipid profile in patients who have restless legs syndrome (RLS).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116 patients with RLS through questionnaires and blood samplin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correlations between lower quality of sleep and serum lipid profile (LDL Cholesterol) in patients with RLS (r=.19, p=.040). There were correlations for scores of quality of sleep from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sub-region between lower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erum lipid profile (LDL Cholesterol) (r=.20, p=.026), between fewer hours of sleep duration and serum lipid profile (Total Cholesterol) (r=-.21, p=.024), and, between higher daytime dysfunction and serum lipid profile (LDL Cholesterol) (r=.42, p<.001) of patients with RLS. Conclusion: Pati-ents with RLS have sleep disorders with lower quality of sleep and changes in the serum lipid profile for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That is, patients with RLS have lower quality of sleep and dyslipidemia compared to persons without RL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monitor serum the lipid profile in early stage symptoms of midlife adult patients with RLS and especially older women.

Multi-Valued Decision Making for Transitional Stochastic Event: Determination of Sleep Stages through EEG Record

  • Nakamura, Masatoshi;Sugi, Takenaop;Morota, Yukinao;Tachibana, Naoko;Shibasaki, Hirosh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493-493
    • /
    • 2000
  • Multi-valued decision making for transitional stochastic events was newly derived based on conditional probability of database. The two values (on-off) decision making method without transition had been proposed by one of the author in a previous work for a purpose of realizing human on-off decision making. The current method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on-off decision making. By combining the conditional probability and the transitional probability, the closed form of the algorithm for the multi-valued transitional decision making was derived. The proposed multi-valued decision making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five levels of the vigilance of a subject during the EEG recording; awake stage, drowsy stage and sleeping stages (stage 1, stage 2/3, REM (rapid eye movement)).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gilance level can be directly usable for the two purposes; selection of awake EEG segments for automatic EEG interpretation, and determination of sleep stages through sleep EEG. The proposed multi-valued decision making with a mathematical background of the probability can be applicable widely, in industries and in medical fields for purposes of the multi-valued decision ma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