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8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킨 어류의 해수저장 중 선도변화 (Effect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on the Quality Changes of Fish during Storage in Seawater)

  • 김지회;이희정;김태진;유현덕;김풍호;박정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3-200
    • /
    • 2002
  •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로 폐사한 어류를 식품원료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방어(Seriola quinqueradiata),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및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등 양식어류 3종을 이 적조에 노출하여 치사시켰다. 이 치사어류를 동 적조수에 저장하면서 저장시간에 따른 생균수, 휘발성염기질소 및 관능적 변화 등을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후 신선한 해수에 저장한 어류와 비교하였다. 시험어 근육중 생균수는 저장 6시간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휘발성염기질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치사 후 해수에 저장된 각 시험어 근육중 휘발성염기질소 및 생균수 함량의 변화는 적조해수에서 치사.저장한 시험구가 공기 중에서 질식시킨 대조구보다 약간 빠른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시험구와 대조구간의 관능적 변화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적조로 폐사한 어류 3종을 해수에 저장하였을 때 12시간이 경과하여도 근육에서 초기 부패단계의 기준인 VBN 30 mg/100g 및 생균수 $10^{5}$ CFU/g을 초과하지는 않았으나 관능적 변화는 6시간 이후에는 변화가 나타나 적조 폐사어는 6시간 이내에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gNOR 염색법에 의한 한우 염색체의 Nucleolus Organizer Regions 양상 분석 (Identification of Nucleolus Organizer Regions of Korean Cattle Chromosomes by AgNOR Staining)

  • 정원;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95-702
    • /
    • 2003
  • Nucleolus Organizer Regions(NORs)는 핵인을 형성하는 염색체의 특정 부위로서 rRNA 합성에 관여하는 리보좀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의 활성화가 일어나는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NORs의 양상을 제시하기 위하여 AgNOR 염색법을 이용하여 한우의 NORs 수와 NORs 염색체 및 이의 분포 위치 등을 구명하고 한편으로 소의 품종별, 성별 및 근원이 다른 세포간의 NORs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 이용된 공시축은 한우 및 홀스타인 암수 44두로서 이들의 혈액배양으로부터 염색체를 분리하였다. 조직간 세포의 NORs 비교를 위하여 귀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섬유아세포의 염색체와 백혈구 배양으로부터 분리된 염색체를 분석하였다. 분리된 중기상에 AgNOR 염색 후 G-banding을 한 결과 한우의 NORs는 2번, 3번, 4번, 11번 및 28번 염색체에 존재하고, 이들의 분포 위치는 각 염색체의 말단부에 위치한다. 한우 NORs 수는 세포에 따라 최소 2개에서부터 최대 10개까지 나타나며 평균 5.6개였다. 이러한 다형적 양상은 개체 간뿐만 아니라 동일 개체 내 세포 간에서도 달리 나타나며 발현의 크기 또한 차이가 있다. 품종 간 NORs의 비교 분석에서 한우의 NORs 수가 Holstein (5.4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근원이 다른 세포간 비교에서는 fibroblasts (5.9개)에서의 NORs 수가 lymphocytes (5.5개)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고, 성 간에는 수컷 (5.7개)이 암컷 (5.4개)에 비하여 많은 NORs 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들의 염색체상 분포 양상에서는 공히 동일한 염색체에 출현되었으며 염색체 상 출현 빈도에서도 세포들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해산어(海産魚)의 부분동결(部分凍結)에 의한 Microflora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Microflora of Marine Fishes during Storage by Partial Freezing)

  • 박찬성;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6-62
    • /
    • 1986
  • 정어리, 갈전갱이, 전갱이 및 말쥐치의 4종(種)의 시료어(試料魚)를 $-3.5^{\circ}C$에서 50일간(日間) 저장(貯藏)하면서 저장기간(貯藏其間)에 따른 Microflora 변화(變化)를 조사하였다. 세균수(細菌數)의 측정(測定) 및 세균(細菌)의 분리(分離)에는 50% 인공해수한천평판배지(人工海水寒天平板培地)로서 도말법(塗抹法)으로 하였으며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의 동정(同定)은 오적(奧積)등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저장전(貯藏前)의 신선한 생선에는 피부 $1cm^3$$10^4{\sim}10^5$마리의 세균(細菌)이 존재하였으나 저장(貯藏) 22일(日) 이후(以後)부터 $10^6{\sim}10^8$에 달하여 전형적인 생선의 부패취를 발생하였다. 저장기간(貯藏其間)을 통하여 300주(株)의 세균(細菌)을 분리(分離)하였으며 선어(鮮魚)에서는 Pseudomonas I/II, Pseudomonas III/IV-H, Vibrio, Moraxella가 대부분으로 전체(全體)의 87%를 차지하였다. 부패후(腐敗後)에도 이들 균주(菌株)가 주종(主種)을 이루었으나 Pseudomonas III/IV-H, Vibrio, Moraxella가 감소하는 반면에 Pseudomonas I/II가 최우위를 점하였으며 Pseudomonas가 소수 분리(分離)되었으나 저장초기(貯藏初期)에 소멸(消滅)하였다. 비동정균(非同定菌)이 분체(全體) 분리균주(分離菌株)의 9%를 차지하였는데 이중 약 절반이 저장(貯藏) 22일(日)에 분리(分離)되었다.

  • PDF

피부 노화의 선평가 지표 개발 및 그에 따른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의 피부 내부 노화 개선 효과 (Development of Pre-assessment Indicator for Skin Aging and Anti-aging Effect of Inner Skin by the Cream Product Containing Gynostemma pentaphyllum Gypenoside Fraction)

  • 김주연;김정윤;최치호;임주혁;추민주;문성호;장신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3-309
    • /
    • 2016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탄력섬유의 손상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발현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가에 주름이 형성되기 전에 연령이 증가할수록 피부 내부에서 피부 노화의 징후가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피부 내부에서 먼저 발생하는 노화의 징후가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의 효능으로 인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눈가에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21 ~ 34세의 한국 여성 52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에게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외부의 노화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지만 피부 내부에서 노화의 징후가 시작되는 시점을 진피치밀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주름이 관찰되지는 않았지만, 진피치밀도가 감소하는 연령대에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4주 및 8주 사용한 후에 진피치밀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이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이 향후 주름 개선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MCF-7 유방암 세포에서 mTOR-COX-2 신호경로를 통한 resveratrol의 apoptosis 효과 (Apoptotic Effects of Resveratrol via mTOR and COX-2 Signal Pathways in MCF-7 Breast Cancer Cells)

  • 이솔화;이혜연;박송이;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88-1294
    • /
    • 2011
  • 식물에서 추출한 파이토케미컬은 암세포의 여러 신호전달 기작에 관여함으로써 apoptosis를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토케미컬의 한 종류인 레스베라트롤을 MCF-7 세포에 처리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효과가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mTOR와 COX-2의 발현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MCF-7 세포에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했을 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암세포의 생존률이 감소하였고, Hoechst 33342를 이용한 chromatin 염색과 Annexin V-propodium iodide staning을 통하여 암세포의 세포증식 효과가 apoptosis에 의해 유도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MCF-7 세포에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했을 때 mTOR 및 COX-2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실시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mTOR 및 COX-2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MCF-7 유방암 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apoptosis 유도가 mTOR 신호경로 저해를 통한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재배 엽맥섬유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Leaf Fiber Plants Cultivated in Korea)

  • 이혜자;김남은;유혜자;한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11-720
    • /
    • 2009
  • Leaf fibers have many good properties; they are strong, long, cheap, abundant and bio-degradable. Since they, however, contain a great quantity of non-cellulose components, they have been used for the materials of mats, ropes, bags and nets rather than those of cloth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eaf fibers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leaf fibers for the materials of clothing as well as develop the high value-added textile fibers. Leaf fiber plants including New Zealand Flax, Henequen and Banana plant, which have various nature and shape, were used. New Zealand Flax and Henequen leaves were cut from lower part of plants. Banana leaves and pseudo-stems were peeled and cut from the stem of Banana plants. First, the thin outer skins like film of leaves, veins and stems were removed before retting. The chemical retting had been processed for 1hour, at 100 in 0.4% $H_2SO_4$ aqueous solution(liquid ratio 50:1). Then, the retted leaf fibers had been soaked for 1hour, at room temperature in 0.5% NaClO solution(v/v) to remove the miscellaneous materials.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leaf fibers including the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morphology, the contents(%) of pectin, lignin and hemicellulose, the length and diameter of fiber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ber bundles, and the fiber crystallinity and the moisture regain(%). The lengths of fiber from three leaf fibers were similar to their leaf lengths. The fiber bundles were composed of the cellulose paralleled to the fiber axis and the non-cellulose intersecting at right angle with the fiber axis. The diameters of New Zealand Flax, Henequen and Banana fibers were $25.13{\mu}m$, $18.16{\mu}m$ and $14.01{\mu}m$, respectively and their tensile strengths were 19.40 Mpa, 32.16 Mpa and 8.45 Mpa, respective. The non-cellulose contents of three leaf fibers were relatively as high as 40%. If the non-cellulose contents of leaf fibers might be controlled, leaf fibers could be used for the materials of textile fiber, non-wovens and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ee.

인공 진피(알로덤®)을 이용한 하지의 골이 노출된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s in Lower Extremities using Artificial dermis(AlloDerm®))

  • 전만경;장영철;고장휴;서동국;이종욱;최재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78-582
    • /
    • 2009
  • Purpose: In extensive deep burn of the lower limb, due to less amount of soft tissue, bone is easily exposed. When it happens, natural healing or reconstruction with skin graft only is not easy. Local flap is difficult to success, because adjacent skins are burnt or skin grafted tissues. Muscle flap or free flap are also limited and has high failure rate due to deep tissue damage. The authors acquired good outcome by performing one - stage operation on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with AlloDerm$^{(R)}$(LifeCell, USA), an acellular dermal matrix producted from cadaveric skin. Methods: We studied 14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patients from March 2002 to March 2009. Average age, sex, cause of burn, location of wound,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tudied. We removed bony cortex with burring, until conforming pinpoint bone bleeding. Then rehydrated AlloDerm$^{(R)}$(25 / 1000 inches, meshed type) was applicated on wound, and thin split thickness(6 ~ 8 / 1000 inches) skin graft was done at the immediately same operative time. Results: Average age of patients was 53.6 years(25 years ~ 80 years, SD = 16.8), and 13 patients were male(male : female = 13 : 1). Flame burn was the largest number. (Flame burn 6, electric burn 3, contact burn 4, and scalding burn 1). Tibia(8) was the most affected site. (tibia 8, toe 4, malleolus 1, and metatarsal bone 1). Thin STSC with AlloDerm$^{(R)}$ took without additional surgery in 12 of 14 patients. Partial graft loss was shown on four cases. Two cases were small in size under $1{\times}1cm$, easily healed with simple dressing, and other two cases needed additional surgery. But in case of additional surgery, granulation tissue has easily formed, and simple patch graft on AlloDerm$^{(R)}$ was enough.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of patients without additional surgery was 15 days(13 ~ 19 days). Conclusion: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give us an advantage in short surgery time and less limitations in donor site than flap surgery. Postoperative scar is less than in conventional skin graft because of more firm restoration of dermal structure with AlloDerm$^{(R)}$. We propose that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could be a solution to bone exposured soft tissue defects in extensive deep burned patients on lower extremities, especially when adjacent tissue cannot be used for flap due to extensive burn.

피부 제거 없이 시행한 높은 쌍꺼풀의 교정 (Correction of High Fold without Skin Excision)

  • 오흥찬;윤동주;강철욱;최치원;최수종;배용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49-653
    • /
    • 2009
  • Purpose: Double - eyelid oper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cosmetic operations among Korean patients. In such operations, however, the complexity of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atients' anatomical structures may cause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asymmetry, retraction of the eyelid, and the occurrence of a high fold. A high fold occurs frequently, and its correction is not very simple.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correct it, and among these, the operation involving the excision of the skin between the previous double - eyelid line and the new double - eyelid line is usually selected by plastic surgeons. In many cases, however, patients have insufficient eyelid skins for this 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introduce an operation procedure for high - fold correction that does not involve skin excision Methods: From June 2005 to June 2009, 246 cases were treated with this procedure. After the incision of the new double - eyelid line, dissection was done between the previous scar tissue and the levator aponeurosis. Then the orbital septum, orbital fat or the retro - orbicularis oculi fat was slid down and sutured with a tarsal plate. Such sutures were repeated at four to five points, including the lateral and medial limbus, to prevent the reattachment of the previous scar and to create a new double - eyelid line at the end of the orbital septum. Results: Most of the high - fold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Their previous scar was hidden under the new double - eyelid line after the operation. In the six cases, the scar was visible in the patients who had a very high and deep inner line. As such, scar revision was undertaken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It is known that scar revision is also required after an operation involving skin excision in the case of a very high inner - eyelid line. Conclusion: This method is an appropriative procedure for high - fold correction for patients who have insufficient upper - eyelid skin.

Comparison of International Guidelines of Dermal Absorption Tests Used in Pesticides Exposure Assessment for Operators

  • So, Jaehwan;Ahn, Junyoung;Lee, Tae-Hee;Park, Kyung-Hun;Paik, Min-Kyoung;Jeong, Mihye;Cho, Myung-Haing;Jeong, Sang-He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51-260
    • /
    • 2014
  • The number of farmers who have suffered from non-fatal acute pesticide poisoning has been reported to vary from 5.7% to 86.7% in South Korea since 1975. Absorption through the skin is the main route of exposure to pesticides for farmers who operate with them. Several in vitro tests using the skins of humans or animal and in vivo tests using laboratory animals are introduced for the assessment of human dermal absorption level of pestici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compare international guidelines and strategies of dermal absorption assessments and to propose unique approaches for applications into pesticide registration process in our situation. Until present in our situation, pesticide exposure level to operator is determined just using default value of 10 as for skin absorption ratio because of data shortage. Dermal absorption tests are requested to get exposure level of pesticides and to ultimately know the safety of pesticides for operator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value of AOEL. When the exposure level is higher than AOEL, the pesticide cannot be approved. We reviewed the skin absorption test guidelines recommended by OECD, EFSA and EPA. The EPA recommends assessment of skin absorption of pesticides for humans through the TPA which includes all the results of in vitro human and animal and animal in vivo skin absorption studies. OECD and EFSA, employ a tiered approach, which the requirement of further study depends on the results of the former stage study. OECD guidelines accept the analysis of pesticide level absorbed through skin without radioisotope when the recovery using the non-labeled method is within 80~120%. Various factors are review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origin of skin (gender, animal species and sites of skin), thickness, temperature and, etc., which can influence the integrity of results.

소의 일중 체온변화 Data Base 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Data Base for Body Temperature Change in Cattle)

  • 정왕용;이원현;이상철;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98
    • /
    • 2012
  • 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 주파수 식별 기술을 이용하여 가축의 건강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 하기위한 기술에 활용하기 위하여 정상시 소의 체온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체온측정을 위해 거세한 홀스타인 수소 3두를 공시하였다. 동물들은 stanchion barn에서 2주간 적응시킨 후 열전대와 recorder 장치를 이용하여 귀, 목, 머리와 심부 4부위의 온도를 9일간 연속 측정하였다. 측정한 체온의 모든 부위는 하루 중 낮 시간에는 체온이 올라가고 다시 저녁시간에는 체온이 떨어지는 패턴을 보였다. 하루중 심부체온은 $36.1^{\circ}C$에서 $38.2^{\circ}C$의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각 피부 온도는 환경온도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귀, 목, 머리 온도의 하루중 변화는 각각 $28.5{\sim}36.3^{\circ}C$, $28.0{\sim}36.1^{\circ}C$, $28.2{\sim}35.0^{\circ}C$를 나타내었다.